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oidogyne incognita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43초

Control of Meloidogyne incognita Using Mixtures of Organic Acids

  • Seo, Yunhee;Kim, Young 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0권4호
    • /
    • pp.450-455
    • /
    • 2014
  • This study sought to control the root-knot nematode (RKN) Meloidogyne incognita using benign organo-chemicals. Second-stage juveniles (J2) of RKN were exposed to dilutions (1.0%, 0.5%, 0.2%, and 0.1%) of acetic acid (AA), lactic acid (LA), and their mixtures (MX). The nematode bodies were disrupted severely and moderately by vacuolations in 0.5% of MX and single organic acids, respectively, suggesting toxicity of MX may be higher than AA and LA. The mortality of J2 was 100% at all concentrations of AA and MX and only at 1.0% and 0.5% of LA, which lowered slightly at 0.2% and greatly at 0.1% of LA. This suggests the nematicidal activity of MX may be mostly derived from AA together with supplementary LA toxicity. MX was applied to chili pepper plants inoculated with about 1,000 J2, for which root-knot gall formations and plant growths were examined 4 weeks after inoculation. The root gall formation was completely inhibited by 0.5% MX and standard and double concentrations of fosthiazate; and inhibited 92.9% and 57.1% by 0.2% and 0.1% MX, respectively. Shoot height, shoot weight, and root weight were not significantly ($P{\leq}0.05$) different among all treatments and the untreated and non-inoculated controls. All of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ixture of the organic acids may have a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an eco-friendly nematode control agent that needs to be supported by the more nematode control experiments in fields.

Monacrosporium thaumasium을 이용한 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 방제용 미생물제제의 개발 (Development of a Biocontrol Agent Using Monacrosporium thaumasium to Control a Root 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 최예훈;김근기;손홍주;신해수;박현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605-1609
    • /
    • 2007
  • 미생물 제제의 실내 pot 실험을 통한 효능 실험에서 선발된 Monacrosporium thaumasium을 이용한 KBC3017 제제의 실외 포장 실험을 통해 최적의 구성과 효능 조건을 찾았다. 선발된 균주의 미생물제제 제조를 위해 첨가한 첨가제 중 무기증량제로 Diatomite와 유기증량제로 생옥분이 효과적이었으며, 처리량별 선충 밀도 억제효과는 처리량이 많을수록 효과가 높았으나, 적정 처리량은 2%의 diatomite와 옥가루가 포함된 KBC3017 제제를 이용하여 방제하였을 때 71%의 선충 방제 효과가 나타났다. 이 방제가는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뿌리와 줄기에서 보다 좋은 효과가 있었다.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Control Using a Combination of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WiKim0090 and Copper Sulfate

  • Kim, Seulbi;Kim, Ho Myeong;Seo, Hye Jeong;Yeon, Jehyeong;Park, Ae Ran;Yu, Nan Hee;Jeong, Seul-Gi;Chang, Ji Yoon;Kim, Jin-Cheol;Park, Hae Wo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8호
    • /
    • pp.960-966
    • /
    • 2022
  • Lactic acid bacteria (LAB) exert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root-knot nematodes, mainly by producing organic acids via carbohydrate fermentation. However, they have not yet been used for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control owing to a lack of economic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In this study, we aimed to isolate organic acid-producing LAB from kimchi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cabbage) and evaluated their nematicidal activity. Among the 234 strains isolated, those showing the highest nematicidal activity were selected and identified as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WiKim0090. Nematicidal activity and egg hatch inhibitory activity of WiKim0090 culture filtrate were dose dependent. Nematode mortality 3 days after treatment with 2.5% of the culture filtrate was 100%, with a 50% lethal concentration of 1.41%. In pot tests, the inhibitory activity of an L. plantarum WiKim0090-copper sulfate mixture on gall formation increased. Compared to abamectin application, which is a commercial nematicide, a higher control value was observed using the WiKim0090-copper sulfate mixture, indicating that this combination can be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root-knot nematode.

생물학적 살선충제의 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 방제 효과 (Control Effect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by Biological Nematicide)

