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ine, Korean Traditional

검색결과 5,833건 처리시간 0.034초

소목(Caesalpinia sappan L.)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 및 부착 억제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Adherence Inhibition on Streptococcus mutans by Ethyl Acetate Extract from Caesalpinia sappan L.)

  • 권현정;김용현;한국일;전미애;한만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5-162
    • /
    • 2012
  • 본 연구는 소목(Caesalpinia sappan L.)의 6가지 유기용매 분획물 중 IP-3의 항균활성을 및 부착능을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ethanol에 의해 분리된 소목의 항균 물질 수율은 총 4.8%로 나타났으며, 여러 분획물 가운데 EtOAc 분획물(IP-3)에서 3.94%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다. 2. 소목의 EtOAc 분획물에서 최종 정제된 활성물질은 UV 288.3 nm에서 최대 흡수피크를 나타내었으며, NMR spectrum을 통해 brazilin(($C_{16}H_{14}O_5$)으로 확인되었다. 3. S. mutans에 대한 소목의 EtOAc 분획물의 항균 활성은 최소억제농도(MIC) 3.1 mg/ml에서 균의 생장을 억제하였다. 4. S. mutans 부착억제효과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를 S. mutans와 24 시간 동안 함께 배양한 대조군은 균 부착률이 높게 관찰되었으나, 소목의 EtOAc 분획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HA에 S. mutans의 부착이 매우 적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소목에서 추출된 EtOAc 분획에 존재하는 brazilin이 구강 내 우식원성세균에 강한 항균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S. mutans의 부착 억제능이 확인되어 우식원성 균주에 대한 생약치료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HT-1080 세포에서 만형자 용매 추출물의 암전이 억제효과 (Anti-invasive Effect of the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from Viticis Fructus in PMA-induced HT-1080 Cells)

  • 손재민;김호준;공창숙;서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93-299
    • /
    • 2018
  • 본 연구는 PMA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에 의해 MMP 활성이 증가된 섬유육종세포에서 MMP-2와 -9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활성에 대한 만형자의 억제 효과를 zymography와 RT-PCR 방법에 의해서 측정하였다. 만형자 시료는 dichloromethane에 의해서 두 번 추출되었으며 동일한 과정을 methanol를 사용하여 반복하였다. 각각의 용매에 의해서 얻어진 추출물을 합한 후에 zymography를 이용하여 이 추출물의 MMP-2와 -9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유의적인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억제활성 성분을 추적하기 위하여 극성에 따른 추출물의 용매분획을 실시하여 n-hexane, 85% aq. MeOH, n-butanol, 및 water 분획층을 얻었다. 이 4가지 용매분획에 대한 MMP 억제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측정한 결과 85% aq. MeOH 분획층이 zymography와 RT-PCR 실험에서 MMP-2와 -9에 대해 가장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만형자 추출물이 암전이 억제제 개발을 위한 좋은 원천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당귀(Angelica spp.)의 기원분석에 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현황 및 향후과제 (Current status on the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for differentiation of the origin of Angelica spp.)

  • 이신우;이수진;한은희;신의철;조계만;김윤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12-18
    • /
    • 2017
  • 당귀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국가에서 유용하게 이용되는 한약재이다. 그러나 국가마다 그 기원을 달리하기 때문에 혼 오용이 심하고 국제시장에서 혼란을 불러일으킬 소지가 다분하다. 따라서 오래전부터 형태학적, 세포유전학적 분석과 지표성분을 이용한 화학적 판별 마커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재배환경과 수확 후 가공 및 처리방법에도 비교적 안전한 유전자 단편의 염기서열 비교분석을 통한 분자생물학적 기술을 적용한 판별기술의 개발에 관한 연구결과 들이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들 기술의 실용화를 통한 현장 적용에는 한계가 있으며 보다 많은 후속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얻어진 문제점을 논하고 향후 필요한 추가 연구 과제들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α-Asarone이 항산화 활성 및 기질금속단백질 분해효소 활성 조절에 미치는 영향 (α-Asarone Modulates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 as well as Antioxidant Activity)

