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in synthesis inhibitor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8초

GSK3${\beta}$의 선택적 저해제인 Kenpaullone의 B16 멜라노마 및 인간 멜라노사이트에서의 영향 (Effect of Kenpaullone, a Specific Inhibitor of GSK3${\beta}$, on Melanin Synthesis in B16 Melanoma and Human Melanocytes)

  • 김해종;이유리;호앙구엔;이향복;김은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11-218
    • /
    • 2011
  • Glycogen synthase kinase 3 beta (GSK3${\beta}$)의 선택적 저해제인 Kenpaullone가 B16 멜라노마 및 사람의 멜라노사이트에 미치는 멜라닌 합성능을 조사하였다. Kepaullone은 B16 멜라노마 및 사람의 멜라노사이트에 대하여 세포증식에는 영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합성을 촉진시켰다. B16 멜라노마 세포에 Kenpaullone을 첨가 48 h 후 tyrosinase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농도별 처리에 대하여 tyrosinase 단백질의 발현 및 tyrosinase mRNA양이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결론적으로 Kenpaullone는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 tyrosinase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켜 멜라닌 합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GSK3${\beta}$ 저해제가 멜라닌 합성을 촉진시키는 결과는 백반증과 같은 저색소관련 질병의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갖고 있는 소재로서 응용가능하리라고 판단되어진다.

신규 합성물질 (E)-3-(4-하이드록시벤질리딘)크로마논 유도체의 티로시나아제 효소활성 저해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A Novel Synthesized Tyrosinase Inhibitor, (E)-3-(4-hydroxybenzylidene) chroman-4-one (MHY1294) Inhibits α-MSH-induced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 전혜영;이슬아;양성욱;방은진;유일영;박유진;정희진;정해영;문형룡;이재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719-728
    • /
    • 2021
  • 멜라닌 색소는 포유동물의 피부, 머리카락, 눈, 신경계에 풍부하게 존재한다. 멜라닌은 다양한 환경적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생리학적 산화-환원 완충 작용을 통해 항상성을 유지한다. 그러나, 과도한 멜라닌 축적은 간반, 주근깨, 노인성 흑자, 염증성 색소침착을 일으킬 수 있다. 티로시나아제는 멜라닌의 생합성 경로 조절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다양한 미백제가 개발되었지만 알러지, DNA손상, 세포독성, 돌연변이 유발 등을 야기하는 부작용으로 인해 임상적 적용이 제한되었다. 본 논문에서 여러 4-크로마논 유도체를 합성하여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조사하였다. 이들 화합물 중 MHY1294는 IC50가 5.1±0.86 μM으로 양성 대조군인 코직산(14.3±1.43 μM) 보다 나은 티로시나아제 효소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MHY1294는 티로시나아제의 촉매 부위에서 경쟁적인 억제 작용을 보였으며 코직산보다 더 큰 기질 결합 친화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MHY1294는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 (α-MSH)에 의해 유도되는 멜라닌 합성과 세포 내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MHY1294가 과도한 멜라닌 축적에 대한 약물 제제 및 미백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균사체 배양액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 (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by Mycelial Culture Broth of Paecilomyces japonica in the Mulberry)

  • 박상상;류영배;이영훈;조용운;조수정;최영주;박기훈;갈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6호통권86호
    • /
    • pp.816-821
    • /
    • 2007
  • 본 연구는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의 in vivo, in vitro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은 10~50%의 농도 의존적으로 시험관 내에서 멜라닌 합성관련 효소활성의 저해를 나타냈다. 뽕잎 추출물 자체는 mouse melanoma cell (B16BL6)에 대한 세포독성을 보였으며 IC$_{50}$%값이 약 7% 농도로 나타난 반면,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동충하초 균사체배양액은 50% 농도에서도 어떠한 세포독성도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B16BL6 mouse melanoma cell의 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에 대해서도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은 세포에 대한 독성이 전혀 없으며, 멜라닌 생합성 저해 작용이 우수하여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확인 되었다.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ompounds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 of Lespedeza cyrtobotrya