  • 박문현;;김선중;윤민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2-168
    • /
    • 2012
  • 친환경 선충 방제제 개발을 위해 경북 성주군 선남면 및 충남 공주군 우성면의 시설원예 재배지 토양으로 부터 선충 포식성이 뛰어난 곰팡이 Arthrobotrys thaumasia Nema-1과 선충 표피성분인 collagen과 알집 주성분인 gelatin 분해능이 뛰어난 Bacillus subtilis C-9를 분리 하였다. 이들 분리균을 대상으로 포트실험을 통해 선충치사 효과의 지표인 난낭수 감소를 검토한 결과, 균밀도가 $7.0{\times}10^3cfu\;g^{-1}$인 A. thaumasia Nema-1 곰팡이 제제 $5,000mg\;kg^{-1}$을 처리 시 뿌리혹 선충의 난낭수가 무처리 대비 35% 감소하였다. 포식성 곰팡이 Nema-1 제제와 균밀도가 $8.5{\times}10^5cfu\;g^{-1}$인 B. subtilis C-9 세균 제제 각각 $5,000mg\;kg^{-1}$ 혼합 처리구에서는 난낭수가 무처리 대비 67% 감소하였다. 또한 선충치사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살선충 활성이 있다고 보고 된 계피추출물 제제 $10mg\;kg^{-1}$$5,000mg\;kg^-$의 Nema-1과 C-9 제제와 혼합하여 처리 하였을 때 난낭수가 무처리 대비 84%이상 감소하였으며, 대표적 살선충제인 선충탄(Fosthiazate) $24mg\;kg^{-1}$은 난낭수가 26% 감소한 결과와 비교해 볼 때 훨씬 높은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생물학적 선충방제제는 미생물 또는 식물체 추출물 단제 보다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젤라틴 분해력이 있는 Bacillus균의 고추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cillus spp. Having Gelatin Decomposing Activity on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on Pepper)

  • 김진한;박찬선;김영호;김유리;이승웅;노문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75-379
    • /
    • 2016
  • 내장산 토양에서 분리한 미생물들의 젤라틴 및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난낭 분해활성을 평가하였다. 활성이 우수한 3종의 균주는 1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Bacillus subtilis KRB-5와 Bacillus amyloliquefaciens KRB-9, 10이 분리동정되었다. 고구마뿌리혹선충에 20일간 노출시킨 고추모종에 분리동정된 3종의 미생물을 90일동안 처리하고 난낭과 고추모종의 지상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B. subtilis KRB-5을 처리한 군에서는 미생물 무처리 군 및 다른 미생물 처리 군과 비교하여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난낭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고추의 지상부 생육도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B. subtilis KRB-5 균주를 이용한 박과 작물에 대한 확대 효능 평가와 시설 재배지 현장 시험 등의 추가적인 연구는 활용할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생물학적 선충 방제제를 이용한 고구마 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의 방제효과 (Nematicidal Effect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by Biological Nematicide)

  • 박문현;김진광;최원호;윤민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28-235
    • /
    • 2011
  • 친환경 선충 방제제 개발을 위해 경북 성주군 선남면 및 충남 공주시 우성면의 시설원예 재배지 토양으로 부터 선충 포식성이 뛰어난 곰팡이 Arthrobotrys thaumasia Nema-1과 선충 표피성분인 collagen과 알집 주성분인 gelatin 분해능이 뛰어난 Pseudomonas putida C-5를 분리 하였다. 이들 분리균의 선충치사 효과를 검토한 결과, A. thaumasia Nema-1 곰팡이 배양액 $5,000mL\;L^{-1}$을 처리 시 방제효과는 72시간 후에 55%이었으나, 포식성 곰팡이 Nema-1과 P. putida C-5 세균 배양액 각각 $5,000mL\;L^{-1}$ 혼합 처리구에서는 65%로 상승하였다. 또한 선충치사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살선충 활성이 있다고 보고된 계피추출물 $50mg\;L^{-1}$$5,000mL\;L^{-1}$의 Nema-1과 C-5 배양액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72시간 경과 후의 치사율은 89%로 상승되었으며, 대표적 살선충제인 선충탄(Fosthiazate) $50mg\;L^{-1}$의 방제가 17%와 님오일 $2,000mL\;L^{-1}$의 방제가 57% 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생물학적 선충방제제는 미생물 또는 식물체 추출물 단제 보다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항선충성 Bacillus thuringiensis 108균주의 분리와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maticidal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 108)

  • 이재훈;류은주;김광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50-254
    • /
    • 2007
  • 식물 뿌리혹 선충인 Meloidogyne incognita에 살충성이 있는 Bacillus thuringiensis 108 균주를 분리 선별하였다. 이 균주는 Gram양성이며, 포자를 형성하고, 운동성이 활발하며, lecithinase 및 catalase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균주가 생산하는 결정형 내독소(d-endotoxin)는 bipyramid형이었고, 편모항원성에 따른 균주의 동정 결과 serotype 3으로 표준 균주인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의 편모항원성과 일치하였다. B. thuringiensis 108균주의 항선충성 물질은 Sephadex G-25 gel filtration, 활성탄 흡착 chromatography, Silica gel 흡착 chromatography 및 Sephadex G-10 gel filtration을 이용하여 정제를 하였다. 최종 정제단계인 Sephadex G-10 gel filtration 후에 항선충 물질의 $LC_{90}$$1.2\;{\mu}g/ml$이었다. B. thuringiensis 108 균주가 생산하는 항선충성 물질은 $100^{\circ}C$ 열처리에서 안정하였으나 autoclave($110^{\circ}C$ 30 min)를 했을 때는 그 독성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Neobacillus sp. JC05 추출물을 처리한 오이 식물의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방어 반응 검정 (Defense Response of Cucumber Plants Treated with Neobacillus sp. JC05 Extract against Meloidogyne incognita)

