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al frequency

Search Result 56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구강건조증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ry Mouth)

  • 오정규;김연중;고홍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4호
    • /
    • pp.331-343
    • /
    • 2001
  • Advances in medical procedures and utilization of medication have resulted in expanding aged population, which leads to increased aged patients with salivary hypofunction and its associated symptoms in dental clin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ry mouth and its correlation with their salivary flow rate. Forty dry mouth patients (7 males, 33 females, mean age 42.0 years) whose flow rate of unstimulated whole saliva was less than 0.15 ml/min were included and their gender- and age-matched controls (7 males, 33 females, mean age 42.9 years) who did not report any complaints, suggestive of salivary gland dysfunction and had the flow rate of greater than 0.20 ml/min were included for comparison. The salivary flow rate was measured in both unstimulated and stimulated conditions. Dry mouth-related clinical information including history, dry mouth associated symptoms, exacerbating and relieving factors, drugs, systemic diseases, and family history was investigated using questionnaires. The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to each question and their relation to the salivary flow rate were analyzed and we came to following conclusions. 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patients and controls to the following questions: the period and frequency of suffering from dry mouth; severity of dry feeling during a meal; severity of discomfort during swallowing; necessity of sipping liquids during swallowing dry foods, severity of discomfort in usual life due to dry feeling; self-assessment of residual salivary volume; taking medications. 2. The patients had more stress-related medical histories including indigestion, insomnia, and gastritis compared with controls. The patients took many kinds of medications to control their systemic diseases.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livary flow rate between different groups of patients to following questions: severity of dry feeling during a meal; severity of discomfort during swallowing; necessity of sipping liquids during swallowing dry foods. The difference was more significant in the case of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rather than unstimulated one. 4. The salivary flow rate of patients taking medications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patients who did not take medications. The difference was more significant in the case of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rather than unstimulated one.

  • PDF

맞벌이 가정과 전업주부 가정 미취학 자녀의 신체발달과 영양섭취상태 비교연구 (A Comparison of Growth Development and Nutrient Intakes between Double Income Families' and Full-Time Housewives' Preschool Children)

  • 명금희;신승미;최미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0권4호
    • /
    • pp.407-41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arison of growth development, bone mineral density and nutrient intakes between double income families' preschool children(DIFPC) and full-time housewives' preschool children(FHPC). Subjects were 111 preschool children.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right forearm were measure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health status, life style, dietary behaviors, and dietary intakes and was completed by the children's mothers. The average age of the DIFPC(n=60) was 53.02 months and that of the FHPC(n=51) was 54.80 months. The birth height and weight of the subjects were 50.47㎝ and 3.27㎏ for DIFPC and 50.85㎝ and 3.36㎏ for FHPC, respectively. The average height, weight, % body fat, and obesity index were 108.50㎝, 18.35㎏, 15.35%, 96.71% in DIFPC and 111.46㎝, 19.64㎏, 16.80%, 97.31% in FHPC, respectively. The bone mineral density in forearm of two groups were 0.24g/㎠ in all. The infant feeding metho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IFPC and FHPC; 58.9% of DIFPC was fed formula, while 44.4% of FHPC was fed breast milk(p<0.05). Proportions of children for their regular meal were 59.4%, 89.6%, and 61.0% for breakfast, lunch, and dinner, respectively. The major reasons for irregular meal were lack of time and poor appetite for breakfast and snacks for lunch and dinner. Most of the children answered they have snack over once a day, and 60.0% have unbalanced diet. The intakes of energy, calcium, iron, zinc, vitamin A, vitamin B1, niacin, and vitamin C did not meet the Korean RDAs. The intakes of K and vitamin A for DIFP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HPC(p<0.05, p<0.05). In conclusion, double income families' preschool children more have a low frequency of breast feeding and low intakes of micro nutrients, such as K and vitamin A than full-time housewives' ones.

