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 Class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25초

빅데이터를 접목한 스마트시대 온라인 학습 모델의 제안과 실증 (Proposal of Smart era Online Learning Model with BigData)

  • 박재천;이두영;국성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991-1000
    • /
    • 2015
  • 본 논문은 스마트시대의 온라인 학습에 대한 논문으로,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고 실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온라인 학습 클래스 운영에 있어 각 학습 요인들을 통해서 최종 성취도를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학습 운영 요인 7가지를 정하고 학습자들의 데이터를 수집한 후 의사결정나무방법을 통한 예측 모델을 완성한다. 모델을 통한 예측성을 확인한 후, 일반성 확보를 위해 다른 교과목에도 모델을 적용시켜 예측성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온라인 클래스의 정적인 학습 모델을 넘어 객관적인 지표를 이용한 학업성취도를 상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가 학습 중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시대 새로운 패러다임의 학습 모델을 제안한다.

Few-Shot Image Synthesis using Noise-Based Deep Condi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s

  • Msiska, Finlyson Mwadambo;Hassan, Ammar Ul;Choi, Jaeyoung;Yoo, Jaewon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1호
    • /
    • pp.79-87
    • /
    • 2021
  • In recent years research on automatic font generation with machine learning mainly focus on using transformation-based methods, in comparison, generative model-based methods of font generation have received less attention. Transformation-based methods learn a mapping of the transformations from an existing input to a target. This makes them ambiguous because in some cases a single input reference may correspond to multiple possible outputs. In this work, we focus on font generation using the generative model-based methods which learn the buildup of the characters from noise-to-image. We propose a novel way to train a conditional generative deep neural model so that we can achieve font style control on the generated font images. Our research demonstrates how to generate new font images conditioned on both character class labels and character style labels when using the generative model-based methods. We achieve this by introducing a modified generator network which is given inputs noise, character class, and style, which help us to calculate losses separately for the character class labels and character style labels. We show that adding the character style vector on top of the character class vector separately gives the model rich information about the font and enables us to explicitly specify not only the character class but also the character style that we want the model to generate.

블렌디드 학습, 온라인 학습, 오프라인 학습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Between in the Blended Class and Online Class and Offline Class)

  • 김미영;안광식;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6-119
    • /
    • 2005
  • Many problems with the offline class, which is the traditional education type in corporations or universities, were indicated and people hoped that e-learning, which is web-based instruction, would solve these problems. However, e-learning also has weak points in that it should be self-paced and media-based in many ways. 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good and weak points of offline classes and e-learning, blended learning seems to be necessary. Until now, blended learning has usually been used in corporations, and there have been almost no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r management of blended learning in universities. Thu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design blended classes, manage them at the level of university classes,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blended classes, by comparing academic achievement, student participation, and student satisfaction. The subject students who signed up for Computer & Technology at C University in 2005 were divided into three study groups: offline class, online class, and blended class. The offline class was taught using the traditional class teaching method. For the online class and the blended class, multimedia contents were developed and a different LMS was used. The results of 13 weeks of teaching are as follows.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offline, online and blended class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2.387, p=.096). But when comparing the average achievement, the average of the blended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classes, so that it can be said that the blended class has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when comparing the learners' participation in the online class and the blended class, the total posts were 85 and 138 respectively, which shows a considerable difference. The hit counts for each post in the online class and the blended class are 10 and 20, respectively. Moreover, the login counts for subjects are 3 in the online class and 4 in the blended class. In the 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academic satisfaction in the online class and the blended class, all of the 15 items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the blended class. Considering all these results, if adequate media are properly combined, the blended class is better than either the pure online class or the pure offline class.

