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al Health in Australia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호주의 국가정신보건전략을 통한 정신보건개혁과 융복합 정책적 함의 (Mental Health Reform through the 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in Australia and Convergence Policy Implications)

  • 신창식;김세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341-350
    • /
    • 2015
  • 본 논문은 호주의 국가정신보건전략에 대한 주요 내용과 국가정신보건전략을 통한 정신보건개혁 이후의 변화들, 그리고 정신보건개혁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정신보건정책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현실적인 시사점과 융복합 정책적 함의를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2년에 발표되어 2008년에 개정된 국가정신보건정책, 1993년부터 2014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수립된 국가정신보건 5개년 계획, 2006년 호주정부협의회에 의해 수립된 정신보건실행계획, 그리고 2012년 호주정부협의회에서 채택한 국가정신보건개혁을 위한 로드맵(2012-2022)을 포함한 국가정신보건전략은 지난 20년 동안 호주의 정신보건개혁의 광범위한 과정을 선도하는 대단히 중요한 정책 준거를 제공하였다. 1992년 시작된 국가정신보건전략을 통해서 정신보건재정 확충, 지역사회 중심의 치료 및 보호시스템 구축, 정신병상의 변화, NGO의 참여와 역할의 증대, 정신장애인과 가족(보호제공자)의 참여 확대 등과 같은 변화를 이루었다.

학교중심 정신건강사업의 해외(싱가포르, 미국, 호주)와 한국의 비교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Overseas and Domestic cases of School-based Mental Health Project: Focusing on Singapore, the U.S., and Australia)

  • 이주용;이은진;백형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789-80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교 중심의 정신건강 사업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국내외 학교 중심 정신건강 서비스 사례를 비교하여 국내 상황에 적절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외와 국내 서비스 주관 기관의 온·오프라인 공적 자료 및 학술 논문 등을 활용하여 서비스 배경, 목적 및 운영방식을 확인하였다. 국외 사례에서는 국가 차원의 정신건강 수립계획, 사업 수행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성으로 사업의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주도적 정책 수행기관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전달하고, 정부 부처 및 기관 간 의사소통과 협력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의 정신건강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심각도에 따른 다단계적 개입으로 학생들의 다양한 정신건강 욕구에 반응하고 있었다. 국내 학교중심 정신건강사업은 여전히 도입 단계로, 국내에서도 정부 부처 간의 협조체계, 효과적인 운영체계마련과 학생, 보호자, 교사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코로나시대 스마트헬스케어의 적용가능성과 과제: 정신건강 사회복지 분야를 중심으로 (Smart Healthcare in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Strategies and Tasks for Mental Health Social Work)

  • 이지하;이현진;홍승혜;박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679-688
    • /
    • 2022
  • 본 논문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기반한 스마트헬스케어의 가능성에 주목하여, 스마트헬스케어와 관련한 개념 및 현황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국내외 스마트헬스케어 사례의 고찰을 통하여 코로나19 시대 정신건강 사회복지 영역에서 스마트헬스케어의 적용 전략과 향후 과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첫째, 한국 정신건강사회복지 영역에서 기존에 시도되어왔던 국립정신건강센터와 서울시 정신건강복지센터의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둘째, 코로나19 환경의 독일, 중국, 미국, 호주의 실제 스마트헬스케어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적용 사례를 고찰하여 공공 및 민간 차원의 다양한 대응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정신건강사회복지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과제를 검토하며 마무리하였다. 본 논문에서 소개된 해외 사례들을 토대로 한국 사회에 실천·정책, 연구영역의 스마트헬스케어가 적극적으로 논의된다면 세계적인 수준의 정신건강사회복지 서비스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정신건강의학과 급성기 병동 공간계획을 위한 국외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rd Design Guideline Abroad for Architectural Planning of Acute Psychiatric Ward)

