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in granul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Vasopressin의 멜라닌 확산작용에 대하여 (Melanin-dispersing Effect of Vasopressin on Frog Skin Melanocyte)

  • 홍승길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7권2호
    • /
    • pp.59-66
    • /
    • 1973
  • It has been reported that vasopressin disperse the melanophore granule of frog skin. The author used hypophysectomized and adrenergic receptor blockaded animals in order to define the mechanism of vasopressin on the melanopore pigment of frog skin. The Rana niglomaculata which could be found in the Seoul area were used on this experiment. The amount of the following drugs were injected into the lymphatic sac of the frog; vaospressin $(0.05\;{\mu}g/g\;B.W.)$, dibenzylin $(0.05\;{\mu}g/g\;B.W.)$, and propranolol $(0.01\;{\mu}g/g\;B.W.)$.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1. Vasopressin dispersed the melanin granules of melanocyte of frog skin. 2. The melanin granule dispersion activity of vasopressin was observed on the hypophysectomized frog. 3. The melanin granule dispersion was observed on the adrenergic receptor blockaded frog with dibenzylin or propranolol respectively, especially the later one was found to be more obvious. 4. The melanin granule dispersion was observed on the frog which was injected with vasopressin after alpha-receptor or beta-receptor blockade and the later one was found to be more obvious. 5. The melanin granule dispersion was more effective with the blockade of beta-receptor after the treatment with vasopressin on hypophysectomized frog.

  • PDF

초고압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라 모발 멜라닌과립의 구조 관찰 (Observation of the Structure of Melanin Granule in Mummy's Hair Shaft Using High-Voltage Electron Microscopy)

  • 장병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97-202
    • /
    • 2017
  • 본 연구는 미라 모발에 존재하는 멜라닌과립의 보존 상태와 모양을 규명하기 위해서 1250kV의 초고압전자현미경(high voltage electron microscope: HVEM)을 사용하여 3차 구조를 분석하였다. 미라 모발에서 피질에 분포하고 있는 멜라닌과립은 큐티클층에 인접한 바깥쪽 피질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이들 부위에는 다량의 멜라닌과립들이 무리를 지어 존재하고 있어서 현대인의 정상 모발에 있는 멜라닌과립의 분포양상과 뚜렷한 차이점을 나타내었다. 초고압전자현미경으로 ${\pm}60$도의 범위에서 1도 간격으로 촬영한 결과 멜라닌과립은 길쭉한 타원형의 형태로 크기가 다양하게 관찰되었다. 과립의 크기는 단축 직경이 $0.3-0.6{\mu}m$이고, 장축 직경은 $0.5-1{\mu}m$로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초고압전자현미경은 일반 투과전자현미경보다 높은 해상도와 투과력을 가져서 두꺼운 절편의 생물 시료 구조분석에 용이하다.

자외선 조사에 따른 모발의 물리화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Change of Human Hair Shaft Following Radiation with Ultraviolet)

  • 장병수;나수경;이귀영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2호
    • /
    • pp.109-118
    • /
    • 2006
  • 자외선 B를 사람의 두피에서 채취한 모발에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동안 각각 조사한 후 모발의 미세구조적인 변화 과정과 모발 단백질의 분해에 의한 원소 성분의 함량 변화를 전자현미경 및 에너지분산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외선에 6시간 조사된 모발에서 모발 표면은 중첩된 큐티클층이 분리되어 있거나 부러져있는 상태로 나타났다. 큐티클세포의 내큐티클에는 직경이 30nm에서부터 700nm크기의 공포를 형성하고 있었다. 자외선에 12시간 조사된 모발에서 피질은 치밀하게 배열되어 있는 각화세포의 세포막이 파괴되어 공포가 형성되었는데 공포는 세포막을 따가서 일렬로 배열되어 있었다. 또한, 멜라닌 과립과 접촉하고 있는 거대원섬유에서 공포가 형성되어 멜라닌 과립과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시기에도 멜라닌 과립의 모양이나 크기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자외선에 24시간 조사된 모발에서 큐티클세포들은 절단된 상태로 관찰되었고 세포질의 내큐티클에 형성된 공포들은 인접해 형성된 공포들과 융합되었다. 자외선에 48시간 조사된 모발은 표면이 거칠게 나타났고, 큐티클의 안쪽 층에 있는 세포에서부터 형성된 공로로 인해 위쪽에 있는 큐티클 세포는 들뜨면서 조각나 떨어져 나갔다. 자외선 조사를 받아 손상된 모발의 원소성분을 에너지 분산 분광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정상모발 보다 산소성분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나 황의 성분은 감소되었다.

