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inal insect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초

여천군(麗川郡) 지역(地域)의 치자나무 재배실태(栽培實態) (Current Cultivation Status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in Yeocheon-Gun, Korea)

  • 권병순;박희진;김광모;이봉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65-268
    • /
    • 1996
  • 치자나무의 재배실태(栽培實態)와 문제점(問題點)을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5년간(年間) 재배(栽培)한 결과(結果)를 대상(對象)으로 조사(調査)한바에 따르면, 조숙(早熟), 다수확(多收穫) 치자나무의 품종개발(品種開發)이 시급(時急)하며 소목묘(掃木苗), 상토(床土),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삽목시기(揷木時期)등의 시험(試驗)에 의한 삽목묘(揷木苗) 재배법(哉培法) 개발(開發)이 시급(時急)하다. 본포(本圃)에 재식(栽植)된 치자나무의 재식년도(栽植年度), 재식밀도(栽植密度), 추비시기(追肥時期), 추비양(追肥量) 등에 의한 재배법(栽培法) 개발(開發)이 요구(要求)되며, 병충해(病蟲害) 방제(防除)는 농약(農藥)이 아닌 영양요구(榮養要求) 시비(施肥)와 유기농법(有機農法)에 의한 내병충성(耐病蟲性) 재배법(栽培法)의 연구(硏究)가 필요(必要)하다.

  • PDF

우리나라 주요 산약 재배지 GAP와 관련된 재배환경 실태 (Cultivation Environment in Relation to Good Agricultural Practices in the Major Cultivation Area of Disocorea batatas)

  • 조재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4호
    • /
    • pp.290-295
    • /
    • 2011
  • 본 연구는 산약(Disocorea batatas)을 대상으로 토양 및 관개용수의 질 평가, 화학비료 및 퇴비의 사용실태 그리고 잡초 및 병해충 실태에 대한 현장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생산단계에서 good agriculture practices (GAP) 기반조성에 유용한 데이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약 재배지 토양과 관개용수 중 카드뮴, 납, 구리 및 아연 모두 자연함유량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산약재배지 관개용수 가운데 총질소는 대부분의 조사지점에서 기준치를 초과하였으나 총인은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산약 재배지에 화학비료와 퇴비가 복합적으로 과량 투입되고 있음이 현장 설문조사에서 나타나 최적의 양분종합관리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약 재배지에서 우점 잡초는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 쇠비름(Portulaca oleracea) 그리고 깨풀(Acalypha australis)로 나타났으며, 제초제 처리횟수는 1년에 2회 처리가 가장 많았고, 일부 농가에서는 4회까지 처리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산약 재배지에서 병해는 탄저병과 잎마름병이 주로 발생하였고, 해충으로는 응애가 주로 출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병해충 방제 목적으로 살충제나 살균제를 연 4~5회 처리하고 있었다. 산약의 안전성과 지속적인 농업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화학비료와 농약의 저투입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는 유기농업에 의한 우수 산약의 재배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인류의 생존 위기 대응을 위한 양잠과 곤충 산업의 현황 (Current Status of Sericulture and Insect Industry to Respond to Human Survival Crisis)

  • 김아영;김기영;최희정;박현우;고영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605-614
    • /
    • 2022
  • 인류는 기후변화와 인구 구성 비율의 급격한 노령화 라는 두 가지 커다란 생존을 위협하는 문제점에 직면해 있다. 기후변화는 경제 발전과 운송 수단의 발달로 화석 연료 사용 증가에 따른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증가한 결과이고, 인구 구성 비율의 노령화는 선진국의 의 생명과학 기술 발전과 개인 위생의 증진으로 기대 수명이 증가한 결과이다. 돌이킬 수 없는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를 피하기 위해서는 빠른 기간 내에 온실 가스의 배출이 없는 탄소 제로 경제로 전환을 해야 한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농업 중 온실가스의 발생이 가장 많은 낙농축산업을 저탄소 경영방식으로 전환하고 동시에 소비자들의 저탄소 식품들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현재 지구상 이용 가능 초지 중 77%가 가축용 사료 재배에 활용되지만, 인간이 섭취하는 전체 단백질의 37%와 총 열량의 18%만이 낙농축산업에서 얻어질 뿐이다. 그러므로, 가축보다 온실가스 배출량, 물의 사용량이 적고, 사육 공간이 작아도 되며 사료전환율이 높은 식용 곤충을 단백질원으로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더불어 건강기능 증진 효과가 있다고 과학적으로 밝혀진 누에와 같은 곤충들의 기능성을 활용하여 현재 치료 방법이나 예방법이 확립되지 않은 퇴행성 질환들을 예방하고 치료를 촉진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식품 개발이 필요하다. 곤충은 동물 중 가장 오래 전에 지구상에 나타났고, 인간의 생존 유무와 상관없이 앞으로도 빠르게 진화를 하여 지구의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번성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식용 곤충과 누에를 포함한 약용 곤충을 이용한 산업은 현재 인류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여 미래에 인간이 지구에서 생존하고 번영할 수 있는 중요한 받침돌이 될 것이다.