  • 지수인;박경현;채철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53-62
    • /
    • 2023
  • Purpose: Recently, the number of severely mentally ill patients has been increasing rapidly in Korea, but there are no design guidelines for spatial planning of Korea's acute psychiatric wards. The study aims to clarify the areas and required rooms in Korea's acute psychiatric wards which are important in establishing the design guidelines for Korea's acute psychiatric wards. Methods: This study proposed a structural framework based on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acute psychiatric ward guidelines in the UK, Australia, and the U.S. and the areas and the required rooms of the wards stipulated in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cute psychiatric ward design guidelines in Korea. The design guidelines for overseas acute psychiatric wards are 'Adult Acute Mental Health' in the UK, 'Adult Acute Mental Health Inpatient Unit' in the Australia, and 'Specific Requirements for Mental Health Hospital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design guidelines for overseas acute psychiatric wards, the areas of wards applicable to acute wards in domestic psychiatric wards were access, patient, treatment, support, and employee areas. In addition, the required rooms for each area were defined around major considerations such as visibility, convenience, comfort, security, safety, patient observation, barrier-free design, and privacy protection.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presented as a structural framework and basic data for establishing design guidelines for Korea's acute psychiatric wards, which is still absent.

A Comparative Understanding of Health Concepts

  • Lee, Mi-Kyung;Duncan Boldy;Kim, Kong-Hyun-Kim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제1권1호
    • /
    • pp.75-94
    • /
    • 1999
  • This study explored the understanding of health of people from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eighteen focus groups: Koreans (living in Korea), Korean-Australians, Korean-Americans and Australians.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QSR NUD*IST. The meaning of health varied among people and it was related to differences in age, culture, gender, marital statu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individuals. However, there were several themes common to everybody. All groups included aspects of physical, mental, emotional (and spiritual), environmental and social dimensions in their definitions of health. All young single groups placed more emphasis on physical and lifestyle factors whereas mental and emotional aspects and social responsibility were more associated with health among older married groups. Young women in all cultures felt social pressure to 'look good' and the media was perceived as responsible. Men in general associated health with societal roles and social competition. Health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economy and economic stability for all Korean groups reflecting the recent adverse economic situation in Korea. This information will be of value to health professionals to provide more effective health services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clients of Korean ethnicity living in multicultural societies like Australia and America.

  • PDF

주요 선진국의 군 건강관련 조사 실태 및 특성: 미국, 호주, 캐나다를 중심으로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Military Survey in Developed Countries: Focused on the Surveys of United States, Australia, and Canada)

  • 김미선;손민성;최만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537-549
    • /
    • 2013
  • 본 연구는 주요 선진국의 군인 건강조사 실태 및 특징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군인 건강조사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군인 건강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미국, 호주, 캐나다의 군인 건강조사 현황을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건강조사의 배경, 목적, 대상, 참가인원 수, 방법, 내용, 관련기관, 주기 등을 심층 고찰하였다. 고찰결과 주요 선진국의 군 건강 설문조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군인 건강조사는 건강 위험요인을 줄이는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발전해왔다. 둘째,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셋째, 외국의 군 건강조사는 정부의 협력뿐만 아니라 전문조사기관이나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서 익명성과 전문성을 보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도화를 통해 건강 설문조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군 보건의료 관계자뿐만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군 건강조사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법적, 제도적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Suicide in the Australian Mining Industry: Assessment of Rates among Male Workers Using 19 Years of Coronial Data

  • Tania King;Humaira Maheen;Yamna Taouk;Anthony D. LaMontagne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2호
    • /
    • pp.193-200
    • /
    • 2023
  • Background: International evidence shows that mining workers are at greater risk of suicide than other workers; however, it is not known whether this applies to the Australian mining sector. Methods: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Coronial Information System, rates of suicide among male mining workers were compared to those of three comparators: construction workers, mining and construction workers combined, and all other workers. Age-standardized suicide rates were calculated for 2001-2019 and across three intervals '2001-2006', '2007-2011', and '2012-2019'. Incidence rate ratios for suicide were calculated to compare incidence rates for mining workers, to those of the three comparative groups. Results: The suicide rate for male mining workers in Australia was estimated to be between 11 and 25 per 100,000 (likely closer to 25 per 100,000) over the period of 2001-2019. There was also evidence that the suicide rate among mining workers is increasing, and the suicide rate among mining workers for the period 2012-2019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worker group. Conclusions: Based on available data, we tentatively deduce that suicide mortality among male mining workers is of concern. More information is needed on both industry and occupation of suicide decedents in order to better assess whether, and the extent to which, mining workers (and other industries and occupations) are at increased risk of suic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