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4초

전자의무기록 인증 후 의료기관 종사자 인식과 인증제 발전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medical institution workers and the development of the certification system after electronic medical record certification)

  • 박초열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73-180
    • /
    • 2023
  • 본 연구는 2022년 전자의무기록시스템 관리포털에서 인증을 받은 전국의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의료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 인증 후 의료기관의 의료정보관리, 정보이용에 대한 업무변화에 관한 인식도와 EMR 시스템 기능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검증을 통해 향후 인증제 발전 및 전자의무기록 인증제도의 단, 장기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총 1,189명의 응답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특히 EMR 인증 후 인증제도 인식 및 시스템 기능성에 대한 직종별 인식 차이는 평균분석과 ANOVA를 실시해 검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전자의무기록 인증제는 의료기관 종사자들에게 긍정적인 업무변화와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했고,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인증 후 다각적인 측면(내부 인식, 시스템 기능성, 상호운용성, 보안성, 추진목적)에서 운영 효과를 보였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통적인 후속 연구의 필요를 보인다.

병원유형별 의료기관인증이 병원운영효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인증 전과 후 비교 - (Analysis of the Impact of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by Hospital Type on Hospital Operation Effect to Increase Wellness - Comparison Before and After Certification -)

  • 이혜승;김환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55-264
    • /
    • 2020
  • 본 연구는 의료기관 인증 제도를 받은 요양병원 내부 구성원과 양방병원의 내부구성원 2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26.0을 이용하여 인증을 받은 전과 후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구성원 만족도, 직무스트레스, 의료서비스향상이 병원운영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요양병원의 병원운영효과는 구성원 만족도와 의료 서비스향상이 높을수록, 병원운영효과는 높아짐을 볼 수 있으며, 양방병원의 경우, 구성원 만족도와 의료 서비스 향상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을수록 병원운영효과는 높아짐을 볼 수 있다. 의료기관인증제도의 기본가치 체계가 환자 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인 만큼 요양병원은 의무적 인증으로 인증제의 효과가 양방병원보다 높게 나타났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 인증평가 인지,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안전관리 인지 변화 -의료기관 인증평가 전·후 비교- (Awareness, Job Stress, Turnover Intention, Safety Management Perception Change of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Before and After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System-)

  • 김미란;김명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85-395
    • /
    • 2019
  •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 인증평가 인지,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안전관리인지 변화에 대해 의료기관 인증평가 전 후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6월1일부터 7월17일까지 실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version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의료기관인증 인지, 이직의도, 안전관리인지도의 인증평가 전 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인증평가 후 평균점수는 높게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는 인증평가 전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825, p=<.005). 즉, 인증평가 전이 인증평가 후 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인증평가를 준비하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업무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의료기관의 적극적이고 다양한 인적 물적 지원이 필요하다.

의료기관 인증 후 요양병원 종사자의 만족도가 환자의 안전과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tisfaction Among Convalescent Hospital Staff Members 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After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 정연자;최성우;박종;한미아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9-51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tisfaction among convalescent hospital staff members 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after the certification of the medical institution.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seven convalescent hospitals in Gwangju, South Jeolla Province, and North Jeolla Province, which were certified as medical institutions for convalescent hospitals by the end of May 2017, The study period lasted from July 24, 2017 to August 22, 2017.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aff member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r = 0.586, p<0.001).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taff member satisfaction (${\beta}=0.531$, p<0.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and showed 46.9% explanatory power. Conclusions: The satisfaction of the convalescent hospital staff after the certification of the medical institution positively affected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의료기관 인증 후 환자의 질 향상과 병원운영효과 인식도 조사연구 - 요양병원과 양방병원 대상 - (Research on Improvement of Patient Quality and Perception of Hospital Operation Effect after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 For Nursing Hospitals and Western Hospitals -)

  • 이혜승;박현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59-570
    • /
    • 2020
  • 본 연구는 의료기관 인증 제도를 받은 요양병원과 양방병원의 내부구성원을 구분하여 인증이 구성원만족도, 직무 스트레스, 병원운영 효과, 의료서비스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요양병원이 양방병원보다 인증제도가 구성원만족도, 병원운영효과, 의료서비스 효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양방병원 구성원이 직무 스트레스에 대해선 높게 나타났다. 요양병원 및 양방병원 모두 인증에 따른 구성원 만족도, 병원 운영효과, 의료서비스 효과는 정(+)적인 결과를 나타났다. 요양병원은 2013년부터 의무적 인증으로 인증제의 효과가 실증적으로 높게 나타났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증제가 의료서비스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꾸준한 의료의 질 관리가 병원경영 효율화 및 환자의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정신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과 직무만족도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sychiatric Nurse's Awareness of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and Job Satisfaction on Nursing Performance)

