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irectorial Approaches of by Juan Mayorga

후안 마요르가 작 <하멜린> 연출적 접근방법 연구

  • Lee, Seo-A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Graduate School of Image and Contents, Dongguk University) ;
  • Cho, Joon-Hui (Division of Theatre, College of Arts, Dongguk University)
  • 이서아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공연예술학과) ;
  • 조준희 (동국대학교 예술대학 연극학부)
  • Received : 2021.11.22
  • Accepted : 2021.12.27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Juan Mayorga's play Hamelin as a Post-Epic Theatre and to study the practical directing technique for Hamelin as a Post-Epic Theatre. Post-Epic Theatre, which appeared after the Post-drama, has the purpose of presenting social issues, communicating interactively between the actors and the audience, and making the audience think about the issues presented by the techniques of immersion and alienation. To this end, after exami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ost-Epic Theat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st-Epic Theatre of Hamelin were identified and based on these features, '1. Building a visual image based on a Cubistic multifocal concept' and '2. The concept of directing was derived from reinforcing Meta-drama through role-playing'. Next, the actual directing technique was discussed, focusing on the chain action of immersion and alienation that occurs in the form of communication between actors and audiences. '1. 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through Post-Epic Theatre scenography', '2. Co-existence of actors and characters', '3. Building and utilizing body-centered gestus' are them. As a result, demanding an active attitude from the audience, various experiences such as critical thinking of the audience, strengthening the characteristics of post-epic dramas, and active meaning creation were made possible.

본 연구는 후안 마요르가의 희곡 <하멜린>을 포스트 서사극으로 정의하고, 포스트 서사극으로서의 실제적인 연출 기법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포스트드라마 이후에 등장한 포스트 서사극은 작품을 통해 사회적 문제를 제시하고, 배우와 관객이 상호 작용하며 관객이 몰입과 소외를 통해 직면한 문제에 대해 사유하게 한다. 이를 위해, 포스트 서사극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하멜린>의 포스트 서사극적 특징을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멜린>의 연출컨셉과 실제 연출기법에 대해 세부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과정에서 메타연극적 기법 중 '역할놀이'의 개념을 빌려와 그 정당성과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관객의 적극적인 태도와 비판적 사고, 포스트 서사극의 특성 강화, 관객 스스로의 의미창발 등 다양한 지각적 체험 및 변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Juan Mayorga, 김재선 옮김(2019). 하멜린, 서울: 지만지드라마, 105p
  2. 김석만(2013). 마음을 사로잡는 연출, 풀빛, 53p
  3. 박채원, 조준희(2020). 포스트 서사극 연출기법 연구: 마리우스 폰 마이엔부르크 作 「못생긴 남자」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59), 31-66 중 35p
  4. 장은수(2014). 포스트드라마 이후 독일 포스트서사극,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30), 149-169 중 156p
  5. 장영지(2016). 포스트 서사극의 소통형식과 그 효과 - <못생긴 남자>와 <황금용>의 드라마투르기와 관객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 1(60), 321-356 중 331p
  6. Juan Mayorga, 김재선 옮김(2019). 하멜린, 서울: 지만지드라마, 101p
  7. Juan Mayorga, 김재선 옮김(2019). 하멜린, 서울: 지만지드라마, 100p
  8. Juan Mayorga, 김재선 옮김(2019). 하멜린, 서울: 지만지드라마, 57-59p, 67p, 92p
  9. Juan Mayorga, 김재선 옮김(2019). 하멜린, 서울: 지만지드라마, 77-78p
  10. Juan Mayorga, 김재선 옮김(2019). 하멜린, 서울: 지만지드라마, 8p, 43p, 94p
  11. Juan Mayorga, 김재선 옮김(2019). 하멜린, 서울: 지만지드라마, 5p
  12. 장은수(2014). 포스트드라마 이후 독일 포스트서사극,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30), 149-169 중 156p
  13. 정인영, 조준희(2020). 「황금용」(The Golden Dragon)역할 창조 연구 - LMA를 적용한 프로덕션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8, 117-130 중 118p
  14. Juan Mayorga, 김재선 옮김(2019). 하멜린, 서울: 지만지드라마, 102p
  15. Juan Mayorga, 김재선 옮김(2019). 하멜린, 서울: 지만지드라마
  16. 장영지(2016). 포스트 서사극의 소통형식과 그 효과 - <못생긴 남자>와 <황금용>의 드라마투르기와 관객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 1(60), 321-356 중 347p
  17. Juan Mayorga, 김재선 옮김(2019). 하멜린, 서울: 지만지드라마
  18. Juan Mayorga, 김재선 옮김(2019). 하멜린, 서울: 지만지드라마
  19. 장영지(2016). 포스트 서사극의 소통형식과 그 효과 - <못생긴 남자>와 <황금용>의 드라마투르기와 관객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 1(60), 321-356 중 326p
  20. Juan Mayorga, 김재선 옮김(2019). 하멜린, 서울: 지만지드라마
  21. Juan Mayorga, 김재선 옮김(2019). 하멜린, 서울: 지만지드라마
  22. 장영지(2016). 포스트 서사극의 소통형식과 그 효과 - <못생긴 남자>와 <황금용>의 드라마투르기와 관객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 1(60), 321-356 중 346p
  23. 조민현(2017). 큐비즘과 문학적 글쓰기, 스페인어문학, (85), 131-149 중 132p
  24. 김진성(2010). 현대 동양화의 큐비즘 수용의 특성과 방법론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4p
  25. 김용직, 서정남(1993). 모더니즘 연구, 서울: 자유세계
  26. 이지만,조준희(2019). 후안 마요르가의 「맨끝줄 소년」 연출 접근 방법 연구, 예술교육연구 17(2), 113-129 중 114p
  27. Richard Hornby, 노승희.백현미 공역(2012). 「드라마, 메타드라마, 지각」,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108-109p 참조
  28. Juan Mayorga, 김재선 옮김(2019). 하멜린, 서울: 지만지드라마
  29. 김제민(2011). 요셉 스보보다의 시노그라피에서 확장된 현대공연예술의 영상 표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p
  30. 최영주(2016). 우스터 그룹(Wooster Group)의 다이올로직 드라마투르기, 한국연극학, 1(58), 71-115 중 85p
  31. 박근형,조준희(2020). 뮤지컬 「All Shook Up」의 연출적 시노그래피 연구 - 디자인 구축 과정과 공연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8), 175-187 중 178p
  32. Juan Mayorga, 김재선 옮김(2019). 하멜린, 서울:지만지드라마
  33. Erika Fischer-Lichte, 김정숙 옮김(2017), 수행성의 미학 - 현대예술의 혁명적 전환과 새로운 퍼포먼스 미학, 문학과지성사
  34. Juan Mayorga, 김재선 옮김(2019). 하멜린, 서울: 지만지드라마
  35. https://ko.wikipedia.org/wiki/짐벌 /2021.11.13.
  36. 장영지(2016). 포스트 서사극의 소통형식과 그 효과 - <못생긴 남자>와 <황금용>의 드라마투르기와 관객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 1(60), 321-356 중 336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