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l optics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2초

간편한 선별검사법에 의한 농촌 노인인구의 백내장에 대한 역학조사 (The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Cataract of the Rural Aged Population Using a Simplified Screening System)

  • 박은규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5-171
    • /
    • 2000
  • 본 조사는 경북 농촌지역의 백내장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백내장은 전 세계적으로 설명과 시력장애의 주원인일 뿐 아니라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해 백내장 환자의 수는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백내장으로 인해 심하게 시기능이 저하된 상태에 있으면서도 안과적 진단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는 환자들이 아직도 많이 있다. 이런 환자들의 선별과 분포조사를 위해 경북 칠곡과 문경 지역에서 일반 건강검진을 희망한 50세 이상 주민 636명(1272안)을 대상으로 최근 일본 Kanazawa 의과대학의 Sasaki 등이 제안한 간편한 백내장 일차선별검사를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체 조사대상자 중 시력장애를 호소한 사람은 모두 493명(77.5%)이었다. 제1단계 선별검사로 448명(90.9%), 제2단계 선별검사로 308명(48.4%)의 백내장이 의심되는 시력불량군을 분류하였고, 제1, 2단계일차 선별검사에 의해 최종적으로 백내장으로 분류된 사람의 수는 421명(66.2%)이었다. 연령에 따른 유병율은 50대 27.5%, 60대 62.5%, 70대 86.1%, 80세 이상 94.3%이었다. 따라서 백내장이 실명과 시력장애의 주원인 일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공중보건분야의 중요한 문제인 만큼 적절한 관리와 안보건 대책이 요구되며 특히 안보건을 위한 의료활동이 농촌지역에까지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스마트폰 시청과 알코올 섭취에 따른 눈의 변화와 상관관계 (The Changes of The Eye and a Correlation Depending on Watching a Smartphone and taking in Alcohol)

  • 이정윤;윤언정;김성민;황혜경;박경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73-479
    • /
    • 2013
  • 목적: 스마트폰 시청과 알코올 섭취에 따른 눈의 변화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 정신질환, 전신질환 그리고 알코올 대사에 관련된 약물복용의 병력이 없는 평소 건전한 음주습관을 가진 대상자 31명(남 18명, 여 13명)을 굴절검사, 각막곡률반경, 안압측정, 각막두께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스마트폰 시청에 따른 호흡 중 혈중 알코올의 농도 변화는 15분, 30분, 45분, 60분 그리고 회복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p<0.001). 알코올 섭취 후 스마트폰 시청 전과 시청 후, 굴절검사 비교 결과 원주굴절력과 축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005, p=0.001). 알코올 섭취 후 스마트폰 시청에 따른 안압의 변화는 30분부터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01), 알코올을 섭취 한 상태에서 경과시간에 따른 스마트폰 시청은 각막두께에 유의한 변화를 주지 않았다. 결론: 스마트폰 시청과 알코올 섭취는 원주굴절력과 축 그리고 안압에 유의한 변화를 보인다. 시기능 피로를 초래할 수 있는 스마트폰 시청 및 알코올 섭취는 굴절검사 전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인이다.

알칼리 화상을 입은 마우스 각막에서 상처 치유과정 중 관찰된 조직학적 변화 (Hitological Changes on the Wound Healing Process of Alkali Burned Mouse Cornea)

  • 이지영;이군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61-169
    • /
    • 2008
  • 목적: 알칼리 화상 후 초기 임상적 손상반응의 진행과 치료를 위한 각막 재생의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화학적 손상 후 동반하는 다양한 인자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방법: 알칼리 화상을 입은 각막의 자가치유과정을 면역형광염색법과 H-E 염색, 그리고 TUNEL assay를 통해 면역조직화학적 측면에서 관찰하였다. 결과: 화상 후 각막의 치유는 진행되었지만 각막기질(stroma)과 내피세포의 세포사는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각막가장자리의 혈관신생과 손상된 각막의 ${\alpha}$-SMA의 발현은 알칼리 화상 3일 후부터 나타났으며, 각막기질에서의 콜라젠 III(collagen III)의 형성과 콘드로이친황산(chondroitin sulfate)의 발현은 ${\alpha}$-smooth muscle actin(${\alpha}$-SMA)와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TGF-${\beta}$)의 발현증가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결론: 각막혼탁을 막기 위해서는 알칼리 화상 후 3일 이내에 혈관신생, 콜라젠 및 콘드로이친황산의 형성을 억제하는데 주력하는 치료가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이 연구는 알칼리 화상을 입은 각막의 치유과정에 있어서의 면역조직화학적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각막의 재생을 촉진하는 치료제의 개발과 이용에 초석이 되리라 사료된다.

