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Cultural Power and Fashion in the Modern and Post Modern Eras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문화권력과 패션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09.10.27
  • Accepted : 2009.12.28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ubjects of cultural power of the modernism and post modernism eras, and analyze how the change of power and subjects influenced fashion throughout the history from the microscopic perspective, and thus to explain the social relationship of the fashion phenomenon. The study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post modernism era which was being formed centering around Europe that was pursuing Haute Couture and formal masculine suits ended and the post modernism era started, America became the center of the world power, and the American equalitarianism and growing wealth among the general public spread over the world, and as a result, the ready-made clothes were propagated over the world, and various subcultures came to have multi-national tendency in the New Media society. Second, in the modernism era, the high class, whites, males, and the pre-existing powerful class were the subjects of cultural power. Although this changed in the post modernism era, as some of power moved from the high class to the middle class, the economically affluent general public, still the western world, males, and whites held the center of power. However, later, females, youths, the third world nations, and so on emerged as minor power, and when the New Media society started, the structure developed so that everyone can share cultural power.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자 (1998a).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I. 복식, 37.
  2. 김민자 (1998b).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II. 복식, 38.
  3. 문신애 (2004).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에 표현된 패치워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박은경 (2001). 20세기 테크놀로지 패션 이미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이봉덕 (2002). 21세기 전환기 패션의 미학적 특성.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최호정 (2007). 현대패션에 나타난 글로벌.구조적 하이브리드: 아시아.아프리카.라틴 아메리카 복식 문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이민선 (2006). 권력구조가 복식의 성적표현에 미치는 영향. 복식, 56(5).
  8. 이민선 (2003). 권력과 남성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 복식문화연구, 11(2).
  9. 안선경 (2001). 한국적 복식문화의 현대성에 나타난 미국화와 규율권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민자 (2004). 복식미학 강의 2. 서울: 교문사, p. 212.
  11. 양운덕 (2007). 미셀 푸코. 파주: 살림출판사, p. 13.
  12. 양운덕 (2007). 미셀 푸코. 파주: 살림출판사, p. 56.
  13. 이민선 (2001). 남성 패션에 표현된 다중 문화. 복식, 51(7), p. 22.
  14. 강명구 (1996). 소비대중문화와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민음사, pp. 24-25.
  15. 최경희 (2007). 19세기 후반 이후 주류패션과 반패션에 표현된 성의 다원화에 관한 맥락적 연구. 복식, 57(5), p. 168.
  16. 김정선, 김민자 (2001). 빅토리아시대 유행복식과 반유행복식 운동에 관한 여성성과 인체미에 관한 연구(I). 복식, 51(2), p. 172.
  17. Edward Fuchs (1912). Illustrierte Sittengeschichte Vom Mittelalter Bis Zur Gegenwart: Das Burgerliche Zeitalter 이기웅.박종만 역 (1991). 풍속의 역사 IV. 서울: 까치.
  18. Edward Fuchs (1912). Illustrierte Sittengeschichte Vom Mittelalter Bis Zur Gegenwart: Das Burgerliche Zeitalter 이기웅.박종만 역 (1991). 풍속의 역사 IV. 서울: 까치, p. 17.
  19. 이민선 (2006). 권력구조가 복식의 성적표현에 미치는 영향. 복식, 56(5). p. 96.
  20. 이경희 (2001). 20세기의 모드. 서울: 교학연구사, p. 43.
  21. J. Anderson Black, Madge Garland (1980). A History of Fashion. 윤길순 역 (1997). 세계 패션사 2. 서울: 도서출판 자작 아카데미, p. 150.
  22. Elizabeth Wilson Lou Taylor (1989). Through the Looking Glass. London: BBC Books, pp. 17-18.
  23. 최샛별, 진기남 (2007). 문화사회학적 시각에서 본 패션의 전략적 사용. 복식, 31(9/10), p. 25.
  24. 성수광 (1997). 의류학개론. 서울: 교문사, p. 46.
  25. 송영경, 임영자 (2007). 1930년대 할리우드 영화의상의 패션이미지에 관한 연구. 복식, 57(9), p. 114.
  26. 이정희 (1997). 영화예술에 나타난 의상이 유행에 미친 영향-Edith Head의 영화 의상을 중심으로-. 복식, 31, p. 152.
  27. 송영경, 임영자 (2007). 1930년대 할리우드 영화의상의 패션이미지에 관한 연구. 복식, 57(9), p. 118.
  28. 최경희 (2007). 19세기 후반 이후 주류패션과 반패션에 표현된 성의 다원화에 관한 맥락적 연구. 복식, 57(5), p. 170.
  29. 김정선, 김민자 (2001). 빅토리아시대 유행복식과 반유행복식 운동에 관한 여성성과 인체미에 관한 연구(I). 복식, 51(2), p. 173.