ICT기술을 활용한 곤충스마트팩토리팜의 현황과 미래 (Current status and future of insect smart factory farm using ICT technology)

  • 석영식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5권2호
    • /
    • pp.188-202
    • /
    • 2022
  • 최근 곤충산업은 애완곤충, 천적 등 산업에서 사료, 식용, 약용곤충으로 그 활용범위가 확대되면서 곤충 원료의 품질관리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곤충 제품의 안전성 확보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세계 곤충산업 시장은 많은 소규모 농가형 기업과 소수의 대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통적인 수작업 사육에서 고도로 자동화되고 기술적으로 진보된 플랜트형 사육 등 다양한 기술 수준의 사육형태가 존재한다. 산업규모가 확대되는 과정에서 사육환경의 설계는 온습도, 공기질 조절과 병원체 및 기타 오염 물질의 전파를 방지하는 것은 중요한 성공 요인이 되며 사육에서 부화, 사육, 가공에 이르기까지 생산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통일된 운영시스템 아래 통제된 환경이 필요하다. 따라서 곤충의 생육과 사육환경의 빅데이터화 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외부 환경 변화에도 안정적인 사육환경 유지가 가능하고 곤충성장에 맞추어 사육환경을 제어하며 노동력 감소와 생산성 향상을 이루기 위한 ICT 기반 곤충 스마트팩토리팜의 설계 및 운용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은 곤충산업 발전의 필수 선결조건이 되고 있다. 특히 유럽 상업용 곤충사육시설은 상당한 투자자의 관심을 받아 곤충 회사가 대규모 생산시설로 건설하고 있는데 이는 EU가 2017년 7월 물고기양식 사료원료로 곤충 단백질의 사용을 승인한 후 가능해졌으며 이를 기반으로 곤충산업의 식용, 의료 등 다른 분야도 첨단기술을 접목하는 현상이 가속화되었다. 외국 곤충산업은 주로 전세계 식품 생산량의 30%에 이르는 소비 전 폐기물이라고 불리는 식품회사의 생산과잉 원료 등을 업사이클링을 통해 재활용생태계를 형성하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가정 및 가게에서 발생하는 음식물폐기물 또는 농산물 가공부산물을 주로 이용한다는 점에서 사료 수집과 영양성분 유지, 위생 등 지속가능한 산업생태계를 이루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각 곤충 종은 고유하고 특정 사육기술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곤충사육자는 각기 다른 종별 접근 방식을 채택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곤충기업은 여전히 소규모로 운영되며 특히 농가형 기업의 경우 지식과 경험이 도제식으로 전승되는 경우가 많아 표준화되고 규격화된 사육기술이 유지되기 어려운 반면, 일부 곤충 기업은 대규모 사육시설에 스마트 통합 제어시스템을 도입하여 먹이주기, 물주기, 취급, 수확, 청소 시스템, 가공, 품질관리, 포장 및 보관과 같은 곤충 생산과 관련된 요소가 최적화된 사육 환경과 사육프로세스로 표준화되어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심지어 일부 유럽기업은 AI기술로 구동되는 완전 자율 모듈식 곤충시스템으로 사육 유지관리를 하고 있는 사례도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향후 전세계 곤충산업은 공급업체로부터 알이나 작은 유충을 구입하고 곤충을 성숙시키기까지 애벌레의 비육 즉 생산원료에 중점을 두는 시스템과 알을 낳고 수확하고 유충의 초기 전처리에 이르기까지 전체 생산 과정을 다루는 시스템, 곤충 유충 생산의 모든 단계와 제분, 지방 제거 및 단백질 또는 지방 분획 등 추가 가공 단계를 다루는 대규모 생산시스템 등으로 점점 세분화할 것으로 본다. 우리나라에서도 인공지능 및 ICT 첨단기술을 활용한 곤충스마트팩토리팜 연구 및 개발 등이 가속화되고 있어 곤충이 기존 사료, 식품 뿐만 아니라 천연 플라스틱 또는 천연성형소재 등 2차산업의 탄소제로 소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특정 종 육종과정 단축이나 기능성 강화를 위한 사육제어가 가능하도록 곧 곤충 스마트팩토리팜 한국형 맞춤사육시스템이 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곤충 제품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사료 및 자원 사용에 대한 통합 소프트웨어 접근 방식을 개발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고 있다.