  • PDF

병원급식의 선택식단제 시행현황 및 소비자와 관리자의 인식도 조사 (The Survey of Implementing Selective Menus and the Perception of Dietitians and Customers in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s)

  • 최윤정;장혜자;곽동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5권2호
    • /
    • pp.194-204
    • /
    • 199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current practices of implementing selective menus and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foodservice manager and customer on selective menus for hospital foodservice would be fulfilled. Two types of questionnaires for hospital foodservice managers as well as customers were develop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anagers of 8 hospital foodservice department and 317 customers of patient meal service, and 6 managers and 139 customers were respond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In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s, the selective menu pattern was first introduced by L hospital on June 1994 in Seoul and recently 8 hospitals were currently implementing selective menus. But using rate of selective menus by patients were relatively low(23.2%), ranging from 15% to 32%. 2. Customers' needs for selective menus were rat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of patients(4.24/5) who chose the selective menus than their counterpart(3.88/5). 3. The main reason not choosing selective menus was identified by patients as 'not knowing the implementation of selective menus'(52.6%), inconvenient factors in using selective menus for customer were also identified as orders : 'lack of nutrition information on menu item'(38.6%), 'complexity in procedure'(29.8%), and 'lack of menu variety'(26.3%). However managers considered 'managerial burden' and 'limited human resource' as main obstacle to implement the selective menu pattern. 4. Customers indicated 'variety of menu', 'active public relations' as effective methods to enhance using rate of selective menus, however, foodservice manager indicated 'variety of menu'(50%), 'improvement of quality'(16.7%), and 'simplicity in procedure'(16.7%).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ing recommendations have been suggested : Managers in patient meal service should recognize customer needs for implementing selective menus and pay more attention in implementing selective menus and activating this program. For mo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ctivating selective menu program, the foodservice department should establish action plan on 'active publicity work', 'simplicity in procedures', 'variety of menu' and 'improvement of quality'. Especially nutrition informations on meals should be provided for customers in order to elevate participation rate.

  • PDF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2010-2012)를 활용한 한국의 19세 이상 성인의 식습관에 따른 정신건강상태 (Eating habits in accordance with the Mental Health status :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 박효은;배연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68-181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식습관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올바른 식습관 형성의 중요성을 알리고 한국인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국민건강영양조사 5기(2010-2012)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15,848명(남자 6,348명, 여자 9,5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에서 일반적은 특성은 기술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식사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은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선형경향성을 사용하여 식습관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남성은 식사횟수가 증가할수록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여성은 식사횟수가 증가할수록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여성은 1식에 비해 2식을 할 경우 스트레스가 0.667배 감소하였다. 그리고 1식에 비해 3식을 할 경우 스트레스는 0.522배, 우울 0.605배, 자살생각 0.508배 감소함을 규명하여 식사횟수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규칙적인 식습관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식습관과 그로 인한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가 정신건강에 중요함을 알리는 교육과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

대전지역 주부들의 한국발효식품 소비실태 (Housewives발 Consumption Aspects of Korean Fermented Foods in Taejon)

  • 구난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14-725
    • /
    • 1997
  • 전통 발효식품의 소비정도와 마련방법를 알아보기 위해 대전지역 주부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김치류는 하루에 1번 이상 이용하는 주부가 97%, 매끼 마다 이용하는 주부는 87%로 가장 빈번하게 식탁에 오르는 발효식품이었다. 그 다음은 진간장, 국 간장, 고추장 및 된장의 순으로 하루에 1번 이상 이용한다는 답은 각각 47%, 46%, 31% 및 27% 이어서 장류는 우리 음식 준비시 매일 요구되는 발효식품임을 알 수 있었다. 식사 준비시 매우 낮은 빈도로 이용되는 발효식품은 청국장, 젓갈류 및 장아찌류로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는 주부도 각각 18%, 19% 및 22%나 되었다. 특히 김치류, 장아찌류, 된장류, 고추장류, 젓갈류 및 청국장 등은 교육수준이 높고 젊은 주부일수록 소비빈도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가족형태와 유의적 관계가 있는 발효식품은 된장류 뿐으로 대가족보다는 핵가족인 경우 소비 빈도가 낮았고, 주부의 직업 유무와는 젓갈류만 유의적 관련성이 있어서 일을 하는 주부들이 젓갈류를 자주 이용하고 있었다. 74%의 주부가 전통 발효식품의 소비가 감소하고 있다고 하였고, 감소 이유는 음식 종류의 증가(54%), 자녀들의 식성변화(27%), 반찬수의 증가(10%), 어른들의 식성 변화(9%)를 지적하였다. 김치류의 마련방법은 86%가 직접 제조한 것, 11%가 친척 집것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류는 직접 제조하는 주부가 49% 뿐이었다. 교육수준이 높은 젊은 주부일 수록 직접 제조하지 않는 경향을 나타냈다(p<0.0001). 본 조사에서 얻어진 결과를 보면 교육 수준이 높은 젊은 주부일수록 발효식품을 식사 준비 시 적게 이용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식생활의 변화를 인정하되 전통 발효식품이 젊은 세대에 의해 지속적으로 소비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가정과 사회에서 실질적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애써야 한다고 생각한다.

