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al disabled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5초

침구치료로 개선된 장애인의 정신건강 증례보고 (A Case Report on Improvement Mental Health of the Disabled by Acupuncture and Moxibustion)

  • 고원준;박상균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9권1호
    • /
    • pp.16-2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ase mental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as improved through visit treatment at public health centers. From October 26, 2021 to January 04, 2022, 6 visits were conducted and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K-CES-D), Visual Analog Scale (VAS), Euro Qol-Visual Analogue Scale (EQ-VAS), Modified Barthel Index (MBI) were used to check changes. After Korean Medicine treatments such as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electromoxibustion, PHQ-9 decreased from 18 to 8, BDI decreased from 22 to 15, K-CES-D decreased from 42 to 21. And VAS decreased from 85 to 50, EQ-VAS increased from 30 to 50. But There was no change in the MBI. Confirmation of improvement in mental health-related indicators of disabled patients through Korean Medicine treatments.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효능감을 경유하여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양육시간의 조절된 매개효과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mental health of parents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parenting efficacy: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time)

  • 장하영;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175-183
    • /
    • 2024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효능감을 경유하여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양육시간이 조절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여 장애아동 약육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장애아를 둔 부모였으며 총 315명이었다. 자료는 SPSS Win. Ver. 25와 SPSS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이 적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는 양육 효능감과 정적 상관관계, 양육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은 부적인 상관관계, 양육 효능감과 정신건강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양육시간은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효능감을 경유하여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 매개하였다. 결론적으로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의 양육시간은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효능감을 거쳐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일부 정신지체 장애인의 구강건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al health of some disabled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 박일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7-43
    • /
    • 200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state of disabled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in an attempt to pave the way for oral health care planning geared toward the disabled. Subjects and Method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6 mentally retarded people who attended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disabled in the city of Wonju, Gangwon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3.0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NOVA and t-test were utilized. Results :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implified oral hygiene index of the mentally retarded people was 1.32, which was on the average. 2. The decayed teeth index and decayed teeth rate of the mentally retarded people were respectively 13.48 and 48.13 percent, which were above the average. 3. The decayed surface index and decayed surface rate of the mentally retarded people were respectively 27.17 and 17.39 percent. 4. The simplified debris index of the mentally retarded people significantly varied with gender(p<.01), and missing teeth index(p<.05) and missing surface index differed significantly with age. Filled surface index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gion.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ir indexes related dental caries experience were high. In order to promote the oral health of the disabled with mental retardation, prolonged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and a dental checkup should be carried out on a regular basis by specialists. Preventive care and early treatment should be provided, and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tailored to different sorts of disabilities and oral health control methods is required.

  • PDF

한국형 실천관계 척도 정신장애인 용 개발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Working Relationship Scale)

  • 권자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3호
    • /
    • pp.239-263
    • /
    • 2013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과 사례관리자간의 '실천관계(Working Relationship)'를 측정하는 한국형 실천관계 척도 정신장애인 용의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해 진행되었다. 척도개발을 위해 첫째, 문헌연구와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3회의 포커스면접을 통해 실천관계척도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둘째, 정신장애인과 정신보건사회복지전공 사회복지학과 교수 2인 및 1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인 실무자 2인의 검토를 통해 최종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셋째, 최종 선정된 예비문항을 569명의 정신장애인 대상의 실증조사연구를 통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무선 분할하여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요인 1은 사례관리자의 전문적 실천과 관련된 '전문가 기여', 요인 2는 '부정적인 실천관계', 요인 3은 사례관리자와 정신장애인간의 친밀감을 나타내는 '정서적 유대'로 나타났다. 나머지 표본을 가지고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모델의 적합도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33문항의 한국형 실천관계 척도 정신장애인 용을 개발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사회복지적 함의를 논하였다.

  • PDF

정신장애인의 취업의지 예측 요인 (Predictors of Employment Intention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 한상숙;한정혜;윤은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41-549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edictors of employment intention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Methods: Mentally disabled persons who had participated in rehabilitation programs in one of 16 mental health centers and 9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 random sampling method was used and 414 respondent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Data was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14.0. Results: The predictors influencing employment inten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person were observed as employment desire (${\beta}=.48$), guardian's expectation (${\beta}=.26$), professional's support (${\beta}=.23$), financial management (${\beta}=.10$), eating habits (${\beta}=.07$), and quality of life (${\beta}=-.01$). Six factors explained 61.1% of employment intention of mentally disabled persons. Conclusion: The employment intention of a mentally disabled person was influenced by employment desire, diet self-efficacy, guardian's expectation, professional's support, quality of life, financial management and eating habits.