  • 박혜정;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000-1006
    • /
    • 2015
  • α-Asarone은 동양의 전통적인 약재로 잘 알려진 석창포(Acorus gramineus)의 주된 성분이다. 석창포는 항위궤양, 항알러지, 히스타민 방출 억제 그리고 항산화 효과와 같이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석창포 역할에 대한 기전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HT1080 세포주에서 α-asarone의 항산화 효과뿐만 아니라 matrix metalloproteinase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가장 먼저 α-asarone의 세포 생존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MTT assay를 이용하여 16 μM이하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나타내었다. α-asarone이 환원력과 fenton reaction에 의해 유도된 DNA 산화로부터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α- asarone은 collagenase 활성을 증가시키고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로 자극된 MMP-2 및 MMP-9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한편 phenazine methosulfate (PMS) 로 자극된 경우 MMP-9의 활성은 α-asarone의 존재하에서 증가되었으나 MMP-2 활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므로 우리의 연구결과는 α-asarone이 산화적 스트레스 및 MMPs와 관련된 병리학적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이 기대된다고 제안한다.

Heme Oxygenase-1 발현과 NO 생성에 미치는 Achyranthoside C Dimethyl Ester의 효과 (Effects of Achyranthoside C Dimethyl Ester on Heme Oxygenase-1 Expression and NO Production)

  • 방수영;송지수;문형인;김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976-983
    • /
    • 2015
  • Achyranthoside C dimethyl ester (ACDE)는 우슬에서 분리한 oleanolic acid glycoside이다. 본 연구에서는 RAW264.7 대식세포에서 ACDE의 항염증 효과를 관찰하고 그 작용 기전을 연구하였다. ACDE는 세포에 독성을 유도하지 않으면서 heme oxygenase-1 (HO-1)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ACDE 는 HO-1의 발현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nuclear factor E2-related factor 2 (Nrf2)를 핵으로 이동시켰다. 또한 ACDE에 의한 HO-1의 발현은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 및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 억제제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ACDE가 Akt, c-Jun kinase (JNK),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ERK), p38 kinase의 인산화를 유도하였다. 한편 ACDE는 lipopolysaccharide (LPS)로 인한 nitric oxide (NO)의 생성과 inducible NO synthase (iNOS)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HO-1 siRNA를 처리했을 때 ACDE가 iNOS의 발현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ACDE는 대식세포에서 PI3K/Akt 및 MAPK와 Nrf2 신호전달과정을 통해 HO-1의 발현을 유도함으로써 NO와 같은 염증매개물질의 생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ACDE가 항염증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천초근 dichloromethane 추출물의 Jurkat T 세포에서 세포사멸 효과 (Apoptotic Effect of Rubia cordifolia Dichloromethane Extracts on Human Acute Jurkat T Cells)

  • 김지혜;이종환;김영호;김광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3-168
    • /
    • 2009
  • 천초근은 전통적으로 동양의학에서 항암제로 사용되어왔는데 인간 급성 백혈병 세포주인 Jurkat T 세포를 사용하여 천초근의 세포독성기작을 알아보았다. 천초근 뿌리(3 kg)를 메탄올로 추출, 증류한 후 물에 녹여 다시 dichloromethane으로 추출분획 하였다. 세포독성 활성을 보이는 dichloromethane 추출물을 연속적으로 HPLC를 통해 분리하였고 그 활성물질(65 mg)을 CCH1이라 명명하였다. CCH1을 0.5 ${\mu}g$/ml에서 2.0 ${\mu}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세포사멸 과정을 보았다. 즉, mitochondria cytochrome c 방출, casapase-8, -9 및 caspase-3의 활성화, PARP 분해, DNA 단편화 현상들이 일어나는 것을 관찰하였다. 하지만, mitochondria cytochrome c 방출 억제자인 Bcl-xL이 과발현되는 Jurkat T 세포에서는 세포사멸현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CCH1이 mitochondria 의존적인 신호전달 과정을 통해서 세포사멸을 유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CCH1에 의한 세포독성은 혈액에서 분리한 단핵구 세포보다 Jurkat T 세포에서 보다 강한 활성을 보였다.