  • PDF

RMR(레스토랑간편식) 상품의 선택속성이 브랜드이미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taurant Meal Replacement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on Brand Image and Satisfaction)

  • 김찬우;이강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71-481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외식 소비자의 RMR 상품에 대한 관심과 이용 빈도가 상승함에 따라 RMR(레스토랑간편식)상품 선택속성의 요인과 브랜드이미지,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외식기업 및 레스토랑에서 출시 된 RMR상품 이용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을 사용하였다. 조사기간은 2020년 8월 10일부터 약 20일간 진행되었으며, 최종 29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SPSS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설1의 위생(��=.160), 메뉴(��=.203), 포장(��=.291)은 신뢰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고, 가설2의 메뉴(��=.270) 편의성(��=.201), 포장(��=.195)은 차별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3의 브랜드 이미지의 중 신뢰성(��=.328)과 차별성(��=.443)은 만족도(��=.428)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설4의 위생(��=.388) 메뉴(��=.229), 편의성(��=.243)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RMR 상품 관련 기초 연구 자료로 제공되길 기대하고 외식기업 및 레스토랑의 RMR 상품개발에 방향성 제시와 마케팅의 활용 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로 제시하고자 한다.

사료 내 아미노산의 부족이 하루 착유횟수를 2회에서 3회로 증가시킨 젖소의 유생산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sufficient dietary amino acids on the milk production of dairy cows milked three times daily)

  • 여준모;이성훈;이장형;노환국;김완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8권1호
    • /
    • pp.43-51
    • /
    • 2006
  • 본 실험은 젖소의 사료 내 아미노산 중 His, Met, Lys의 부족이 하루 착유횟수를 2회에서 3회로 증가시킨 젖소의 유생산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젖소의 사료 내 His, Met, Lys의 부족을 위해서 조사료로서 그라스 사일리지를 이용하고 또한 농후사료에 이용되는 단백질원으로서 우모분만을 이용하였다. 비록 젖소의 대사에너지 섭취량이 유생산을 위한 요구량보다 훨씬 높았지만 사료 내 특정 아미노산의 부족은 하루 착유횟수를 2회에서 3회 증가시킨 젖소의 유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한쪽 유구에만 3회 착유를 적용한 결과 2회 착유된 유구의 유단백질 및 유당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이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의 결과는 특정 아미노산이 제한된 사료조건에서 젖소의 하루 착유횟수를 2회에서 3회로 증가시키는 것은 유생산 반응을 변화시킬 수 있을 정도의 유량 촉진방법이 아님을 제시하였다.

충남지역 일부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식생활 및 영양섭취상태 비교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Life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Persons at Nursing Home or Their Home in Chungnam)

