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brane filtration

검색결과 649건 처리시간 0.027초

톱밥배양한 버들송이의 균사체로부터 단백다당류의 분리 및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from the sawdust mycelia of Agrocybe cylindracea)

  • 하효철;박신;박경숙;이춘우;정인창;김선희;권용일;이재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73호
    • /
    • pp.121-128
    • /
    • 1995
  • Agrocybe cylindracea의 톱밥배양 균사체로부터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다당류를 분리, 정제하였으며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Agrocybe cylindracea 균사체로부터 열수추출한 조단백다당류(Fr.CB)의 수율은 ethanol 농도가 95%일 때 2.974 g으로서 원재료인 톱밥균사체를 기준으로 0.74%였다. 이 조단백다당류(Fr.CB)를 박막여과, ion exchange chromatography, 그리고 gel filtration에 의해 정제하였다. 조단백다당류 Fr.CB를 박막여과하여 분획한 결과 분자량 30만 이상의 분획(Fr.B)이 38.6%를 차지하여 고분자 단백다당류가 주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Fr.B를 ion exchange chromatography로 분리한 결과 2개의 분획이 17.4%(Fr.B-1), 10.3%(Fr.B-2)의 수율로 얻어졌다. 이들 분획을 농축한 다음 gel filtration한 결과 거의 순수한 단일 단백다당류의 peak를 얻을 수 있었다. Fr.B-1을 분리하여 얻은 $Fr.B-1-{\beta}$ 분획의 수율은 Fr.B-1을 기준으로 42.5%였다. 항암효과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최종 정제된 분획인 $Fr.B-1-{\beta}$의 분자량은 710 KDa 부근이었으며 단당류의 조성을 HPLC로 분석한 결과, glucose가 주성분이었고 그외 fucose, galactose도 검출되었다. 또한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glutamic acid, alanine이 비교적 많이 검출되었고 cysteine은 검출되지 않았다.

  • PDF

막오염 감소제가 활성슬러지의 여과저항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uling Reducing Additives on Membrane Filtration Resistance of Activated Sludge)

  • 정태학;이종훈;김형건;배영경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06-413
    • /
    • 2012
  • 막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첨가제로서 chitosan, 염화제이철, MPE50의 막오염 저감 효과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세가지 첨가제를 다양한 농도로 활성슬러지에 주입한 후 회분여과실험을 수행하여 막오염 특성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Chitosan 20 mg/g-MLSS, 염화제이철 70 mg/g-MLSS, MPE50 20 mg/g-MLSS의 주입량에서 여과저항과 케이크 비저항이 모두 최소화되었는데, 케이크 여과저항 뿐 아니라 파울링 여과저항도 함께 감소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서로 다른 활성슬러지에 chitosan을 첨가하는 세 차례의 실험에서 최적 주입농도는 10, 20, 30 mg/g-MLSS로 서로 다르게 나타나, 최적 주입농도가 상수치가 아니라 활성슬러지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 첨가제 모두 최적 주입농도보다 더 많은 양을 주입한 경우 오히려 막여과 특성이 악화되었다. 첨가제의 주입에 따른 여과저항 감소의 기작을 분석하기 위하여 미생물 플록의 제타 전위, 소수성, 입도분포, 상징수 탁도, 용존성 EPS 등의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최적 주입농도에서 제타전위는 0에 가깝게 그리고 입자크기는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음전하를 띠는 슬러지 플록에 양전하의 첨가제가 주입되면서 미세입자의 불안정화 및 재안정화 메커니즘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최적 주입농도에서 용존성 EPS 농도와 상징수 탁도는 가장 작은 값이 관찰되었는데, 미생물 플록이 응집하며 성장하는 과정에서 고분자의 EPS와 미세 입자가 포집된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고분자성 양이온물질인 chitosan과 MPE50에서 염화철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역충격형 중공사모듈의 동특성 연구 (Dynamic Characterization of Backpulsing Hollow Fiber Module System)

