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or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3초

초임 중등 과학교사를 위한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멘토링 특징과 멘티의 반성적 실천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 Teachers' Mentoring Characteristics and Mente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Collaborative Mentoring for Beginning Science Teachers)

  • 박지훈;남정희;강유진;박종석;손정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5-128
    • /
    • 2019
  • 이 연구는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의 멘토링 특징과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는 멘토교사의 멘토링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직경력 7년 이상의 멘토 4명과 초임중등과학교사 4명을 선정하여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멘토링 과정에서 수집한 자료들은 멘토 및 멘티 저널, 멘티교사의 5차시 수업 녹화본 및 전사본, 학습지도안, 수업평가지, 일대일 멘토링 녹음 및 전사본, 사전 설문, 중간 설문과 사후 설문, 일대일 멘토링 효과 설문 등이었다. 멘토교사의 멘토링 특징은 멘토교사의 상호작용 방법과 수업 피드백에 의한 지원의 내용과 빈도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멘티교사의 반성적 사고는 자발적 반성과 지원에 의한 반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은 RTO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멘티교사의 교수 실행에서의 문제점을 멘티교사 스스로 파악할 수 있도록 대화를 유도하는 멘토교사는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멘토교사의 반성적 사고 유도 질문은 멘티교사의 자발적 반성을 이끌어 내었으며, 자발적 반성은 멘토교사의 지원에 대한 반성 및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켰다. 또한 멘토교사가 수업 피드백을 통한 지원을 제공할 때 멘티교사 스스로 자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할 경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상호작용 특징 변화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Mentor Interaction in Collaborative Mentoring)

  • 박지훈;손은지;이선우;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5호
    • /
    • pp.251-262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상호작용 특징과 멘토의 멘토링 경험에 따른 상호작용 특징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참여자는 교직경력 17년 이상의 멘토 3명과 초임중등과학교사 6명을 선정하였다. 일대일 멘토링 대화 녹음본 및 전사본을 수집하였고 이를 상호작용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상호작용의 특징을 분석 결과, 대체로 멘토들은 대화를 시작할 때 지원과 단순질문의 방법을 가장 많이 쓰고 있었다.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상호작용의 특징 변화를 보면, 멘토 3명의 멘토링 대화에서 대체로 1년차 멘토링에 비해 2년차 멘토링에서 사고질문이 많아졌으며, 이로 인하여 멘티의 반성 및 반성적 실천이 나타난 비율이 높아졌다. 멘토 인터뷰를 통하여 멘토들은 자신의 멘토링이나 멘티의 수업 변화를 보고 자신의 멘토링을 돌아보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는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하여 멘토의 반성이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래상담자의 멘토활동이 초등학교 배척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 of Peer Counselor's Mentor Activity on Rejected Children's Peer Relationship in Elementary School)

  • 정미혜;김종훈
    • 초등상담연구
    • /
    • 제7권1호
    • /
    • pp.185-203
    • /
    • 2008
  •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an effect of peer counselor's mentor activity on rejected children's peer relationship in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hypothesis was made. Hypothesis I : Peer counselor's mentor activity will improve rejected children's peer relationship. I -1 : Peer counselor's mentor activity will improve rejected children's trust to peer. I -2 : Peer counselor's mentor activity will improve rejected children's respect to peer. To test the hypothesis, after sociometry papers 19 fifth-graders for rejected children groups were selected from four classes at H elementary school in Busan according to Coie & Dodge's(1988) five classified system that is modified to Korean situation by Ahn ie-hwan(2006). Ten rejected students from two classes were labeled as a peer group with a peer counselor and nine rejected students who had similar characteristics from two classes were labeled as an non-peer group without a peer counselor. The peer counselors were decided by obtaining affirmative mentions of rejected students group. Peer counselors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of peer counselor's skill program and then they had a person to person mentor activity with the rejected children's group that they belonging to. The training consisting of a total of four sessions, 3 times a week, was provided to peer counselors eleven times after school. The peer counselors given the peer counselling training did person to person mentor activity with the peer group's rejected children for a month. The mentor activity, three times a week, following during training was reinforced after school. For peer counselor training,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er counseling program developed by Lee Sang-hi, Roh Seong-deok and Lee Ji-eun(2001) was used. Hong Ok-soon's(1984) peer relationship test, Moreno's(1934) sociometry tool were used to verify an effect of the peer counselor's mentor activity. For the data analysis, quantitative analysis with sociometry tool and qualitative analysis with social status and social type change were used. To know the difference in pre test and post test peer relationship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quantitative analysis, ANCOVA result was used and qualitative analysis, social status and social type was used. The finding was as followings. First, after peer counselor's mentor ac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jected children's trust and respect to peer and the whole relationship from the pretest to the post test. Second, peer counselor's mentor activity gave rise to affirmative changes on rejected children's social status and social type. This study concluded that peer counselor's mentor activity would help rejected children's peer relationship to change affirmatively and improve.