  • PDF

근접장-분자반응 간의 중첩을 이용한 표면 플라스몬 공명 센서 감도 평가에 관한 연구 (Near-field Evaluation of Surface Plasmon Resonance Biosensor Sensitivity Based on the Overlap Between Field and Target Distribution)

  • 류연수;손태황;김동현
    • 한국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6-9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근접장-분자반응 간의 중첩을 이용한 표면 플라스몬 공명 (SPR) 바이오센서의 측정감도 평가방법을 연구하였다. 전달행렬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중첩적분으로 정의된 광학자취 값을 계산하였고, 샌드위치 및 역샌드위치 면역글로뷸린 (IgG) 어세이에 대해서 실험적으로 측정된 수치와 비교하였다. 이론 및 실험적인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접선 방향의 전기장을 사용한 광학자취의 경우 그 연속성으로 말미암아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때 광학자취와 측정감도 사이에 97% 이상의 높은 상관계수가 존재함을 보았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SPR 바이오센서의 측정 감도에 관한 메커니즘을 분명하게 설명하며, 분자 스케일 감도를 가지는 SPR 바이오센서 개발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근시안에서 암순응상태의 동공크기 (Scotopic Pupil Size in Myopes)

  • 정우재;전인철;강지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7-202
    • /
    • 2013
  • 목적: 근시안에서 암순응상태의 동공크기를 측정하여 분석해 보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과적 질환이 없는 근시안 191명(191안)을 대상으로 암순응상태에서 동공측정계(Colvard pupillometer, OASIS medical, USA)를 사용하여 동공의 크기를 측정하였고 연령, 각막크기, 등가구면 굴절이상도, 각막곡률값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동공측정계의 재현성을 알아보기 위해 검사자내(intra-examiner) 및 검사자간(inter-examiner)에서의 측정값을 비교하였다. 결과: 암순응상태에서의 평균동공크기는 $6.64{\pm}0.68$ mm(5.00~8.00 mm)였고, 연령이 낮고 각막크기가 클수록 동공크기는 커지는 경향을 보였고 등가구면 굴절이상도가 낮고 각막곡률이 가파를수록 동공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동공측정계의 검사자내 및 검사자간에서의 재현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Guttman split-half point>0.91). 결론: 암순응상태에서의 동공크기는 연령, 각막크기, 등가구면 굴절이상도, 각막곡률과 관련 있었으며, RGP 콘택트렌즈나 백내장 수술, 굴절교정수술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을 예방하는데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culture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and sclerotial formation of Polyporus umbellatus

  • Lee, Min Woong;Chang, Kwang Chun;Shin, Do Bin;Lee, Kyung Rim;Im, Kyung Hoan;Jin, Ga-Heon;Shin, Pyung Gyun;Xing, Yong Mei;Chen, Juan;Guo, Shun Xing;Lee, Tae Soo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94-200
    • /
    • 2013
  • Polyporus umbellatus (Syn. Grifola umbellata) is a sclerotium forming mushroom belongs to family Polyporaceae of Polyphorales, Basidiomycota. The sclerotia of P. umbellatus have long been used for traditional medicines in China, Korea and Japan. This study was initiated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artificial sclerotial production of P. umbellatus. Here, we investigated the favorable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of P. umbellatus and its symbiotic fungus Armillaria mellea. We also evaluate the favorable carbon and nitrogen sources for sclerotial formation in dual culture between P. umbellatus and A. mellea. The favorable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of P. umbellatus were $20^{\circ}C$ and pH 4, while optimal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of A. mellea were $25^{\circ}C$ and pH 6. The carbon sources for optimal mycelial growth of P. umbellatus were fructose and glucose, while carbon sources for favorable mycelial growth of A. mellea were also fructose and glucose. The nitrogen sources for favorable mycelial growth P. umbellatus were peptone and yeast extract, while optimal mycelial growth of A. mellea were obtained in peptone and yeast extract. When P. umbellatus and A. mellea were dual cultured on carbon sources, sclerotia were induced on basal media supplemented with glucose, fructose and maltose at pH 4~6, while nitrogen sources inducing sclerotia were basal media supplemented with peptone and yeast extract for 60 days at $20^{\circ}C$ under dark condition.

