DEVELOPMENT, GROWTH, AND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METAMORPHOSIS RATE OF THE EARLIER LARVAE ON MACROBRACHIUM ROSENBERGI (DE MAAN)

Macrobrachium rosenbergi (De Maan)의 초기유생의 성장 및 수온과 변태와의 관계

  • Published : 1974.06.01

Abstract

The fresh 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 (De Maan) is a very common species in Info-pacific region inhabiting both fresh and brackish waters in low land areas, and especially abundant in the lower reaches of most rivers which are influenced by seawater, It is one of the largest and commercial species of genus Macrobrachium. As a place of the researches to clear the possibilities of transplantation and propagation of this species in the Far East region the larval development, growth, optimum temperature and metamorphose rate up to first post larvae in aquaruim are cleared under the conditions of salinity $6.58-7.05\%_{\circ}$ Cl, pH 8.0-8.2, the rate of flow 0.3 liter per minute and illumination 3000 lux. Temperature ranged from 27.5 to $28.7^{\circ}C$ during the period of earlier larval development. For the study oil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metamorphose rate from zoea to first post larvae, the temperatures in experimental tank were $22.2^{\circ}C\pm1$, $26.1^{\circ}C\pm0.85$, $28.1^{\circ}C\pm0.34$, $30.4^{\circ}C\pm0.66$, $33.7^{\circ}C\pm0.66$, $33.7^{\circ}C\pm0.38$ and $36.8^{\circ}C\pm0.26$. During the work, food used for the larvae was Artemia salina nauplius in the filter-circulation aquariums. This species metamorphosed to the first post-larvae through eleven zoea stages, and the characters of each larval stage are described and optimum temperature for metamorphosis rate and survivals to the first post larvae is $28.1^{\circ}C\pm0.34$.

1. 수조내에서 순화된 친가에서 부화시킨 유생을 실험실내에서 수온 $27.5\~28.7^{\circ}C$, 염분 $6.58-7.05\%_{\circ}$Cl. pH $8.0\~8.2$, 조도 3000lux, 여과수양 $0.3{\ell}/min$의 조건하에서 먹이로는 Artemia salina nauplius를 참여하여 사육하였다. 2. 갓 부화된 zoea 유생의 체장은 1.92mm이며 제1 post-larva는 7.69mm로써 11영기의 zoea기에서 제1 post-larva로 변태하며 상기 조건하에서는 35일이 소요되며 제11 영기에서 제1 post-larva로 변태할 때 복절의 길이가 줄어들고 굵어진다. 3. 갓 부화된 유생의 제3 복절의 배면에 출현하는 3개의 색소포와 미절의 기부에 나타나는 1개의 색소포는 Palaemonidae속 새로운 분류지표로 중요하다. 4. 유생의 제6 영기 부터 개체변이체인 "숙성이"가 출현하며 동일 영기개체군에서 형태적으로 뛰어나게 크다. 5. 유생의 전발생영기를 통하여 특히 "숙성이"가 출현하기 쉬운 단계가 있는 것 같으며 이것은 제6영기와 제10영기인 것 같다. 이 현상은 체장의 변동폭의 넓이와 관계가 크며 이것은 섭이요인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같다. 6. 유생의 발생도중 완전한 skipping 현상이 나타나는 것처럼 여겨졌으나, 영기별 각 부속기관의 형태적인 특징을 비교관찰한 결과, 어느 영기가 완전히 skipping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7. "숙성이"의 부속기관을 비교검토한 결과, 한영기에서 다음 영기로 분화발생할 때 각 기관의 분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어떤 연관성을 가지며 각 기관마다 개별적인 분화발생속도를 유지하며 분화의 동시성은 볼 수 없는 것 같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