  • PDF

멘토의 역할기능과 인성특성이 초임 치과위생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le function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mentor on role stress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newly appointed dental hygienists)

  • 윤현경;김한곤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3-221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function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mentors on the role stress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newly-appointed dental hygienists. Methods :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and structured equation model(SEM) using AMOS 18.0. The subjects were 214 newly appointed dental hygienists in the hospitals and clinic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from January to May, 2013. Results : The hypothesis model proved to be appropriate for high validity. A significant results were observed in sociopsychological function and role ambiguit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role ambiguity,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job satisfaction, role ambiguity and organization commitment, role ambiguity and turnover intention, and career fun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Conclusions : It is important to help manage the job-related role stress of newly appointed dental hygienist and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standardized role functions of mentor' which can increase the adaptability of newly appointed dental hygienists.

노인의 멘토링 실태와 요구에 대한 연구 (A Survey on Elders' Experience in and Preference for a Mentoring Program)

  • 김희걸;이금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54-563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ders' experience in a mentoring program and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Methods: Two hundred and ten elders dwelling in Sungnam-si. Ko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om April 1 to May 30, 2008. Using SPSS Win 10.0,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performed. Result: About two thirds of the elders had experience as a mentee, and a large number of them reported that it was helpful. Compared to those without, the elders with the mentee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at it is easier to build a mentor-mentee relationship. The most common reason for wanting a mentee experience was loneliness, whereas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not wanting was feeling a burden when meeting a stranger.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a mentoring program differed between the elders who had the mentee experience and those who did not.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d that a mentoring program is highly likely to provide psycho-social support to the elderly, Also, a large number of the elders who had never had a mentor-mentee relationship wanted to have it in the fu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healthcare professionals include a mentoring program in health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considering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a mentor-mentee relationship.

  • PDF

Characteristics of Faculty Mentor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octoral Education

  • 이종욱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31-252
    • /
    • 2016
  • Mentoring by faculty advisors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outcomes of doctoral students. However, few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faculty mentors. To deal with this lack of research, the author attempt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faculty mentors from the perspectiv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doctoral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In the study, the author combined interviews and a surve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aculty mentors. The interview and survey findings present a list of characteristics that are comprehensive and specific to LIS doctoral education. Specifically, the author describes a faculty mentor as a well-rounded person who possesses both professional and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findings show some aspects in which the current advising/mentoring could improve. The current study offers a guideline for the accomplishment of doctoral mentoring at a concrete level, rather than vaguely recommending that faculty advisors support the professional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of their students. In a following paper, the author will relat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doctoral students to their perception of mentors.

글로벌기업의 집단형 문화가 합리형 문화에 미치는 영향 -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lan Culture on Market Culture of Public Organization Focusing of Mediating Effect of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 김혁영;김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271-280
    • /
    • 2020
  • 본 연구는 글로벌 기업의 집단형 문화와 합리형 문화 간의 관계에서 여성리더 특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촉진자, 선도자, 생산자, 지시자 리더십 간의 관계에서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이 매개효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개념적 연구모형은 집단형 문화, 여성리더 특성, 합리형 문화의 3개 요인으로 설계되었다. 글로벌기업을 대상으로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와 관련된 500개의 조사대상표본에 기초해서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집단형 문화와 합리형 문화 간의 관계에서 여성리더 특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촉진자 리더십은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선도자 리더십은 여성리더의 경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에, 여성리더의 직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은 생산자 리더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은 지시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촉진자 리더십은 생산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선도자 리더십은 지시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성리더 특성의 매개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형 문화가 합리형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연구를 통해서 검증함으로서 학술적 기여도를 높였으며, 또한 정책적, 혹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 연구 분야에서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 변수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이다.