  • 유현진;조영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81-387
    • /
    • 2022
  •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성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설문지를 통해 정신건강의학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 14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기간은 2018년도 8월부터 10월까지였다. 연구결과 의료기관인증제 인식은 3.35점, 직무만족도는 3.32점, 간호업무성과는 3.74점이었다. 연구결과에서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직무만족도와 정신과 근무경력이었고 설명력은 40.2%였다. 본 연구결과는 정신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EMR 인증제 교육을 위한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 프로그램 모델 연구 -환자정보관리 중심- (A Study on the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Practice Program Model for EMR Certification System Education -Focus on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 최준영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의료정보원에서 실시하는 EMR 인증기준울 이해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정보관리 실습 프로그램에 인증기준을 추가한 모델을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실습 프로그램은 EMR 인증제의 기능성 기준에 해당하는 환자정보관리를 실습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정보관리 교육시스템에 환자정보관리에 대한 인증기준 기능을 추가하였다. 환자정보관리를 위한 EMR 인증기준 실습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인증기준으로 구성되었다. 등록번호 및 인적사항 관리, 진료예약 일정관리, 인적사항 수정이력관리, 동명이인 구분자 표시, 다중 등록번호 통합관리,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검색, 진료형태에 따른 환자 검색, 수술시술 동의서 기록·조회, 개인정보활용동의서 기록·조회, 연명의료결정정보 표시, 외부 의료기관문서 등록·조회, 외부 검사결과 등록·조회. 이와 같이 인증기준에 의한 보건의료정보시스템의 기능을 운영하여 실습해봄으로써 인증기준의 기능성 영역에서 환자정보관리의 인증기준과 내역을 이해하고 실습할 수 있다. EMR 인증 기준에 맞춰 환자정보관리 실습을 수행해봄으로써 전자의무기록시스템에서의 표준화된 환자정보관리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EMR 인증기준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기관에서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정신의료기관 평가와 인증 기준의 공간 및 요구사항 연구 (A study on the space and requirements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criteria for psychiatric institutions)

  • 이은진;이승지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31-39
    • /
    • 2022
  • Purpose: The study aimed to extract the space mentioned in the criteria for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psychiatric institutions in which the most specific standards for medical services of psychiatric institutions are prepared, and to organize and analyze the requirements. Method: The implied space is derived by analyzing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criteria. The derived space is re-classified by departments of the hospital, and the requirements are organized and analyzed. Results: First, a total of 41 spaces were derived. The derived spaces can be considered as spaces to be treated as important in psychiatric institutions. Second, as a result of reclassifying the derived space by department, 10 spaced for the hospital as a whole, 10 for wards, 12 for central/outpatient departments, 5 for pharmaceutical departments, 2 for catering facilities, and 2 for facilities. Third, if organized by psychiatric institution, there is a total of 40 spaces for psychiatric hospitals according to certification criteria, and according to evaluation criteria, there is 38 spaces for psychiatric hospitals and departments and 19 spaces for the clinic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rtification and evaluation criteria of psychiatric hospitals is insignificant. In order to promot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psychiatric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strengthen from the certification criteria. Fourth, the requirement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psychiatric institution were very limited to emergency exits and treatment rooms.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space requirements for other rooms in consideration of the behavior of the mentally ill. Implications: The derived spaces and requirements can serve as practical reference materials for practitioners preparing to receive certification and evaluation of psychiatric institutions. In addition, it has meaning as a basic data for estimating the level of space and requirements of psychiatric institutions that are currently required in Korea.

의료기관 KOSHA 18001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roduction by Medical Institution of KOSHA 18001)

  • 김홍관;원종욱;노재훈;김인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95-304
    • /
    • 2014
  • The purpu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on the recognition by people involved i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f KOSHA 18001, the need of KOSHA 18001 certification, and the compliance by each medical institution with KOSHA 18001 review standards to help medical institutions introduce and use OSHMS. There was a survey of people involved i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t 300 local general hospitals with 100 or more beds that were registered with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in 2012. The survey included the recognition of KOSHA 18001, the need of certification and the compliance by medical institution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 total of 132 people responded, of which an analysis of 126 cases was conducted except 6 cases poor in information.

요양병원 인증제도의 현황과 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d Direction of the Nursing Hospital Certification System)

  • 박종원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1호
    • /
    • pp.145-154
    • /
    • 2022
  • 본 연구는 요양병원 1주기 인증과 2주기 인증을 간단히 비교해 보고, 또 2주기 인증과 3주기 인증의 변화 및 성과를 검토하고, 인증 3주기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당면과제와 해결방안을 사례로 살펴봄으로써 요양병원 실무자들에게 시사점을 주고 인증제도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정부가 의도하는 인증의 실질적인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인증 전 단기간에 준비하는 전시성 행정이 아니라 항상 인증을 전문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는 직원을 두거나 기존의 환자안전관리 담당자 등을 통하여 항상 의료의 질향상을 대비하는 시스템을 만들도록 제도적인 규정이나 지원이 있어야 한다. 둘째, 요양병원 인증제 시행 이후 의료기관인증제도가 병원성과에 미치는 연구가 질적/양적인 측면에서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인증제에 대한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적 지원도 필요하다. 셋째, 인증에 대한 표준지침이 크게 변경되지 않도록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증 표준 지침서를 설계하고, 지침서 뿐만 아니라 의료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표준 개별 규정, 양식도 인증원에서 제작하여 배포하고 각 의료기관에서는 현장에 맞게 수정만 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의료기관들의 부담은 훨씬 줄어들 것이다. 넷째, 4주기 인증에서는 감염관리와 격리병동 운영지침 등에 대한 정확하고 현실감 있는 지침이 개발되어야 한다. 코로나 등으로 앞으로는 감염병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다. 다섯째, 의료기관에서는 단기간의 인증 준비가 아닌 평소의 활동들을 인증 기준에 맞추어 실행한다면 요양병원의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수 있고 경쟁력을 가질 수 있어 성과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여섯째, 요양병원 관계자들은 인증을 준비함에 있어서 과거처럼 단기적으로 서류를 정리하거나 행정적으로 처리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이것 또한 역시 평소의 업무 프로세스를 인증기준에 맞춰 설계하여야 하며, 대부분의 업무 절차를 규정하고 지표화하여 관리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