음향화학법을 이용한 아연페라이트 나노입자의 합성 (Synthesis of Zinc Ferrite Nanocrystallites using Sonochemical Method)

  • 조준희;고상길;안양규;강건욱;안동현;최은정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1-75
    • /
    • 2007
  •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음향화학적 침전법으로 두 가지 크기의 아연페라이트 나노입자를 합성하였다. 열분석장치(TGA/DSC)를 이용하여 열적 특성 및 결정화 온도를 조사하였고, 결정구조 확인을 위하여 X선 회절실험을 실시하였다. 제조된 입자는 $240^{\circ}C$ 부근에서 결정생성이 시작되었으며, 결정구조는 전형적인 스피넬 구조를 나타내었다. Scherrer식에 의해 측정된 입자의 크기는 11.2nm와 13.4nm이었다. SQUID를 통하여 자기적 성질을 분석한 결과, 작은 크기의 입자에 대한 방해온도 $T_B$(Blocking temperature)가 큰 입자의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한국인 60세 이상 노년층의 황반변성과 백내장의 위험요인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ataract and Macular degeneration by in Korean aged 60 years and over)

  • 박해용;이은희;박윤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273-279
    • /
    • 2017
  • 연구목적: 60세 이상 인구에서 나이 관련 안질환인 백내장과 황반변성의 위험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건강보험공단 노인코호트(2002년-2013년)자료를 활용하여. 연구기간동안 노년층의 대표 안질환인 백내장(ICD-10; H25)과 나이관련 황반변성(ICD-10; H353)을 진단받은 341,588명을 대상(남: 44.18%, 여:61.887%)으로 두 질환의 유병률 결정 요인을 Cox 확률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백내장과 나이관련 황반변성 유병율은 여성이, 나이가 많을수록, 고소득 집단일수록, 고혈압, 심장질환, 당뇨가 있으면 더 높게 나타났다(p<0.0001). 결론: 60세 이상 노인들은 고혈압, 심장질환 및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백내장과 황반변성 유병률이 더 높았다. 눈이 건강한 고령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만성질환 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혈중 납이 비흡연자들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lood Lead on Blood Pressure Among Non-smokers)

  • 박윤숙;박상신;김태훈;이상윤;고영림;이은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11-322
    • /
    • 2012
  • Objective: The effect of lead on blood pressure remains controversial in spite of the numerous studies which have been conducted in the recent yea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exposure to lead on blood pressure among non-smokers. Methods: In this cross sectional study, 1416 male and female non-smokers were enrolled, aged 20 years or older,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Blood pressure, blood lead levels (BLLs), height, weight, and cotinine level were measured for all subjects. Results: Geometric mean BLLs of the participants was 2.20 ${\mu}g$/dl. BLLs were higher in the older, male, and lower education groups than the younger, female and higher education groups. After adjusting for age, sex, education and BMI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systolic blood pressure (p = 0.0357), diastolic blood pressure (p = 0.0111) and BLLs. Also, among the normal BMI group (18.5 kg/$m^2$ < BMI < 25 kg/$m^2$), we also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BLLs (p = 0.0370).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blood lead serves as a good predictor of blood pressure changes a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blood lead and blood pressure, especially diastolic blood pressure.

630 nm-OLED Accelerates Wound Healing in Mice Via Regulation of Cytokine Release and Genes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 Mo, SangJoon;Chung, Phil-Sang;Ahn, Jin Chul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3권6호
    • /
    • pp.485-495
    • /
    • 2019
  • Photobiomodulation (PBM)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surface light sources have recently been claimed to be the next generation of PBM light sources.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light emitting diodes (LEDs) and OLED mechanisms in vitro and in vivo have not been well studied. In vivo mouse model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LED irradiation on cellular function and cutaneous wound healing compared to LED irradiation. Mice in the LED- and OLED-irradiated groups were subjected to irradiation with 6 J/㎠ LED and OLED (630 nm), respectively, for 14 days after wounding, and some mice were sacrificed for the experiments on days 3, 7, 10, and 14. To evaluate wound healing, we performed hematoxylin-eosin and Masson's trichrome staining and quantified collagen density by computerized imag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ize of the wound, collagen density, neo-epidermis thickness, number of new blood vessels, and number of fibroblasts and neutrophil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LED and OLED irradiation. The tissue levels of interleukin (IL)-β,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were investigat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LED and OLED irradiation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issue IL-β and IL-6 levels at the early stage of wound healing (P < 0.01), and a decrease in the tissue TNF-α level at all stages of wound healing (P < 0.05), compared to the no-treatment group.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genes encoding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LED and OLED-irradiated wound tissue at the early stage of wound healing (P < 0.01) compared to the no-treatment group. Thus, OLED as well as LED irradiation accelerated wound healing by modulating the synthesis of anti-inflammatory cytokines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genes encoding growth factors, promoting collagen regeneration and reducing scarring. In conclusion,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OLED as a new light sourc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B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