  • 노수홍;박상현;장진호
    • 멤브레인
    • /
    • 제11권1호
    • /
    • pp.14-21
    • /
    • 2001
  • 막오염을 줄이기 위해 고빈도 역충격 시스템을 적용한 새로운 분리막 모듈을 연구하였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ilonitrile) 재질의 외경 1.4mm, 내경 0.9mm, 분획분자량 50,000인 한외여과막과 라텍스(latex)용액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역충격을 중공사막에 적용했을 때 제안된 모델식에 의한 이론치와 실험치를 비교 분석하였고, 역충격을 적용했을 때와 하지 않았을 때의 경우를 비교하였다. 이론치를 계산하기 위해 비저항 계수(specific cake resistance), 케익성장시간상수(time constant for cake growth), 확산계수(diffusion coefficient), 그리고 4가지 오염모델의 속도상수를 구하였다. 고빈도의 역충격을 가한 모듈의 투과율은 역충격이 없을 때의 투과율보다 약 40∼120%가 증가하였고 모델을 이용한 예상값과 1∼14% 내의 오차 범위를 나타냈다. 최적 역충격 세기는 20∼40%의 범위에서 20%였고 최적 역충격 빈도수는 0.67∼3Hz 범위에서 2Hz로 나타났다.

  • PDF

차가버섯 균사체로부터 단백다당체의 추출 공정 확립 (Development of Extraction Process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from Inonotus obliquus Mycelia)

  • 박남규;전계택;정용섭
    • KSBB Journal
    • /
    • 제27권3호
    • /
    • pp.177-185
    • /
    • 2012
  • Inonotus obliquus mushroom, which is a fungus belonging to Hymenochaetaceae family, is known to grow on birth trees in colder northern climates and to be a fungal parasite that draws nutrients out of living trees rather than from the ground. For the separation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 (PBP) from the culture broth and mycelium of Inonotus obliquus, three well known extraction methods namely hot water, ultrasound and microwave were used. The best extraction conditions to separate the PBP (64.94 mg/g) from mycelium by microwave were found to be for 1 hour and $150^{\circ}C$. The possibility for concentration of extracted PBP solution by using membrane was also studied. The extracted PBP solution was concentrated effectively by using an ultrafiltration membrane and the molecular weight cut off (MWCO) is 30 KDa. It was observed that a concentration by the ultrafiltration membrane is essential not only for the development of clean separation technology but also for enhanced production of PBP. As a result, we have shown that PBP in the final concentrated solution showed approximately 10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crude solution by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separation systems. The separation yield of PBP was about 89.79% by gel filtration of purification steps and the purified product was confirmed to be PBP by using FT-IR.

유기물 농도가 낮은 고품질 정수 생산을 위한 고압막여과 공정 설계 시 고려사항 (Considerations to design high-pressure membrane system to produce high quality potable water with lower organic matter concentration)

  • 전종민;김성수;서인석;김수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73-480
    • /
    • 2020
  • High-pressure membrane system like nanofiltration(NF) and reverse osmosis(RO) was investigated as a part of water treatment processes to produce high quality potable water with low organic matter concentration through membrane module tests and design simulation. River water and sand filtration permeate in Busan D water treatment plant were selected as feed water, and NE4040-90 and RE4040-Fen(Toray Chemical Korea) were used as NF and RO membranes, respectively. Total organic carbon(TOC) concentrations of NF and RO permeates were mostly below 0.5 mg/l and the average TOC removal rates of NF and RO membranes were 93.99% and 94.28%, respectively, which means NF used in this study is competitive with RO in terms of organic matter removal ability. Different from ions rejection tendency, the TOC removal rate increases at higher recovery rates, which is because the portion of higher molecular weight materials in the concentrated raw water with increasing recovery rate increases. Discharge of NF/RO concentrates to rivers may not be acceptable because the increased TDS concentration of the concentrates can harm the river eco-system. Thus, the idea of using NF/RO concentrate as the raw water for industrial water production was introduced. The design simulation results with feed water and membranes used in this work reveal that the raw water guideline can be satisfied if the recovery rate of NF/RO system is designed below 80%.