고령장애인의 차별경험과 사회적 지지가 신체적 건강 및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애정체감의 매개효과와 장애정도에 따른 다중집단 분석 - (Effe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Social Support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mong the Disabled - Mediation Effect of Disability Identity and Multiple Group Comparison by Degree of Disability -)

  • 노승현;신유리;김정석
    • 재활복지
    • /
    • 제21권2호
    • /
    • pp.113-137
    • /
    • 2017
  • 본 연구는 50세 이상 고령장애인이 경험한 차별과 이들이 받는 사회적 지지가 신체적 건강(주관적 건강, 만성질환빈도)과 정신적 건강(우울도)에 미치는 영향이 장애정체감을 통해 매개되는지를 살피고 있다. 또한 이러한 매개효과가 중증장애인과 경증장애인에게서 차별적으로 나타나는가를 함께 살피고 있다. 경험적 분석을 위해서 본 연구진이 수집한 장애인패널조사자료(2016년도)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장애정도에 따른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분석결과에 의하면, 장애정체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신체적 건강은 사회적 지지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 건강의 경우 장애차별경험, 사회적 지지, 장애정체감, 신체적 건강의 직접효과와 함께 사회적 지지가 갖는 장애정체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고령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이들의 장애정체감을 향상하여 결과적으로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함을 의미한다. 한편 다중집단분석의 결과, 경증장애인에게서는 장애차별경험이 장애정체감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였으나, 중증장애인에게서는 그러한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증장애인의 경우 공통근거수준이 낮으며, 경증장애인의 경우 외적장벽 수준이 낮은 것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증 및 고령장애인의 차별성에 기초한 건강지원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서울특별시장애인치과병원 이동검진기관 장애인들의 구강건강조사 (THE MOBILE ORAL HEALTH SURVEY OF THE DISABLED IN FACILITIES IN SEOUL)

  • 이효설;김혜정;남선회;김민선;유혜선;백승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
    • /
    • 2012
  • Mobile oral exam at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Seoul is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the disabled who can hardly approach dental clinic. We analyzed 1609 oral exam records at 24 facilities (11 special-education schools, 10 living facilities, 2 mental hospitals, 1 health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in 20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oral health state of the disabled in facilities in Seoul and to compare with the non-disabled in National Survey 2010 and 2008. 1. Special-education school : DMFT index of age 15 is 5.4 which is higher than 3.6 (DMFT index of age 15) of National Survey in 2010. 2. Living facility : DMFT index of ages 35~44 is 8.4 which is higher than 5.2 (DMFT index of ages 35 ~44) of National Survey in 2008. DT rate is higher (31.3% vs 19.2%) and MT rate is lower (7.6% vs 15.5%). 3. Mental hospital : DMFT index of ages 35~44 is 11.3 which is higher than 5.2 (DMFT indext of age 35~44) of National Survey in 2008. DT rate is significantly higher (50.7% vs 19.2%) and FT rate is lower (35.1% vs 65.3%). 4. Health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 DMFT index of ages 65~74 is 7.1 which is slightly lower than 8.7 (DMFT index of ages 65~74) of National Survey in 2008. The number of existing natural teeth is similar (16 vs 18).

장애수용이 정책신뢰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장애유형별 집단 비교 (The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Mediated with Policy Trust on the Life Satisfaction: Group Comparison of Disability Type)

  • 최윤정
    • 재활복지
    • /
    • 제22권3호
    • /
    • pp.145-168
    • /
    • 2018
  • 본 연구는 장애수용이 정책신뢰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관계가 장애유형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2017년 실시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 2차년도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응답자 중 신체외부장애인 2,378명과 정신적장애인 571명의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매개효과 검증 및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장애수용은 정책신뢰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신체외부장애인과 정신적장애인 두 집단 모두 장애수용과 정책신뢰도가 삶의 만족 예측요인이었다. 셋째, 신체외부장애인과 정신적장애인 두 집단 간의 경로계수에 차이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삶의 만족 향상을 위한 실천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K 대학 소아치과에 내원한 장애인의 구강진료 실태 (State of dental treatment among disabled patients at K university hospital pediatric dentistry)

  • 김창희;박재홍;김진;김선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57-36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dental treatment among disabled patients by the type of disability. After the medical records of 531 disabled patients who received treatment at the pediatric dentistry in K university hospital,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1. As for age distribution by year, the rate of patients aged 10 or down rose to 42.5 from 5.1 percent, and the 16-20 age group increased from 16.7 to 24.8 percent. But the rates of patients aged between 11 and 15 and aged 21 and up were on the rise(p<.05). 2. Concerning the type of disability by year,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brain lesions, mental retardation, developmental disorder and Down's syndrome(p<.05). As to the number of dental caries by the type of disability, the patients with heart diseases had the most dental caries that numbered 8.49, followed by Down's syndrome, metal retardation, brain lesions, the other disabilities and developmental disorder. 3. In relation to dental treatment experiences by the type of disability, the patients with developmental disorder(57.5%) received the most dental treatment, followed by mental retardation, the other disabilities, brain lesions, Down's syndrome and heart diseases(p<.05). 4. Regarding general anesthesia experience by the type of disability, the patients with mental retardation(31.6%) were put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most, followed by developmental disorder, brain lesions, the other disabilities, heart diseases and Down's syndrome(p<.05). In conclusion, nationwide efforts to nurture separate dental personnels responsible for the disabled, to expand relevant facilities and to improve the health care insurance are required to promote the oral health of disabled children.

  • PDF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Burden of Care for Families with Mentally Disabled and Quality of Life)

  • 이유리;최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29-241
    • /
    • 2017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부담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의 사회복귀시설과 정신건강증진센터에 등록된 정신장애인 가족 102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신장애인의 가족이 그들 자녀를 돌보면서 경험하는 보호부담은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 탄력성은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과 삶의 질 간 관계에 있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하위요인 모두에서 완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끝으로 사회적 지지는 보호부담과 삶의 질 관계에 있어 조절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를 근거로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정보제공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정신장애인 가족의 사회적 지지망 강화 노력과 이들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제도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