풍화작용에 의한 정상모발의 형태학적 변화 (Morphological Change of Men's Hair Shaft by Weathering)

  • 홍완성;장병수;임도선;박상옥;여성문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1호
    • /
    • pp.11-20
    • /
    • 2000
  • 성인 남성의 모발에서 정상 모간과 자연상태에서 손상된 모간의 외부형태와 미세구조적 변화를 광학현미경과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정상 모간은 모소피층, 모피질, 모수질 등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모소피층은 $5\sim7$개의 모소피세들이 중첩되어 모피질과 모수질을 둘러싸고 있고, 길게 신장되어 모피질을 둘러싸고 있는 소피세포의 두께는 약 $0.4{\mu}m$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 세포사이에는 약 $25{\mu}m$의 세포사이 막복합체가 관찰되었다. 모피질은 잘 발달되어 각질화세포(cornified cell)들로 치밀하게 채워져 있었고, 각질화세포는 직경이 약 $0.5\sim0.8{\mu}m$인 구형 또는 타원형의 macrofibril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약 8 nm 두께의 가는 microfibril이 동심원상의 규칙적인 형태로 배열되어 있었다. 그리고 macrofibril사이에는 약 $0.5{\mu}m$ 크기의 직경을 가진 구형의 melanin과립들이 고르게 산재되어 관찰되었다. 모수질은 공기가 채워져 있었고, 직경이 약 $16{\mu}m$의 구형의 형태로 모간의 전체 직경에 1/5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풍화에 의해 손상된 모간은 모소피층이 박리되어 있었으며, 모피질세포의 세포질도 손상되어 melanin과립들이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인 확인되었다. 조직표본상에서 모소피층의 박리과정은 모소피 사이에 공포가 형성되고, 이어서 모소피의 가장자리가 떨어져 나가고, 박리되지 많은 부위는 절단되었다. 모소피가 탈락되어 모피질이 노출된 부위에서는 각질화세포내에 존재하는 macrofibril이 각각 분리되고, 인접된 macrofibril사이에 공기가 채워지게 어 모간의 풍화과정은 더욱 촉진되었다. 그리고 노출된 macrofibril사이에서 탈락 직전의 melanin과립들이 산재되어 관찰되었다.

  • PDF

금붕어(Carassius auratus L.) 피부(皮膚) 색소세포(色素細胞)의 미세구조(微細構造) 및 색소과립(色素顆粒) 형성(形成)에 관한 연구(硏究) II. 백색소세포(白色素細胞)(leucophore) 및 흑색소세포(黑色素細胞)(melanophore) (Ultrastructures of the Cutaneous Chromatophores and Pigment Granule Formation in the Goldfish, Carassius auratus L. II. Leucophore and Melanophore)

  • 문명진;김창환;김우갑
    • Applied Microscopy
    • /
    • 제17권1호
    • /
    • pp.65-75
    • /
    • 1987
  • The ultrastructure of the cutaneous chromatophores and the origin of pigment granules in the goldfish, Carassius auratus L., are studied with electron microscope. Leucophores contain amorphous pigment granules, leucosomes and melanosomes contain oval shaped electron dense melanin pigment granules. These pigment granules are synthesized from the Golgi complexes of each chromatophores and released into the cytoplasm. Among the dermal chromatophores, another kind of dermal cells, named rER rich cells, are also observed. And pinocytotic vesicles are being formed only the inner surface of the chromatophores adhering to the rER rich cells. From these observations, such hypothesis are being possible that pigment materials are synthesized and transfered from the rER rich cells to dermal chromatophores by the pinocytosis. And next remodelizing mechanisms are carried out by the Golgi complexes of each chromatophores.