Circulating Tumor Cell Detection in Lung Cancer Animal Model

  • Chong, Yooyoung;Jung, Yong Chae;Hwang, Euidoo;Cho, Hyun Jin;Kang, Min-Woong;Na, Myung Ho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6호
    • /
    • pp.460-465
    • /
    • 2021
  • Background: Metastasis and recurrence of primary cancer are the main causes of cancer mortality. Disseminated tumor cells refer to cancer cells that cause metastasis from primary cancer to other organs. Several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that circulating tumor cells (CTCs) are associated with the clinical stage, cancer recurrence, cancer metastasis, and prognosis. There are several methods of isolating CTCs from whole blood; in particular, using a membrane filtration system is advantageous due to its cost-effectiveness and availability in clinical settings. In this study, an animal model of lung cancer was established in nude mice using the human large cell lung cancer cell line H460. Methods: Six-week-old nude mice were used. The H460 lung cancer cell line was injected subcutaneously into the nude mice.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rom the orbital area before cell line injection, 2 weeks after injection, and 2 weeks after tumor excision. Blood samples were filtered using a polycarbonate 12-well Transwell membrane (Corning Inc., Corning, NY, USA). An indirect immunofluorescence assay was performed with the epi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 antibody. The number of stained cells was counted using fluorescence microscopy. Results: The average size of the tumor masses was 35.83 mm. The stained cells were counted before inoculation, 2 weeks after inoculation, and 2 weeks after tumor excision. Cancer cells generally increased after inoculation and decreased after tumor resection. Conclusion: The CTC detection method using the commercial polycarbonate 12-well Transwell (Corning Inc.) membrane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and convenience.

Dot-Blotter 진공 포획방식에 의한 미생물세포 면역분석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Immuno-Analytical System for Microbial Cells by using Dot-Blotter)

  • 목락선;하연철;윤희주;백세환
    • KSBB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82-90
    • /
    • 1999
  • 병원성 미생물을 측정할 수 있는 분석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면역학적 성분들을 합성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모델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균 세포 분석원리가 연구되었다. 구성성분을 준비하기 위해 Salmonella thompson에 대한 복합 클론항체를 면역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였고, 이렇게 정제된 항체를 Streptavidin과 horseradush peroxdase에 화학결합시켰다. 항체와 Streptavidinfdm은 각각 SMCC와 SPDP에 의해 활성화 되있고 두 물질을 반응시킴으로써 중합체가 합성되었다. 중합체는diaminobiotion 젤과 sephades G-100젤을 이중 층으로 쌓은 칼럼을 이용하여 정제되었다. 항체- HRP 중합체의 합성을 위해, HRP를 $NAIO_4$ 처리에 의해 안정화된 중합체는 Biohel A5M을 이용한size exchusion크로토그래피로 정제되었다. 이렇게 준비된 중합체들과 dot-bloner 그리고 biotim이 고정화된 nitrocellulose membrane($12\mum$ pore size)을 이용하여 모델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분석물질(S.Thormpson cells)을 먼적 액상에서 두 중합체와 반응되었고 반응먹을 membrane이 정착된 blotter에 옮긴 후 하부에 진공을 걸어 면역복합체를 biotin-streptavidin 반응에 의해 membrane 표면에 포획하였다.최적조건 하에서 시스템의 균 세포 분석원리를 확인하였으며 측정하한농도는 약 $1{\mu}g/m{\ell}(10^5 {\cdot} 10^6\;cells/m{\ell}$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측정성능의 주요조절인자는 두항체 종합체 농도의 증가는 항원-항체 응집반응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세라믹 한외여과 및 광촉매 혼성공정에 의한 고탁도 원수의 고도정수처리: 1. 광촉매 및 물역세척 조건의 영향 (Advanced Water Treatment of High Turbidity Source by Hybrid Process of Ceramic Ultrafiltration and Photocatalyst: 1. Effects of Photocatalyst and Water-back-flushing Condition)