  • 송은숙;김은진;김명희;최미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49-66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거주상태가 다른 시설과 재가 노인들의 식생활 및 영양섭취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양질의 급식을 제공하고 합리적인 식생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충남지역 일부 시설노인 150명과 재가노인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낮잠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외출 빈도는 재가노인이 시설노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일상생활 신체활동 정도에서 시설노인이 재가노인보다 매우 가벼운 활동을 한다는 비율이 높았으나, 운동 빈도에서는 시설노인이 재가노인에 비해 규칙적인 운동 비율이 높았다. 2. 시설과 재가 노인 대부분이 질병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자 시설노인은 치매(50.0%)와 소화기질환(30.0%), 재가노인은 혈관질환(40.0%)과 당뇨병(26.0%)순으로 질병을 가지고 있었다. 여자의 경우 시설노인은 소화기질환(43.0%)과 혈관질환(27.0%), 재가노인은 혈관질환(46.0%)과 심장질환(27.0%) 순으로 나타났다. 영양제 복용의 경우 남자 시설노인은 안한다는 응답이 52.0%로 높았으며, 재가노인의 60.0%가 가끔 먹는다고 응답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흡연, 음주, 구강상태와 같은 건강관련 평가는 시설노인이 재가노인보다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식사 빈도의 경우, 여자 노인은 아침, 점심, 저녁식사를 매일 한다는 비율이 재가노인보다 시설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자 노인은 저녁식사를 매일 한다는 비율이 시설노인보다 재가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식사의 양에서는 시설노인은 적당량 식사를 한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재가노인은 배부를 때까지 식사한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식사시간은 시설노인들의 식사시간이 재가노인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일 간식빈도에서 시설노인은 1회가, 재가노인은 2회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4. 영양소 섭취량의 경우 시설노인의 에너지 섭취량은 남녀 각각 2,229.9 kcal와 2,302.1 kcal로 재가노인의 1,894.0 kcal와 1,885.9 kca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밖에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니아신, 엽산, 비타민 C, 칼슘, 인, 철, 아연 등의 영양소 섭취량이 재가노인보다 시설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시설노인의 건강상태가 재가노인보다 불량함에도 불구하고, 식사빈도, 식사 섭취량, 영양 섭취량 등이 재가노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향후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에 대한 영양평가 및 관리가 지속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할 것이다.

미국 Texas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한국 유학생 부인들의 식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Food Habits of Housewives of Korean Students Residing in a Southern Region of Texas, U.S.A.)

  • 김은실;송청락;정복미;심영자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2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on the preparing fermented foods and food habits of Korean women in Texas U. S. A. The preparing method of fermented foods and food habits of Korean housewives whose husbands are studying at the various universities in Houston, Texas are surveyed. The analysed results indicated were as follows ; 1. 64.4% of women were in the thirties at their age, those in twenties 29.7%. 75.2% of subject graduated college. Period of residence in America were 52.5% under 3yr, 25.7% over 5yr. The respondents were aged twenties(29.7%) to thirties(64.4%) who have graduated from college(75.2%) or graduate school(24.8%) and have had the residence period of less than three-(52.5%) to more than five years(25.7%). 2. The kind of cuisine chosen for dinner were Korean style food. The most considerable person when preparing menu were husband. 48.51% of those in age were 3∼39yr(p < 0.1). 60.40% of the response graduated college(p < 0.1). The Korean-style foods overwhelmed over western ones in their frequency for dinner(82.2% vs. 17.8%). The person most considered for choosing menu was their husbands as responded by the majority groups of aged thirties(48.5%), college graduates(60.4%) and residence period of less than three years(42.6%). They satisfied comparatively when they prepared the meal (p < 0.1). 55.4% of the response learned cooking method from neighbor, 39.6% of remainder studied from cuisine book, newspaper, magazine, TV. They satisfied comparatively for the preparation of the meal(56.4%) and have learned the new methods of cooking from neighborhoods(55.4%) or cuisine book, newspaper, magazine and TV(39.6%). 3. The frequency of eating-out mostly had once a month. 30.69% of response were 30∼39yr(p < 0.1). 33.66% of subjects lived under 3yr in America. The frequency of eating-out mostly had once a month. 30.69% of response were 30-39yr(p < 0.1). 33.66% of subjects lived under 3yr in America. Eating-out once a month occupied 30.7, 33.7, and 20.7% of the selected group of aged thirties, college graduates, and residence periods of less than three years, each respectively. The type of food selecting eating-out were western style. 38.31% of them were 30∼39yr(p < 0.1). 39.60% of them graduated college(p < 0.1). 29.70% of them lived under 3yr in America. For eating-out menu, the western-style foods were most favored by the groups of aged thirties(38.3%), college graduates(39.6%), and residence periods of less than three years(29.7%). 4. 50.5% of subject had beef once three days, 23.8% of the response had pork once two weeks, 27.7% of subject ate chicken once two weeks, 34.7% of the response enjoyed fish once a week. Eating animal foods once three days for beef(50.5%), once two weeks for pork(23.8%) and chicken(27.7%), and once a week for fish(34.7%) were most frequent. 5.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were mostly enjoyed in order of kanjang(91.1 %), kochujang(87.2%), fermented fish(85.1%), deonjang(81.2%), jang-a-chi(76.2%). 81.2% of subject used prepared-food by themselves. 56.4% of response made kimch at home. Among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kimchi(56.4%) and prepared side dishes(81.2%) were provided at home while kanjang(91.1%), kochujang(87.2%), fermented fish(85.1%), deonjang(81.2%), and jang-a-chi(76.2%) were mostly purchased from stores.