  • PDF

푸들에서 발생한 melanotrichia: 임상적 그리고 조직병리학적 특징 (Melanotrichia in Poodles :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 김하정;박철;정동인;김주원;강병택;임채영;서정향;김춘근;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3-156
    • /
    • 2005
  • 5살과 2살의 푸들 견이 미용 직후, 등 부위의 털의 변색과 전신적 탈모증세로 건국대학교 부속 동물 병원에 내원하였다 병변 부위에서는 육안적으로 약간의 피부 발적과 소농포가 발견되었지만 총 혈구 계산, 혈액 화학 검사에서는 특이한 소견이 발견되지 않았다. 아울러 최근 약물투여 병력도 없었다. 병변부의 trichogram에서는 모근 쪽과 모간에 멜라닌 과립이 착색되어 있었고, 병변 이외의 부위에서는 멜라닌 착색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병변부 피부 생검에서는 약한 부전 각화증이 관찰되었으며 아주 미약한 진피층의 호중구 침윤이 관찰되었다. 본 케이스에서는 melanotrichia가 미용 직후에 피부에 가해지는 각종 자극에 의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미용 후 멜라닌 신생의 정도와 델라닌 세포의 증식 기전은 본 증례로서는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다.

피부의 광반응 (Photoreactions of the Skin)

  • 배성수;박래준;김진상;권혁철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4권1호
    • /
    • pp.13-18
    • /
    • 1992
  • Most of the electromagnetic agents used in physical therapy rely for their effects on tissue heating and photoreaction of the body. Infrared and untraviolet light on the other hand, owns its place in medicine because it produces direct photochemial reaction when it interacts with the bod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d review for photoreaction of the akin. The results were an follows. 1. The effects of the infrared are heat production, increasing metabolism, increasing circulation, vasodilatation and pigmentation. 2. Directed photoreactions are divided into acute reaction and chronic reaction, and the acute reaction makes pigmentation from $290\~320nm$ of ultraviolet ray. 3. Ultraviolet ray formated pigmentations, which are melanoblasts excited from ultraviolet ray and received chemical stimulation, that make melanin granule. 4. If exposured with long duration, at ultraviolet ray, it makes skin thickening and epithelioma. 5. Indirected photoreaction is made by existenced hypersensitivity of photoreaction or lack of photodefence structure. 6. The phototoxic reactions are synthesized by chemical reaction of excitement from ultraviolet ray also this time analysis, synthesis and polymerization from energy of a circumferenced substance. 7. Sunscreen substances are P-amino benzoic acid and oxidate titan.

  • PDF

한국인 태아 조기질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The Fine Structure of Human Fetal Nail Matrix)

  • 손형선;최재권;정윤영;배춘상
    • Applied Microscopy
    • /
    • 제26권1호
    • /
    • pp.79-93
    • /
    • 1996
  • The differentiation of nail matrix and fine structure of matrix cells were studied with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 using specimens from nails of thumb finger in Korean fetuses 14 to 24 weeks old. Fetal nail matrix consisted of two horizontal layers, thicker ventral and thinner dorsal matrices, originating from invagination of epidermis in proximal nail field. Matrix being generally thicker in its distal region than the apex became gradually thickened with increase of the fetal age. Each matrix consisted of single layer of basal cells and multiple layers of squamous cells which are arranged close to and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nail mairix. The process of keratinization of fetal nail matrix was noted to be occured concurrently in the ventral and dorsal matrices along the central axis of matrix toward distal and dorsal direction. Squamous cells became matured with accumulation of tonofilaments, increase of keratohyalin granules, discharge of membrane coating granules, and narrowing of intercellular spaces, thickening of plasma membrane and finally being transformed into horny cells of nail plate. Horny cells of nail plate filled with fibrous elements in the electron dense amorphous substance. These findings of keratinization process of fetal nail matrix appeared to be similar to those of keratinization in epidermis and inner root sheath of the hair. In the nail matrix, however, corresponding region to the keratogenous zone of growing hair follicle was not observed. Vacuolated squamous cells of nail matrix seen on light microscopy was considered to be artefactual product, but squamous cells with condensed small nuclei rarely found adjacent nail plate wa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squamous cells with unknown function. Proximal end of nail plate was observed on dorsal surface of nail field distal to the proximal nail fold at 14 and 16 weeks old human embryos. Proximal prolongation of the proximal end of nail plate was occured with advancing fetal age and afterward 21 weeks nail plate invaded into nail matrix. Melanin granule containing cells and Merkel cells were present only on the basal layer of dorsal nail matirx.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