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민자 (1998a).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I. 복식, 37.
- 김민자 (1998b).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II. 복식, 38.
- 문신애 (2004).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에 표현된 패치워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은경 (2001). 20세기 테크놀로지 패션 이미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봉덕 (2002). 21세기 전환기 패션의 미학적 특성.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호정 (2007). 현대패션에 나타난 글로벌.구조적 하이브리드: 아시아.아프리카.라틴 아메리카 복식 문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민선 (2006). 권력구조가 복식의 성적표현에 미치는 영향. 복식, 56(5).
- 이민선 (2003). 권력과 남성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 복식문화연구, 11(2).
- 안선경 (2001). 한국적 복식문화의 현대성에 나타난 미국화와 규율권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민자 (2004). 복식미학 강의 2. 서울: 교문사, p. 212.
- 양운덕 (2007). 미셀 푸코. 파주: 살림출판사, p. 13.
- 양운덕 (2007). 미셀 푸코. 파주: 살림출판사, p. 56.
- 이민선 (2001). 남성 패션에 표현된 다중 문화. 복식, 51(7), p. 22.
- 강명구 (1996). 소비대중문화와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민음사, pp. 24-25.
- 최경희 (2007). 19세기 후반 이후 주류패션과 반패션에 표현된 성의 다원화에 관한 맥락적 연구. 복식, 57(5), p. 168.
- 김정선, 김민자 (2001). 빅토리아시대 유행복식과 반유행복식 운동에 관한 여성성과 인체미에 관한 연구(I). 복식, 51(2), p. 172.
- Edward Fuchs (1912). Illustrierte Sittengeschichte Vom Mittelalter Bis Zur Gegenwart: Das Burgerliche Zeitalter 이기웅.박종만 역 (1991). 풍속의 역사 IV. 서울: 까치.
- Edward Fuchs (1912). Illustrierte Sittengeschichte Vom Mittelalter Bis Zur Gegenwart: Das Burgerliche Zeitalter 이기웅.박종만 역 (1991). 풍속의 역사 IV. 서울: 까치, p. 17.
- 이민선 (2006). 권력구조가 복식의 성적표현에 미치는 영향. 복식, 56(5). p. 96.
- 이경희 (2001). 20세기의 모드. 서울: 교학연구사, p. 43.
- J. Anderson Black, Madge Garland (1980). A History of Fashion. 윤길순 역 (1997). 세계 패션사 2. 서울: 도서출판 자작 아카데미, p. 150.
- Elizabeth Wilson Lou Taylor (1989). Through the Looking Glass. London: BBC Books, pp. 17-18.
- 최샛별, 진기남 (2007). 문화사회학적 시각에서 본 패션의 전략적 사용. 복식, 31(9/10), p. 25.
- 성수광 (1997). 의류학개론. 서울: 교문사, p. 46.
- 송영경, 임영자 (2007). 1930년대 할리우드 영화의상의 패션이미지에 관한 연구. 복식, 57(9), p. 114.
- 이정희 (1997). 영화예술에 나타난 의상이 유행에 미친 영향-Edith Head의 영화 의상을 중심으로-. 복식, 31, p. 152.
- 송영경, 임영자 (2007). 1930년대 할리우드 영화의상의 패션이미지에 관한 연구. 복식, 57(9), p. 118.
- 최경희 (2007). 19세기 후반 이후 주류패션과 반패션에 표현된 성의 다원화에 관한 맥락적 연구. 복식, 57(5), p. 170.
- 김정선, 김민자 (2001). 빅토리아시대 유행복식과 반유행복식 운동에 관한 여성성과 인체미에 관한 연구(I). 복식, 51(2), p. 173.
- 이민선 (2003). 권력과 남성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 복식문화연구, 11(2). p. 183.
- 송수원 (2008). 영국.미국 패션의 문화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03.
- 송영경, 임영자 (2007). 1930년대 할리우드 영화의상의 패션이미지에 관한 연구. 복식, 57(9), p. 113.
- 송영경, 임영자 (2007). 1930년대 할리우드 영화의상의 패션이미지에 관한 연구. 복식, 57(9), p. 97.