  • PDF

대구지역 학교급식 식단에 대한 고등학생의 기호도와 섭취율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s and Food Intake on Menu Items Offered by School Foodservice in Daegu)

  • 김소희;차명화;김유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945-95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메뉴 기호도를 분석하고 학생들의 실제 섭취상태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학교급식 식단 계획 시 유용한 기초 자료로 이용함으로써 학교급식 운영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고 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과 영양섭취의 질을 높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구지역 직영급식을 하는 16개 고등학교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조리형태에 따른 빈도를 분석하면 국류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밥류, 김치류가 비교적 자주 제공되었다. 2) 급식 메뉴에 대한 기호도를 살펴보면, 쌀밥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일품 요리류는 비빔밥과 볶음밥, 국 및 찌개류에서는 수제비만두국과 미역국, 그리고 무침류에서는 과일샐러드나 야채샐러드의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찜류 및 조림류에서도 갈비찜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튀김 구이류의 기호도는 돈가스, 탕수육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볶음류와 찜류, 조림류, 튀김 구이류에서 육류를 재료로 한 음식에 대한 기호도가 야채를 재료로 한 음식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특히 남학생의 육류에 대한 기호도가 여학생보다 높았다. 3) 기호도와 세공빈도를 비교한 결과는 학생들의 음식에 대한 기호도와 실제로 학교에서 급식되는 메뉴의 제공빈도 사이에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호도와 섭취율을 비교한 결과 기호도와 섭취량 사이에는 유의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4) 고등학생의 영양소 섭취 함량 분석결과 단백질, 인, 철분,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6$, 나이아신, 비타민 C, 비타민 E를 초과섭취하고 있었다. 반면 열량, 칼슘, 비타민 $B_2$, 엽산은 권장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칼슘의 권장량 대비 섭취율이 남자는 54.93%, 여자는 51.32%로 가장 취약한 섭취를 보였으며, 또한 철분은 월경을 경험하는 여학생들에게 특히 유의해야 하는 영양소임에도 불구하고 여학생의 섭취량이 권장량 대비 90.28%에 그쳐 청소년들의 영양증진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대책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학교급식식단 기호도와 섭취율 사이에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학교급식의 메뉴선정에 있어 기호도가 매우 중요한 원인이 됨을 알 수 있다. 학교급식의 메뉴별 섭취율을 높이고 필요한 영양을 섭취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식단 작성 시 기호도 조사를 통한 대체식품이용, 메뉴개선, 새로운 조리법 개발, 영양교육의 실시와 함께 배식량의 표준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국과 찌개류는 우리 전통식단의 일부로 거의 고정적으로 제공되는 메뉴이기는 하지만 학생들의 기호도가 낮고, 이들 식품의 잔반이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과 식염함유량을 고려해서 식단형태를 재구성할 필요도 있다고 본다. 현재 학교급식을 제공받는 고등학생들의 영양소 섭취량 분석결과 과잉 또는 부족한 영양소가 있었고 특히 칼슘의 실제 섭취는 권장량의 53% 정도의 섭취율을 보여 우유급식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교육하는 등 칼슘섭취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