  • Lee, Mi-Yeon;Kim, Jin-Hee;Choi, Jung-Nam;Kim, Ji-Young;Hwang, Geum-Sook;Lee, Choong-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6호
    • /
    • pp.988-994
    • /
    • 2010
  • The EtOAc fraction of Lespedeza cyrtobotrya showed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our active compounds were isolated based on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and HPLC, and the structures were elucidated, on the basis of their LC-MS and NMR spectral data, as 2-(2,4-dihydroxyphenyl)-6-hydroxybenzofuran (1), eriodictyol-7-O-glucopyranoside (2), haginin A (3), and dalbergioidin (4), respectively. Compound (1) showed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ith an $IC_{50}$ value of $5.2\;{\mu}M$ and acted as a competitive inhibitor. Furthermore, $37.3\;{\mu}M$ of compound 1 reduced 50% of the melanin content on human melanoma (MNT-1) cells.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ompounds 1, 2, 3, and 4 were shown to have $IC_{50}$ values of 11.0, 24.5, 9.0, and $36.5\;{\mu}M$, respectively, in an ABTS system and $IC_{50}$ values of 42.7, 36.0, 37.7, and $61.7\;{\mu}M$, respectively, in a DPPH system. The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tOAc fraction of Lespedeza cyrtobotrya was contributed by compounds 1, 3, and 4, and i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contributed by compounds 1-4.

The inhibitory effects of 3,4,5-Trimethoxy cinnamate thymol ester(TCTE, Melasolv$\circledR$) on Melanogenesis

  • Hwang, Jae-Sung;Hyunjung Shin;Noh, Ho-Sick;Park, Hyunjung;Ahn, Soo-mi;Park, Dong-Soon;Kim, Duck-Hee;Lee, Byeong-Gon;Ihseop Chang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5-149
    • /
    • 2002
  • To date, research on the regulation of melanogenesis has focused on factors which affect tyrosinase, the rate-limiting enzyme in the melanogenic pathway, by searching for chemicals which competitively inhibit tyrosinase function. Many types of tyrosinase inhibitors have been developed, but no satisfactory results have been made clinically until now, To find a new whitening agent, which effectively inhibits melanogenesis, we synthesized several compounds and selected compounds by cell-based assay system. Finally, 3, 4, 5-trimethoxy cinnamaie thymol ester(TCTE, Melasolv) was selected and the effects of TCTE on melanogenesis were investigated. Treatment of mouse-derived melanocyte melan-a cells with TCTE results in a marked down-regulation of tyrosinase activity. 80% decrease of tyrosinase activity occurs with 30uM TCTE treatment for 72 hours without affecting cell growth.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is dose-dependent and melanin content was also decreased to 40%. From the in vitro tyrosinase assay using cell extract, TCTE does not act as a direct inhibitor of the enzyme. Treatment of melan-a cultures with TCTE blocks the increase in tyrosinase activity by either forskolin, 3-isobutyl-1-methtyl-xanthine. TCTE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RP-1 without effects on TRP-2 protein expression through the down regulation of tyrosinase and TRP-1 mRNA. From the results of cAMP immunoassays, intracellular levels of the cyclin nucleotide are unaffected in cells treated with TCTE. The inhibitory effects of melanin synthesis were also shown in reconstitute human epidermis model by topical applic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CTE can be used for studying the regulation of melanogenesis and depigmenting agent.

B16F10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제 및 항산화제로서 조구등의 억제 효과 (The Effect of Inhibition of Uncaria rhynchophylla as an Inhibitor of Melanogenesis and an Antioxidant in B16F10 Melanoma Cells)

  • 동원원;우영민;차지현;차재영;려내유;백민우;박준성;이상현;하종명;김안드레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033-1041
    • /
    • 2020
  • 최근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은 미용적인 이유로 더 밝은 피부를 원하고 있으며, 천연 제품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화합물보다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조구등은 아시아에서 전통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새로운 피부 미백제를 찾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조구등의 항산화 활성과 잠재적인 tyrosinase 억제 작용을 확인하였다. 조구등을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고 tyrosinase 활성과 melanin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총 mRNA 발현은 RT-PCR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조구등 추출물은 B16F10 세포에서 뛰어난 항산화 능력과 상당한 수준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하였다. 또한, 세포 내 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고 처리된 세포에서 melanin의 양을 감소시켰다. Tyrosinase의 mRNA 발현은 1 mg/ml 농도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구등이 미백 효과가 있는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B16 흑색종세포에서 아피제닌에 의한 멜라닌 합성 촉진효과에 미치는 칼륨-염소이온수송체의 역할 (Role of $K^+$-$Cl^-$-cotransporter in the Apigenin-induced Stimulation of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s)