눈개승마 지상부의 항혈전 활성 (Anti-thrombosis Activity of the Aerial Part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 김미선;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15-521
    • /
    • 2014
  • 한방에서 지혈 및 어혈 제거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눈개승마는, 최근 약용 산채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눈개승마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고자 눈개승마 지상부로부터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이들의 혈액응고 저해활성 및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눈개승마의 에탄올 추출물(0.5 mg/ml)에서 1.4~2.3배의 우수한 TT, PT, aPTT 연장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내인성 혈액응고 인자 저해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분획물에서는 ethylacetate 분획에서 가장 우수한 aPTT 연장효과를, butanol 분획에서는 혈액응고 촉진효과를 확인하였다.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평가의 경우, 눈개승마 에탄올 추출물은 임상에서 사용하는 항혈소판제인 아스피린에 필적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butanol 분획은 0.25 mg/ml 농도에서 아스피린 0.5 mg/ml 에 해당하는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에탄올 추출물과 활성 분획물들은 0.5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을 나타내지 않아, 눈개승마가 천연물 유래의 항혈전제로 개발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상기 활성분획들이 높은 함량의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total sugar를 포함함을 고려할 때, 활성물질의 정제시에는 더욱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눈개승마의 항혈전 활성의 최초 보고이다.

식물화합물 다량 함유 제주조릿대 잎 추출물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tochemical-Rich Extract from Sasa quelpaertensis Leaf)

  • 이주엽;고희철;장미경;김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330-1335
    • /
    • 2016
  • 조릿대 속 식물의 잎은 한의학적으로 염증, 해열, 이뇨 관련 질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제주조릿대는 제주도 한라산 일대에서만 분포되어있는 토착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조릿대 잎 추출물의 산업적 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추출방법에 따른 식물화합물의 함량과 그 생리 활성을 비교함으로써 기능성이 강화된 식물화합물 다량함유 추출물(phytochemical-rich extract; PRE)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였다. PRE는 열수추출물과 알코올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고, 조릿대 주요성분인 p-coumaric acid (44.10 mg/g)와 tricin (5.35 mg/g)의 함량은 열추추출물(p-coumaric 23.39 mg/g, tricin 0.18 mg/g)과 알코올 추출물(p-coumaric 10.8 mg/g, tricin 0.38 mg/g)에 비해 매우 높았다. RPE는 다른 추출물에 비해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1,1-diphenyl-2-picrylhydrazy(DPPH) 소거활성,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소거활성, nitric oxide(NO) 소거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RPE는 LPS로 자극시킨 RAW 264.7 세포에서 NO 생성($IC_{50}=59.1{\mu}g/ml$)과 혈액 암(HL-60) 세포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PRE가 식물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및 항염소재로서 활용가치가 있음을 제시해 준다.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반응에서 섬애약쑥 추출물의 간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Sumaeyaksuk (Artemisia argyi H.) Extract on LPS-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

  • 김동규;강민정;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282-1288
    • /
    • 2016
  • 본 연구는 섬애약쑥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물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및 간 염증에 대한 보호효과를 세포수준에서 확인하였다. 세포독성이 없는 $100{\sim}400{\mu}g/ml$의 농도 범위에서 섬애약쑥 추출물은 HepG2 세포에서 nitric oxide (NO)와 reactive nitrogen species (ROS)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간염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cytokine인 M-CSF와 IL-8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직접적인 간 손상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인 AST와 ALT의 발현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해서 섬애약쑥물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200{\sim}400{\mu}g/ml$의 범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간 염증의 개선 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단서를 확인하였다.

후박 열수 추출물의 Jurkat T 세포에서 세포사멸 효과 (Machilus Thunbergii Water Extract Induces Cytotoxic Effect against Human Acute Jurkat T Lymphoma)

  • 김민환;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951-957
    • /
    • 2017
  • 후박은 전통적으로 동양의학에서 사용되어왔는데 인간 급성 백혈병 세포주인 Jurkat T 세포를 사용하여 후박의 세포독성 관련 기작을 알아보았다. 후박 뿌리(3 kg)를 메탄올로 추출, 증류한 후 내용물을 물에 녹여 동결 건조 후 사용 하였다. 그 활성물질을 MTWE이라 명명하였다. MTWE을 0, 25, 50, $1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세포사멸 과정을 보았다. 즉, mitochondria cytochrome c 방출, caspase-3의 활성화 및 ICAD 분해를 관찰하였다. 더욱이, mitochondria cytochrome c 방출 억제자인 Bcl-xL이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Jurkat T 세포에서는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MTWE가 mitochondria 신호전달 과정을 통해서 세포사멸을 유도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MTWE를 0, 25, 50, $100{\mu}g/ml$ 처리에 대한 암세포 성장억제인자인 DUSP6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핵의 apoptotic morphology 변화를 DAPI를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비록 DUSP6와 다른 관련인자들간의 관련성을 찾아야 하지만, 이상의 결과는 MTWE가 T세포에 의한 급성 백혈병을 조절하는데 이용 될 수 있다는 것의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