  • 김유리;장화진;상미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93-40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Neobacillus sp. JC05의 추출물을 처리한 오이 식물체에서 고구마뿌리혹선충 감염에 대한 식물의 방어 반응을 조사하였다. Neobacillus sp. JC05의 추출물을 처리한 오이 식물체에서는 고구마뿌리혹선충에 의한 감염이 감소하여 control에 비하여 병 발생이 감소하였으며, 식물이 받는 피해도 줄어들었다. 이때 Neobacillus sp. JC05 추출물을 처리한 오이 식물체의 병 저항성 유전자의 발현량을 관찰한 결과, chitinase와 lipoxygenase 유전자의 발현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식물체 내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항산화효소 중 peroxidase의 활성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Neobacillus sp. JC05 추출물을 처리한 오이 식물체의 토양 FDase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반면 인산가용화효소와 유레아제 활성은 control에 비해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전의 연구 결과와 종합하면, Neobacillus sp. JC05의 추출물은 직접적으로 고구마뿌리혹선충의 알 부화율을 억제하고 유충의 사멸률을 높여 토양 내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밀도를 감소시키기도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오이 식물체의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방어 반응을 증가시켜 저항성을 유도하며, 이를 통해 고구마뿌리혹선충병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Efficacy of Different Seed Kernels against Root 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in Mulberry

  • Chowdary, N.B.;Mukherjee, Sanchayit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6권2호
    • /
    • pp.133-138
    • /
    • 2003
  • Five seed kernel namely, Neem (Azadirachta indica A. Juss.), Pongamia (Pongamia glabra L. Pierre), Tamarind (Tamarindus indica L.), Mahua (Madhuca indica Gmel.) and Shikakai (Acacia cancinna De.) were tested against hatching of eggs and larval mortality of Meloidogyne incognita causing root knot disease in mulberry along with Furadan (Carbofuran) and Bionema (a bioformulation developed from Verticillium chlamydosporium) for comparison. Results revealed that highest hush-up of hatching was observed in Neem (77.40%) and Pongamia (75.99%) seed kernel extracts at 100% concentration over the check. Similarly, highest larval mortality was observed in Neem and Pongamia by 76.00% and 74.50%, respectively at 100% concentration after 72 hrs of exposure period. Pot culture studies revealed that pre-application of seed kernel powders (20 days before inoculation of nematode)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root knot disease than post application. In pre application of seed kernel powders, maximum reduction of root knots was observed in case of Neem seed kernel powder (54.85%) followed by Pongamia (51.9%). Similar trend was also observed in reduction of egg masses/plant and nematode population /250 cc soil. Rest of the seed kernel extracts was found to be less effective in suppression of hatching, enhancing the larval mortality and controlling the root knot disease. However, application of Furadan and Bionema tested for the comparison we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seed kernel powders. The generated information seems to be useful in developing an ecofriendly integrated approach for the control of root knot nematode disease in mulberry.

Evaluation of Streptomyces saraciticas as Soil Amendments for Controlling Soil-Borne Plant Pathogens

  • Wu, Pei-Hsuan;Tsay, Tung-Tsuan;Chen, Peiche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6호
    • /
    • pp.596-606
    • /
    • 2021
  • Soil-borne diseases are the major problems in mono cropping. A mixture (designated LTM-m) composed of agricultural wastes and a beneficial microorganism Streptomyces saraceticus SS31 was used as soil amendments to evaluate its efficacy for managing Rhizoctonia solani and root 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In vitro antagonistic assays revealed that SS31 spore suspensions and culture broths effectively suppressed the growth of R. solani, reduced nematode egg hatching, and increased juvenile mortality. Assays using two Petri dishes revealed that LTM-m produced volatile compounds to inhibit the growth of R. solani and cause mortality to the root knot nematode eggs and juveniles. Pot and greenhouse tests showed that application of 0.08% LTM-m could achieve a great reduction of both diseases and significantly increase plant fresh weight. Greenhouse trials revealed that application of LTM-m could change soil properties, including soil pH value, electric conductivity, and soil organic matter. Our results indicate that application of LTM-m bio-organic amendments could effectively manage soil-borne pathog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