  • 이용수
    • 약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500-506
    • /
    • 2008
  • Apigenin, a natural flavonoid found in a variety of vegetables and fruits, has been shown to possess many biological function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apigenin stimulated melanin synthe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B16 murine melanoma cells. Since in our previous study $K^+$-$Cl^-$-cotransport (KCC) has been shown to mediate the mechanism of action of apigenin in neuronal cells, we further investigated the role of KCC in the melanogenesis-stimulating effect of apigenin in B16 cells. At nontoxic concentrations apigenin induced $Cl^-$-dependent $K^+$ efflux, a hallmark of KCC activity, which was markedly prevented by a specific KCC inhibitor R-(+)-[(2-n-butyl-6,7-dichloro-2-cyclopentyl-2,3-dihydro-1-oxo-1H-inden-5-yl)oxy]acetic acid (DIO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CC is functionally present, and activated by apigenin in the B16 cells. In addition, the apigenin-induced stimulation of melanogenesis was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by DIOA. NEthylmaleimide (NEM), a known KCC activator, induced $Cl^-$ efflux and stimulated melanogenesi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fashion. Both effects of NEM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DIOA.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igenin can modulate melanogenesis through the activation of a membrane ion transporter, KCC in B16 cells. These results further suggest that apigenin may be a good candidate in the therapeutic strategy for hypopigmentation disorders, such as vitiligo.

액체배양한 Coprinus congregatus에서 세포막 연관 Iaccase의 생성 조절 (Regulation of membrane-associated laccase synthesis in liquid culture of Coprinus congregatus)

  • 최영옥;하은수;김순자;최형태;윤권상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6-49
    • /
    • 1994
  • C. congregatus를 산성 액체배지(pH4.2)에 배앙할 경우 세포막연관 laccase가 배양 초기에 대량 합성분비되었으며 분비된 효소의 작용에 의하여 melanin색소가 중성배지에 비하여 빨리 생성되었고 배양 24시간 후에 배지의 산도는 pH5.2로 증가되었다. 이 효소의 합성은 transcription inhibitor인 5-fluorouracil에 의하여 크게 억제되었다.

  • PDF

남극 지의류 Ramalina terebrata로부터 분리된 라말린의 미백효과 (Inhibition of Melanogenesis by Ramalin from the Antarctic Lichen Ramalina terebrata)

  • 장윤희;류종성;이상화;박선규;하리 다타 바타라이;임정한;진무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47-254
    • /
    • 2012
  • 남극 지의류인 Ramalina terebrata에서 분리 정제된 라말린(${\gamma}$-glutamyl-N'-(2-hydroxyphenyl)hydrazide)은 이전 연구에서 강력한 항산화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라말린의 추가적인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암세포 세포주인 멜란에이 세포를 이용하여 라말린의 멜라닌 합성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라말린은 세포 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멜란에이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백제인 알부틴보다 우수하였다. 라말린은 무세포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직접 저해했을 뿐만 아니라, 세포 내의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도 저해하는 효과를 보였다. 라말린의 이러한 멜라닌 합성 저해의 기전 연구를 위하여, 멜라닌 합성에 중요한 단백질인 타이로시네이즈, TRP-1, TRP-2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을 조사한 결과, mRNA양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단백질의 발현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0.2 % 라말린을 포함한 제형을 사람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3주 후에 피부 밝기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라말린은 타이로시네이즈의 직접적인 저해뿐만 아니라 멜라닌 합성과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미백효과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를 인체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라말린은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미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당뇨 처방에 근거한 생약재의 α-Glucosidase 활성 저해 효과 및 이를 활용한 미백 소재 평가법 (Effect of Medicinal Herb Prepared through Traditional Antidiabetic Prescription on α-Glucosidase Activity and Evaluation Method for Anti-Melanogenesis Agents Using α-Glucosidase Activity)

  • 김미진;임경란;윤경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993-99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선정한 생약재 및 복합처방단의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알아보았으며, 이 방법이 미백 소재 스크리닝을 위한 유용한 평가법인지를 알아보았다. 한의학과 민간에서 당뇨의 개선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진 생약재 및 처방 중 죽력, 귀전우, 적양, 연자육, 마인, 청심연자음의 ${\alpha}$-glucosidase 활성 저해 효과는 식후 혈당조절제인 acarbose와 비교하여 볼 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백 효과가 알려진 연자육을 함유한 청심연자음 hydrolyzed EtOAc layer는 $100{\mu}g/mL$ 농도에서 약 50%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보였다. 또한 청심연자음 hydrolyzed EtOAc layer는 ${\alpha}$-glucosidase 활성 저해 효과가 우수하였으나 mushroom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로써 청심연자음 hydrolyzed EtOAc layer는 ${\alpha}$-glucosidase 활성을 저해시켜 tyrosinase의 glycosylation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 효과가 있으면서 당뇨병에 효과가 있는 생약재들은 N-linked glycoprotein인 tyrosinase의 glycosylation을 저해하여 tyrosinase의 세포 내 이동이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에서 선정된 생약재들은 당뇨병 치료를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화장품에서 새로운 미백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미백에 효과가 있는 소재 스크리닝을 위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mushroom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와 다른 접근 방법으로써 ${\alpha}$-glucosidase 활성 측정 방법도 하나의 평가법으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