누에 유래의 dpp 유전자의 기능 및 유전체 연구를 통한 식의약용 신소재로서 활용 (Function and use of silkworm dpp gene)

  • 박승원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4권1_2호
    • /
    • pp.1-5
    • /
    • 2016
  • The dpp gene originated from the silkworms is an important gene that is well conserved in the genome of humans, cattle, rodents, poultry and Drosophila. The dpp gene belonging to the TGF-beta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superfamily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several developmental stages. The $TGF-{\beta}$ gene family is a genetically well-conserved and playing an important role gene family in various species such as determining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apoptosis and cell fate. In this review, we have confirmed the following studies data. The recent studies on the silkworm dpp gene have confirmed for the first time the biological functions such as promoting osteogenesis activity. In addition, previous data shows that dpp have developmental functions such as morphogenetic materials at the blastophyllum stage, induction of the mesoblast at the late embryonic stage and involved in the proliferation and morphogenesis of imaginal disc in adult development. We found the splice variant of the dpp gene originated from the wildtype silkworm by using comparative genomics. It has provided important data for basic research based on genetics studies of these processes may promote a better understanding of evolution. Silkworm is a medicinal insect and is approved for its safety. It is used as a natural antibiotic for promoting growth as a medical material, a health functional food, and a feed addit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sent various data to obtain more value of functional insect.

여천군(麗川郡) 지역(地域)의 황금재배실태(黃金栽培實態) (The Current Status of Cultivation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in Yeocheon, Korea)

  • 권병선;김광모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78-181
    • /
    • 1996
  • 황금재배실태(黃金栽培實態)와 문제점(問題點)을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주산지(主産地)인 전남(全南) 여천군(麗川郡) 화양면(華楊面)에서 5년간(年間) 재배(栽培)한 결과(結果)를 대상(對象)으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맥후작(麥後作) 황금직파재배시(黃金直播栽培時) 제초제(除草劑) 전용약제(專用藥劑) 개발(開發)이 시급(時急)하다(현재(現在)로서는 인력(人力)으로 제초작업(除草作業)이 이루어 지고 있으므로 노동력(勞動力)이 부족(不足)하다) 2. 조숙다수성(早熟多收性) 보리품종(品種) 개발(開發)이 시급(時急)하다. 3. 내병다수성(耐病多收性) 양질(良質)의 황금품종육성(黃金品種育成)이 시급(時急)하다. 4 병충해방제(病蟲害防除)는 농업(農業)의 사용(使用)이 아닌 영양요구시비(營養要求施肥)와 유기농법(有機農法)에 의한 내병충성(耐病蟲性) 재배법개선연구(栽培法改善硏究)가 시급(時急)하다.