  • 고사총;박진용
    • 멤브레인
    • /
    • 제21권2호
    • /
    • pp.127-14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정수처리용 세라믹 한외여과 및 광촉매의 혼성공정에서 $TiO_2$ 광촉매 코팅 구(bead)의 농도 및 물역세척 주기(FT), 물역세척 시간(BT) 변화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광촉매 코팅 구의 농도는 10~40 g/L로, FT는 2~10분으로, BT는 6~30초로 변화시키면서, 그 영향을 180분 운전 후 막오염에 의한 저항$(R_f)$, 투과선속(J)과 총여과부피$(V_T)$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광촉매 코팅 구의 농도가 감소할수록 $R_f$는 증가하고 J는 감소하였다. 광촉매 코팅 구의 농도 40 g/L 에서 $V_T$가 8.85 L로 가장 높았다. FT 변화 실험에서는 FT가 감소할수록, $R_f$는 감소하고 J는 증가하였다. 한편, BT 변화 실험에서는 BT가 증가할수록, $R_f$는 감소하고 J는 증가하였다. 또한, NBF(no back-flushing)에서 급격한 막오염에 의한 분리막 기공의 감소로 탁도 및 용존유기물($UV_{254}$ 흡광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었기 때문에, 탁도 및 용존유기물의 처리효율이 NBF 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한편, 광촉매 코팅 구의 세척 효과로 FT가 감소할수록, BT가 증가할수록 탁도 및 용존유기물의 처리효율은 증가하였다.

식물 엽록소와 고분자 나노섬유를 이용한 광합성 나노섬유복합막의 제조 (Preparation of Photosynthesis Nanofiber Composite Membrane by Using Chlorophyll and Polymer Nanofiber)

  • 윤재한;장원기;변홍식
    • 멤브레인
    • /
    • 제25권1호
    • /
    • pp.75-8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우리 주위에서 흔히 채취할 수 있는 식물을 이용하여 엽록체를 추출하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PP부직포 위에 도포하여 복합막을 제작하였으며, 산소 발생여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조된 엽록체의 도입 방법에 따른 실험에서, 딥(dipping) 코팅법과 스프레이(spraying) 코팅법을 이용하였으며, 밀폐된 용기와 진공오븐 내 초를 이용한 연소 시험 모두에서 스프레이 코팅이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엽록체의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nylon6/6 나노섬유를 PP부직포 위에 전기방사하여 복합지지체를 제조한 후, 엽록체를 도입하여 제조한 샘플의 경우, 나노섬유가 도입되지 않은 샘플에 비해 낮은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iO_2$가 포함된 샘플들의 경우, 포함되지 않은 샘플들에 비해 엽록체 함량이 50%가 도입되었지만, 16%에서 21%까지 도달되는 시간과 초를 이용한 연소실험에서 각각 유사한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입된 스프레이 코팅법과 $TiO_2$ 접목은 산소발생용 분리막 및 공기청정기용 필터소재로의 응용에 대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미셀 형성 세라믹 분리막에 의한 칼슘이온 제거 (Removal of Aqueous Calcium Ion by Micellar Enhanced Ceramic Membranes Adding Surfactant)

  • 박진용;박보름
    • 멤브레인
    • /
    • 제18권1호
    • /
    • pp.7-2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칼슘 이온 제거를 위해 칼슘용액에 임계미셀농도(CMC) 이상으로 음이온계면활성제인 sodium dodecyl sulfate (SDS)를 주입하여 미셀을 형성한 후, 미셀 표면에 칼슘 이온의 흡착 또는 결합으로 형성된 응집체들을 2종류의 세라믹 분리막으로 배제하였다. 그 결과, 99.98% 이상 칼슘 배제율을 보였다. 또한 본 실험범위에서 TMP가 증가할수록 막오염($R_f$)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구동력의 증가로 인해 총여과부피($V_T$) 및 무차원한 투과선속($J/J_o$), 투과선속(J) 역시 증가하였다. 또한 세라믹 분리막에 대하여 주기적 질소 역세척을 실시할 경우, 질소 역세척 시간(BT) 및 여과 시간(FT), 즉 역세척 주기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NCMT-6231 (평균기공 $0.07{\mu}m$) 및 NCMT-7231 ($0.10{\mu}m$) 분리막의 최적 BT는 각각 10초, 15초이었다. 또한, 최적 FT는 2종류 분리막 모두 5분으로, 빈번한 질소 역세척이 막오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한편 칼슘용액으로 실험하여 도출된 최적 운전조건을 두유 포장팩 세척수로 사용하고 있는 지하수에 적용한 결과, 2종류의 분리막 모두 칼슘을 99.98% 이상 제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