  30. 이민선 (2003). 권력과 남성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 복식문화연구, 11(2). p. 183.
  31. 송수원 (2008). 영국.미국 패션의 문화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03.
  32. 송영경, 임영자 (2007). 1930년대 할리우드 영화의상의 패션이미지에 관한 연구. 복식, 57(9), p. 113.
  33. 송영경, 임영자 (2007). 1930년대 할리우드 영화의상의 패션이미지에 관한 연구. 복식, 57(9), p. 97.
  34. J. M. Robert (1998). The New Global Era. 유수아 역 (2007). 히스토리카 세계사 10, pp. 67-86.
  35. 송수원 (2008). 영국.미국 패션의 문화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96.
  36. 김창남 (1995). 문화와 문화 실천. 서울: 한울 아카데미, p. 57.
  37. 김창남 (1995). 문화와 문화 실천. 서울: 한울 아카데미, p. 176.
  38.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
  39. 정미진, 정흥숙, 김선화 (2002). 락음악의 발전에 따른 스트리트 스타일의 발생과 변천. 복식, 52(5), p. 178.
  40. Rouse. E.(1997). Modern society and Fashion. 이재한 역 (2003). 현대사회와 패션: 코르셋에서 펑크까지. 서울: 시지각, pp. 332-371.
  41. http://blog.naver.com/damdorang? Redirect=Log&lo gNo=150045140090, 자료검색일: 2009.02.10
  42. http://blog.naver.com/rose3413? Redirect=Log&logNo=10043554700, 자료검색일: 2009.05.17
  43. 엄소희 (1995). 청소년 하위문화에 나타난 대중음악과 복식에 관한 연구-197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복식, 26, p. 104.
  44. http://imagebingo.naver.com/album/image_view.htm?uid=han0062&bno =5410&nid=1430, 자료검색일: 2008.12.23
  45. Mablin Jones and Ellen Colon-Lugo (1987). Getting It On. NY: Abbeville, p. 139.
  46. 정흥숙 (2001).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395, 396.
  47. 노정심 (1994). Avant-garde 패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3.
  48. http://blog.naver.com/boogie724?Redirect=Log&logNo=40033415774
  49. 이민선 (2001). 남성 패션에 표현된 다중 문화. 복식, 51(7), p. 30.
  50. 금기숙, 김민자, 김영인, 김윤희, 박명희, 박민여, 배천범, 신혜순, 유혜영, 최해주. (2002). FASHION 현대패션 100년. 서울: 교문사, p. 298.
  51. 박은주, 은영자 (1999).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연구. 복식, 43, p. 260.
  52. 박은주, 은영자 (1999).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연구. 복식, 43, p. 265.
  53. 박은주, 은영자 (1999).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연구. 복식, 43, p. 115.
  54. J.M. Robert (1998). The European Empires. 유수아 역 (2007). 히스토리카 세계사 8, p. 119.
  55. 최호정, 하지수 (2005). 우먼파워로 나타나는 최근 패션 스타일에 관한 연구. 복식, 55(2), p. 137.
  56. 이민선 (2003). 권력과 남성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 복식문화연구, 11(2). p. 187.
  57. 신상옥 (2006). 서양복식사. 서울: 대덕문화사, p. 334.
  58. 최호정, 하지수 (2005). 우먼파워로 나타나는 최근 패션 스타일에 관한 연구. 복식, 55(2), p. 133.
  59. 김순자 (2002). 펑크 스타일의 상징적 의미와 영향에 관한 연구. 복식, 52(6), p. 140.
  60. 엄소희 (1995). 청소년 하위문화에 나타난 대중음악과 복식에 관한 연구-197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복식, 26, p. 101.
  61. 이경희 (2001). 20세기의 모드. 서울: 교학연구사, p. 136, 139.
  62. 이경희 (2001). 20세기의 모드. 서울: 교학연구사, p. 139.
  63. Madge Garland (1970). The Changing form of fashion. New York: Praeger Inc., p. 127.
  64. 정성혜 (1990). 일본 패션이 현대 패션에 미친 영향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복식, 25, p. 220.
  65. 이정원, 금기숙 (2008). 1960년대 록 스타 패션의 도상학적 해석. 복식, 58(6), p. 70.
  66. http://www.hancutgallery.com/Common/PhotoViewR.aspx?photoID=2060436, 자료검색일: 2009.04.15
  67. http://www.slrclup.net/TwoBox/PageSearchPhoto.aspx?photoID=1079529, 자료검색일: 2008.11.20
  68. 정은숙 (2004). 1950-1960년대 남성 영화배우들의 티셔츠 이미지 연구. 복식, 54(6), p. 92.
  69. http://www.blog,naver.com/lordkill847?Redirect=Log&logNo=40054807085, 자료검색일: 2009.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