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dram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불가코프의 메타드라마 연구 (A Study on M. Bulgakov's Metadrama)

  • 백승무
    • 비교문화연구
    • /
    • 제23권
    • /
    • pp.127-165
    • /
    • 2011
  • This paper focuses on the specificities and semantic meaning of Mikhail Bulgakov's metadrama White Guard and The Flight. The standard conception of metadrama is to purposefully break the dramatic illusion and make bare a playwright's self-consciousness of the theatrical art itself. With the use of the metadrama Bulgakov expressed the essentials of ugly reality, which he couldn't accept as a valuable truth. In this respect, Bulgakov's metadrama becomes at once a window, from which he views the external world in the theatrical vision, and a mirror, in which his political and existential stance as a playwright is reflected. In White Guard Bulgakov described the already theatricalized reality through several instances of 'play-within-play'. In The Flight, composed of eight pieces of dream, a life turned out to be a less solid and less firm reality than dream. Continuously demolishing the cognitive wall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Bulgakov leads spectators to have a reflective view on the reality. Allowing more powerful demonstrativeness for a play-within-play than for a play-within-play, Bulgakov elevates a metadramatic technique to the level of thematic structure.

후안 마요르가 작 <하멜린> 연출적 접근방법 연구 (A Study on the Directorial Approaches of by Juan Mayorga)

  • 이서아;조준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161-180
    • /
    • 2021
  • 본 연구는 후안 마요르가의 희곡 <하멜린>을 포스트 서사극으로 정의하고, 포스트 서사극으로서의 실제적인 연출 기법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포스트드라마 이후에 등장한 포스트 서사극은 작품을 통해 사회적 문제를 제시하고, 배우와 관객이 상호 작용하며 관객이 몰입과 소외를 통해 직면한 문제에 대해 사유하게 한다. 이를 위해, 포스트 서사극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하멜린>의 포스트 서사극적 특징을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멜린>의 연출컨셉과 실제 연출기법에 대해 세부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과정에서 메타연극적 기법 중 '역할놀이'의 개념을 빌려와 그 정당성과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관객의 적극적인 태도와 비판적 사고, 포스트 서사극의 특성 강화, 관객 스스로의 의미창발 등 다양한 지각적 체험 및 변화를 가능하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