- J. M. Robert (1998). The New Global Era. 유수아 역 (2007). 히스토리카 세계사 10, pp. 67-86.
- 송수원 (2008). 영국.미국 패션의 문화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96.
- 김창남 (1995). 문화와 문화 실천. 서울: 한울 아카데미, p. 57.
- 김창남 (1995). 문화와 문화 실천. 서울: 한울 아카데미, p. 176.
-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
- 정미진, 정흥숙, 김선화 (2002). 락음악의 발전에 따른 스트리트 스타일의 발생과 변천. 복식, 52(5), p. 178.
- Rouse. E.(1997). Modern society and Fashion. 이재한 역 (2003). 현대사회와 패션: 코르셋에서 펑크까지. 서울: 시지각, pp. 332-371.
- http://blog.naver.com/damdorang? Redirect=Log&lo gNo=150045140090, 자료검색일: 2009.02.10
- http://blog.naver.com/rose3413? Redirect=Log&logNo=10043554700, 자료검색일: 2009.05.17
- 엄소희 (1995). 청소년 하위문화에 나타난 대중음악과 복식에 관한 연구-197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복식, 26, p. 104.
- http://imagebingo.naver.com/album/image_view.htm?uid=han0062&bno =5410&nid=1430, 자료검색일: 2008.12.23
- Mablin Jones and Ellen Colon-Lugo (1987). Getting It On. NY: Abbeville, p. 139.
- 정흥숙 (2001).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395, 396.
- 노정심 (1994). Avant-garde 패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3.
- http://blog.naver.com/boogie724?Redirect=Log&logNo=40033415774
- 이민선 (2001). 남성 패션에 표현된 다중 문화. 복식, 51(7), p. 30.
- 금기숙, 김민자, 김영인, 김윤희, 박명희, 박민여, 배천범, 신혜순, 유혜영, 최해주. (2002). FASHION 현대패션 100년. 서울: 교문사, p. 298.
- 박은주, 은영자 (1999).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연구. 복식, 43, p. 260.
- 박은주, 은영자 (1999).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연구. 복식, 43, p. 265.
- 박은주, 은영자 (1999).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연구. 복식, 43, p. 115.
- J.M. Robert (1998). The European Empires. 유수아 역 (2007). 히스토리카 세계사 8, p. 119.
- 최호정, 하지수 (2005). 우먼파워로 나타나는 최근 패션 스타일에 관한 연구. 복식, 55(2), p. 137.
- 이민선 (2003). 권력과 남성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 복식문화연구, 11(2). p. 187.
- 신상옥 (2006). 서양복식사. 서울: 대덕문화사, p. 334.
- 최호정, 하지수 (2005). 우먼파워로 나타나는 최근 패션 스타일에 관한 연구. 복식, 55(2), p. 133.
- 김순자 (2002). 펑크 스타일의 상징적 의미와 영향에 관한 연구. 복식, 52(6), p. 140.
- 엄소희 (1995). 청소년 하위문화에 나타난 대중음악과 복식에 관한 연구-197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복식, 26, p. 101.
- 이경희 (2001). 20세기의 모드. 서울: 교학연구사, p. 136, 139.
- 이경희 (2001). 20세기의 모드. 서울: 교학연구사, p. 139.
- Madge Garland (1970). The Changing form of fashion. New York: Praeger Inc., p. 127.
- 정성혜 (1990). 일본 패션이 현대 패션에 미친 영향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복식, 25, p. 220.
- 이정원, 금기숙 (2008). 1960년대 록 스타 패션의 도상학적 해석. 복식, 58(6), p. 70.
- http://www.hancutgallery.com/Common/PhotoViewR.aspx?photoID=2060436, 자료검색일: 2009.04.15
- http://www.slrclup.net/TwoBox/PageSearchPhoto.aspx?photoID=1079529, 자료검색일: 2008.11.20
- 정은숙 (2004). 1950-1960년대 남성 영화배우들의 티셔츠 이미지 연구. 복식, 54(6), p. 92.
- http://www.blog,naver.com/lordkill847?Redirect=Log&logNo=40054807085, 자료검색일: 2009.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