  • PDF

승주지역(昇州地域)의 택사(澤瀉) 재배현황(裁培現況) (The Current Status of Cultivation of Alisma plantago L. in Seung-Ju, Korea)

  • 박희전;정병관;임준택;권병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02-204
    • /
    • 1993
  • 택사(澤瀉) 재배실태(載培實態)와 문제점(問題點)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산지(主産地)인 전남(全南) 승주군(昇州郡) 해용면(海龍面)에서 6년간(年間) 재배(栽培)한 결과(結果)를 대상으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택사(澤瀉) 육묘시(育苗時) 제초제(除草劑) 전용(傳用) 약제(藥劑) 개발(開發)이 시급(時急)하다. (현재(現在)로서는 인력(人力) 이용(利用)을 하고 있으나 노동력(勞動力)이 문제(問題)가 된다. ) 2. 벼 극조생종(極早生種) 양질미(良質米) 수도(水稻) 품종(品種) 개발(開發)이 시급(時急)하다. 3. 택사내병(澤瀉耐炳) 다수성(多收性) 양질(良質) 품종(品種) 육성(育成)이 시급(時急)하다. 4. 병충해(病蟲害) 방제(防除)는 농약(農藥)의 사용(使用)이 아닌 영양요소시비(營養要素施肥)와 유기농법(有機農法)에 의한 내병충성(耐炳蟲性) 재배법(裁培法) 개선(改善) 연구(硏究)가 시급(時急)하다.

  • PDF

지역에 따른 국내산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Arthropoda:Chilopoda))의 영양성분 및 유해물질 비교분석 (A Nutritional Analysis of Chinese Red-headed Centipedes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from Different Regions of Korea)

  • 김선영;이경용;김홍근;황재삼;윤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308-1314
    • /
    • 2017
  • 국내산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의 식 약용으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경남 산청, 전남 영광, 제주도 지역 왕지네의 영양성분 및 유해물질을 비교분석한 결과, 일반성분 중 조단백질은 3개 지역에서 54.9-55.8%로 전체적으로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조지방은 26.8-30.6%였다. 필수아미노산에서는 라이신이 3.4-3.6%로 가장 많았다. 집중력과 기억력 증진 및 인지능력 개선에 도움이 되는 glutamic acid는 비필수아미노산 중 가장 많은 함량인 6.8-7.1%로 지역 간에 비슷하였다. 불포화지방산에서는 심장질환 및 암 예방에 효과가 있는 oleic acid가 지역 간에 41.3-46.8%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유해물질 분석 결과, 3개 지역에서 중금속인 수은이 0.08-0.11 mg/kg 검출되었으나, 일반식품 허용 기준치 이하로 확인되었다. E. coli와 Salmonella spp.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지역별로 국내산 왕지네의 영양성분 및 유해물질 비교분석 결과, 지역 간에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왕지네는 단백질, 필수아미노산, 불포화지방산 및 체내에서 합성하지 못하는 많은 영양소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식 약용으로 활용될 가치를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동충하초에서 분리된 신규 항암물질의 효율적 합성법 개발 (Development of an Efficient Synthetic Method for a Novel Anticancer Substance Isolated from Insect-flower)

  • 차해연;트루옹 넉 투엔;윤덕효;김태웅;성기호;박해일
    • 약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71-73
    • /
    • 2012
  • Cordyceps militaris, a caterpillar-grown traditional medicinal mushroom, produces important bioactive compounds, cordycepin (3'-deoxyadenosine) and militarin. Militarin is reported to possess anticancer activities against several tumor cells. An efficient synthetic method of militarin was developed to prepare muti-gram scale sample for bioassay. Militarin was successfully synthesized from commercial starting materials in 5 steps and 29.3% overall yields.

사마귀류 추출물의 생물학적 활성 비교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in Crude Extracts of Mantis)

  • 허진철;황재삼;강석우;윤치영;이상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5권
    • /
    • pp.7-12
    • /
    • 2007
  • 한의학에서 사마귀는 여러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이 되는 한약재이다. 본 연구는 사마귀의 항산화활성과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억제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사마귀 3종에 대하여 항산화활성과 과산화수소에 의한 세포사멸 억제 효과, NO 활성 억제 효과를 실시하였다. DPPH, FRAP 활성은 사마귀와 왕사마귀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H_2O_2$를 이용하여 산화스트레스를 유도한 후 이의 억제활성을 비교하여 본 결과 왕사마귀 methanol 추출물에서 $H_2O_2$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를 다소 억제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NO의 활성 정도는 좀사마귀와 왕사마귀의 DMSO 추출물에서 NO의 활성을 다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