멘토링 대화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분석을 통한 멘토 전문성에 대한 고찰 (Investigation of a Mentor-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action in Mentoring Conversations)

  • 이순덕;고문숙;남정희;이선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877-893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멘토교사와 멘티교사간의 멘토링 대화에 나타나는 상호작용 특징을 분석하여 멘티교사의 교수기술발달 정도와 연관성을 토대로 멘토 전문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임중등과학교사 4명을 멘티교사로, 경력교사를 4명을 멘토교사로 선정하였다. 개발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에 따라 멘티교사들에게 5회의 멘토링을 실시한 후 1차, 3차, 5차 멘토링 대화를 상호작용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멘티교사가 실행한 총 5차시 수업을 RTOP으로 분석하여 교수기술발달 정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멘토의 전문성 기준에 대해 고찰하였다. 멘토링 대화에서 상호작용 시작은 멘토가 주도하며 멘토교사 질문의 형태가 단순질문 비율이 높으면 멘티교사 반응은 단순반응의 비율이 높아져 반성의 기회가 차단되고 교수기술 발달정도가 적었다. 반면 멘토교사 질문의 형태가 사고질문의 비율이 높은 경우, 멘티교사 반응은 설명반응의 비율이 높아져 설명반응을 하는 과정이 반성의 기회가 될 수 있고 반성은 반성적 실천을 용이하게 하여 교수기술 발달정도가 높았다. 사고질문의 비율이 높아도 교수기술 지원이 미흡한 경우는 발달정도가 미미했다. 교수기술 피드백 방법이 멘토교사 중심의 설명식이면, 멘티교사가 단순반응을 하게 되는 경향이 있어 반성의 기회가 차단되고 교수기술발달 정도 역시 적었다. 멘토교사 피드백의 형태에서 설명피드백 비율이 높으면, 교수기술발달정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과학교사의 수업실행 전문성 발달을 위한 멘토교사의 전문성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멘토교사는 서로 의견이 교환되는 형식으로 상호작용을 이끌어 갈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둘째, 멘토교사는 상호작용 할 때 멘티교사의 사고에 초점을 두고 반성적 사고를 유도하는 상호작용을 해야 하며, 멘티교사의 반성이 반성적 실천으로 이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어야한다. 셋째, 교수기술 지원 시 멘토교사는 명확한 근거나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효과적이다. 넷째, 멘토교사는 하나의 교수기술을 지원할 때마다 멘티교사에게 지원된 교수기술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자신의 수업에 지원된 교수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숙고의 과정을 거치도록 유도해야 한다.

멘토의 역량과 멘토링 기능이 창업의 초기성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Mentoring Skills and Mentoring Functions on Initial Start-up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 방혜민;전인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444-454
    • /
    • 2015
  • 이 연구는 멘토 역량과 멘토링 기능이 초기 창업자 성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알아보고, 초기 창업자 성과와,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보아 실증분석을 하여 책임멘토, 즉 창업멘토의 효율적인 방향 및 초기 창업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는120명으로 본 표본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0.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세부항목들을 영역별로 분류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상관관계를 실시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C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검증을 위하여 선형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출한 결론으로는 창업 초기 단계에서는 멘토 역량과 멘토링 기능이 창업자의 성과를 이끌어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멘토가 사업에 대한 건전한 생각과 행동을 지니는 모델링이 되어야만, 창업자 또한 좋은 성과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으며, 멘토링 중 경력개발과 심리사회적 기능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멘토링을 한다면 창업자의 성과만족도는 물론, 초기 사업에서의 생존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것으로 보여 진다.

초임 과학교사를 위한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와 멘티교사의 갈등 요소 분석 (Analysis on Components of Conflict between Mentor Teachers and Mentee Teachers in Collaborative Mentoring for Beginning Science Teacher)

  • 정도준;이임일;남정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1호
    • /
    • pp.119-135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와 멘티교사의 갈등 요소 및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갈등의 원인을 고찰하였다. 협력적 멘토링 연수에 참가한 30명의 교사 중 멘토교사의 효능감 검사지 및 멘티교사의 만족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갈등이 있었다고 응답한 3팀(6명)을 연구의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멘토교사와 멘티교사가 실시한 5차례의 일대일 멘토링 대화 녹음본과 전사본을 추가로 분석하였다. 멘토링 대화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요소를 살펴보면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 중 수업 전략에 관한 갈등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지식 요소 중 학생특성에 적합한 교과내용지식 측면과 교과내용지식 요소 중 과학개념에 대한 지식 측면에서 갈등이 나타났다. 또한 멘토교사의 효능감 검사지와 멘티교사의 만족도 설문지로부터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역할, 서로 다른 교육관, 멘티교사의 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 및 노력 부족 등의 원인으로도 갈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멘토링의 횟수가 거듭됨에 따라 멘토교사의 의도를 멘티교사가 잘 이해하고 받아들여 결국에는 멘티교사의 인식 변화를 가져와 대부분의 갈등이 감소되었지만, 멘티교사의 요청에도 멘토교사가 적극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갈등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