미디어 리터러시 접근법을 활용한 애니메이션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Use of Animation in Literacy Based on the Media Literacy Approach)

  • 장은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51호
    • /
    • pp.35-58
    • /
    • 2018
  •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 접근법을 활용하여 애니메이션 리터러시의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영상 애니메이션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대학 교양수업에서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수업을 진행하였고, 수업 이후 학생의 인식 및 수업을 참관한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수업의 활용방안에 대해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에 참여했던 모든 학생이 애니메이션 리터러시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인정하고, 수업을 통해 애니메이션의 문화 사회적 함의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었으며, 수용자로서의 다양한 시각과 창작자로서의 분석적 사고방식을 가질 수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전문가의 심층인터뷰에서는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고, 체계성과 객관적 기준이 마련되어야 함을 지적했으며, 다양한 작품과 주제의 확대를 통해 학생들이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으로 나아가야 할 것을 조언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이 영상과 애니메이션을 전공하는 대학생인만큼 감상 및 수용자의 입장에서 한발 더 나아가 창작자의 관점에서 능력 배양을 위한 수업이 보강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통해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교육 관련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교육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용출규격 설정을 위한 생물약제학적분류체계 개념 활용 (Implementation of Biopharmaceutics Classification System Concepts in Developing Dissolution Tests)

  • 사홍기;이경신;백민선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6권3호
    • /
    • pp.161-167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solution patterns of variety of orally administered drug products available on the market. It aimed to understand their dissolution behaviors on the basis of the biopharmaceutics classification system (BCS) concept. On the tenets of BCS, several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were selected: fluoxetine hydrochloride (class I), naproxen sodium (class ll), pyridostigmine bromide (class III), furosemide (class IV) and simvastatin (class IV). Typical dissolution media used in this study were pH 1.2, pH 4 & 6.8 phosphate buffers, and water. In cases, particular dissolution media specified in the KP and/or USP were used. Dissolution patterns of fluoxetine hydrochloride and pyridostigmine bromide products were characterized by their rapid release In addition, their dissolution characteristics were relatively unaffected by the type of a dissolution medium. Similar dissolution patterns were observed with pH 1.2, pH 4 & 6.8 phosphate buffers and water. By sharp contrast, poor dissolution patterns were noticed with naproxen sodium products, when pH 1.2 and pH 4 phosphate buffer were used. Improvements in its dissolution were achieved by switching the dissolution media to pH 6.8 phosphate buffer or water. Unsatisfactory dissolution data also were observed with a simvastatin product, when it was subject to dissolution tests by use of a surfactant-free pH 1.2, pH 4 & 6.8 phosphate buffers and water. All the release patterns reported in this study were best understood when BCS concepts were implemented.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a BCS-based drug classification should be considered first to choose a dissolution test/method and set up dissolution specification.

Breakdown Characteristics of Insulation Materials for a Termination of Power Transmission Class HTS Cable

  • Kwag Dong-Soon;Cheon Hyeon-Gweon;Choi Jae-Hyeong;Kim Sang-Hyun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7-42
    • /
    • 2006
  • A research on several characteristics such as volume breakdown and surface discharge of insulators for a termination of power transmission class HTS cable was performed. We investigated the surface discharge of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under air, cryogenic nitrogen gas and nitrogen gas media. The breakdown characteristics of these media were studied.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flashover voltage greatly depends on pressure, temperature, the kinds of insulating media and voltages, but it is slightly affected by shape and material of electrode. The breakdown voltage of liquid nitrogen, cryogenic nitrogen gas and nitrogen gas deeply depends on the shape and dimension of electrode, kinds of voltages and pressure. Moreover, the breakdown voltage of cryogenic nitrogen gas and flashover voltage of GFRP in the cryogenic nitrogen gas is also influenced by temperature and vapour-mist density of the gas.

동종동맥판 보존용액중 우혈청의 항원효과에 관한 연구 (Antigenicity of Fetal Calf Serum as Preserving Solution for Aortic Allograft)

  • 임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2호
    • /
    • pp.1293-1298
    • /
    • 1996
  • 동종동맥판의 보존용액에 흔히 첨가되는 우혈청(Fetal Calrserum)의 항원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쥐를 이용한 실험을 하였다 동종동맥 판을 2개의 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은 우릴청을 첨가하지 않은 보존용액을 사용하여 보존처리하고, 실험군은 우혈청을 첨가한 보존용액을 사용하여 보존처리하였다. 14일간에 걸친 냉장보존(4$^{\circ}C$) 및 냉동보존후 혈관내피세포를 분리하여 면역화학적 검사를 통한 면역표현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때 면역표현정도의 검사로써 MHC class I 항체, MHC class II항체, ICAM-1 항체를 측정하였다. 실험의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MHC class I 표현: p=0.524, MHC class 표현: p=0.897, ICAM 1 표현: p=0.1305).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동종동맥판의 보존처리를 할 때 세포의 생육성보존효과를 갖고있는 우혈청을 보존용액에서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다.

  • PDF

대학생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주제 중심의 교양 영어 수업방안 (Topic-oriented Liberal English Class Plan for Foreign Learners at University)

  • 김혜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111-117
    • /
    • 2023
  •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양 영어 수업의 실질적인 수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외국인 학습자가 대학 학업 수준의 한국어 능력을 갖추지 못했을 경우 한국어 교수자가 진행하는 교양 영어 수업 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종 미디어를 활용한 주제 중심의 참여 수업 활동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태도와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주제 기반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75%) 그 이유로는 배려하는 교수자의 태도, 편안한 수업 분위기, 수업에 대한 재미로 나타났다. 다양한 참여 수업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81.9%) 그 이유로는 학습에 유익, 흥미와 동기 유발, 참여 수업의 효율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화 시대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 추세에 발맞추어 그들에게 맞는 현실적인 수업 방안과 다양한 수업 활동의 개발이 필요하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문화권력과 패션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ultural Power and Fashion in the Modern and Post Modern Eras)

  • 고윤정;김민자
    • 복식
    • /
    • 제60권2호
    • /
    • pp.81-98
    • /
    • 2010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ubjects of cultural power of the modernism and post modernism eras, and analyze how the change of power and subjects influenced fashion throughout the history from the microscopic perspective, and thus to explain the social relationship of the fashion phenomenon. The study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post modernism era which was being formed centering around Europe that was pursuing Haute Couture and formal masculine suits ended and the post modernism era started, America became the center of the world power, and the American equalitarianism and growing wealth among the general public spread over the world, and as a result, the ready-made clothes were propagated over the world, and various subcultures came to have multi-national tendency in the New Media society. Second, in the modernism era, the high class, whites, males, and the pre-existing powerful class were the subjects of cultural power. Although this changed in the post modernism era, as some of power moved from the high class to the middle class, the economically affluent general public, still the western world, males, and whites held the center of power. However, later, females, youths, the third world nations, and so on emerged as minor power, and when the New Media society started, the structure developed so that everyone can share cultural power.

디지털 매체 활용 탐색을 위한, 대학의 플립드 러닝 효과분석 연구 (An Analytic Study about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Class at Universities used for Digital Media Usage Exploration)

  • 최근호;윤재영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5-34
    • /
    • 2018
  •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미래형 대학교육 방안으로 부상중인 플립드 러닝 적용의 실증적 사례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한 문헌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현재의 디지털 기반 매체 환경을 고려한 국내 대학의 플립드 러닝 적용수업에서, 학습자들의 디지털 매체 활용에 대한 탐색이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의 측정 변인과 통계적 유의성에 대한 고찰 및 매체 활용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가장 주요한 측정 변인은 '학습 성취도'와 '수업 만족도'로, 플립드러닝 적용 수업의 효과성 측정에 대한 척도였다. 분석한 모든 연구는 매체를 활용 하였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교실수업의 효과성 검증에 치중하여, 한 편의 연구에서만 별도의 매체 활용 측정이 이루어졌고, '동영상 학습인식' 변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연구 별로 매체 활용 관련한 정성적인 측정 내용은 별도의 분석 결과로 제시하였다. 향후, 플립드 러닝 적용 및 디지털 매체 활용에 대한 실효적인 후속 연구를 위해서는 정확한 효과측정에 필요한 처치 기간의 확보 등 다섯 가지 주요 논점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