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cN-A-343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16초

흰쥐 적출 부신에서 DMPP 및 McN-A-343의 Catecholamine 분비작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ecretion of Catecholamines Evoked By DMPP and McN-A-343 in the Rat Adrenal Gland)

  • 임동윤;황두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3-67
    • /
    • 1991
  • 흰쥐 적출 부신에서 DMPP와 McN-A-343의 카테콜아민(CA) 분비작용의 차이와 특성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다. DMPP(100 uM)와 McN-A-343(100 uM)은 부신정맥내로 투여시 유의한 카테콜아민 분비작용을 나타내었다. Mol농도로 비교시 McN-A-343의 CA분비작용은 DMPP의 약 1/5정도였다. DMPP나 McN-A-343의 반복투여시 반응 급강현상은 관찰할 수 없었다. DMPP의 CA분비작용은 chlorisondamine이나 desipramine또는 $Ca^{2+}-free$ Krebs + EGTA 관류등의 전처치로 의의있게 억제되었으나, pirenzepine, ouabain 및 physostigmine등 전처치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atropine 전처치시 DMPP의 분비작용은 오히려 증강되었다. McN-A-343의 CA분비작용은 atropine, pirenzepine, chloriondamine, physostigmine 및 $Ca^{2+}-free$ medium plus EGTA 관류등의 전처치에 의해서현처히 차단되었으나 desipramine등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ouabain의 전치치시 McN-A-343의 분비효과는 크게 증강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DMPP와 McN-A-343은 횐쥐 적출관류 부신에서 현저한 CA분비작용을 일으키며, 이는 $Ca^{2+}$ 의존성 임을 보였으며, DMPP의 분비작용은 부신의 nicotine 수용체의 흥분을 통해서 나타내며, 또한 McN-A-343의 분비작용은 $M_{1}-muscarine$ 수용체의 흥분에 의하여 유발되는 것을 생각된다. DMPP의 분비활성이 McN-A-343보다 훨씬 강력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orskolin의 흰쥐적출관류부신으로 부터 Ach, Excess $K^+$, DMPP, McN-A-343에 의한 Catecholamine 분비효과의 증강작용 (Forskolin-Induced Potentiation of Catecholamine Secretion Evoked By Ach, DMPP, McN-A-343 and Excess $K^+$ From the Rat Adrenal Gland)

  • 임동윤;김원식;최철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7-181
    • /
    • 1991
  • Adenylate cyclase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약물인 Forskolin의 흰쥐 적출관류 부신으로부터 Ach, excess $K^+$, McN-A-343 및 caffein에 의한 catecholamines (CA) 분비작용에 대한 영향을 검색하고, 그 기전을 규명코자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Forskolin (1.0 uM)은 흰쥐 부신적출정맥내로 1분동안 관류시킨 후 Ach(50 ug), excess $K^+$(56 mM), DMPP (100 uM) 및 caffeine (0.3 mM)에 의한 CA 분비작용을 현저히 증강시켰으나 McN-A-343에 의한 CA분비작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Forskolin 자체는 CA분비작용을 일으키지 못하였다. 또한 세포의 calcium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위 약물에 의한 CA분비작용에 대하여 유의한 증강작용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McN-A-343의 CA작용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위의 약물의 CA분비작용을 유의하게 강화시켰다. Cyclic AMP를 증가시키는 약물로 알려져 있는 dibutyryl cyclic AMP (DBcAMP)는 300 uM농도를 1분간 관류시 Ach, excess $K^+$ 및 DMPP의 CA 분비작용을 뚜렷하게 증강시켰으나 McN-A-343 및 caffeine의 CA분비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었다. DBcAMP 자체도 CA분비작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또한 DBcAMP는 세포의 칼슘제거시에도 위의 약물에 의한 CA분비작용을 의의있게 증강시켰다. 그렇지만, McN-A-343의 CA분비작용은 증강시키지 못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 Forskolin는 adenylate cyclase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cyclic AMP 농도를 증가시켜 세포내로 칼슘유입을 증강시키며, 또한 세포내의 칼슘이동에도 관여함으로써 cholinergic nicotinic stimulation 및 depolarization에 의한 CA분비작용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PDF

McN-A-343, Clonidine 및 Cocaine의 백서(白鼠)와 가토정관(家兎精管)의 자극효과(刺戟效果)에 대(對)한 영향(影響) (Effect of McN-A-343, Clonidine and Cocaine on the Contractile Response of Rat and Rabbit Vas Deferens to Field Stimulation)

  • 양효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3-30
    • /
    • 1981
  • 1) 흰쥐 및 가토정관표본(家兎精管標本)에서 전기자극(電氣刺戟)(Field Stimulation)에 의한 수축반응(收縮反應)에 미치는 McN-A-343. cocain 및 clonidine등 그 작용(作用)에 NE와의 유관성(有關性)이 시사(示唆)되어 있는 약물(藥物)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2) 소양(小量)의 McN-A-343$(0.003,\;0.03,\;0.3{\mu}\;g/ml)$, clonidine$(0.003,\;0.03\;{\mu}g/ml)$, cocaine$(0.03\;{\mu}g/ml)$존재하(存在下)에서 $5{\sim}10Hz$에 의한 자극효과(刺戟效果)는 억제(抑制)되었고 이 억제(抑制)는 yohimbine, piperoxan 투여(投與)에 의하여 원수축반응(原收縮反應)으로 회복(回復)되었다. 3) 전술(前述)한 McN-A-343$(0.03\;{\mu}g/ml)$ 또는 cocaine $(0.03\;{\mu}g/ml)$에 의한 억제(抑制)는 각각 동량(同量)의 cocaine 또는 McN-A-343으로 더욱 강화(張化)되었다. 이 강화(强化)된 억제효과(抑制效果)는 yohimbine으로 회복(回復)되었다. 4) 비교적(比較的) 대량(大量)의 McN-A-343$(30\;{\mu}g/ml)$ 및 cocaine$(3\;{\mu}g/ml)$존재하(存在下)에서 $5{\sim}10Hz$ 및 0.01 Hz의 자극효과(刺戟效果)는 강화(强化)되었다. 이 강화(强化)는 thymoxamine 존재하(存在下)에서 소실(消失)되었고, atropine 존재하(存在下)에서는 McN-A-343의 강화(强化)만이 소실(消失)되었다. 5) Muscarine에 의하여 자극효과(刺戟效果)는 강화(强化)되었고 이 강화(强化)는 thymoxamine 및 atropine 존재하(存在下)에서 억제(抑制)되었다. 6) 흰쥐 정관표본(精管標本)의 0.01 Hz의 자극효과(刺戟效果)는 McN-A-343 또는 clonidine에 의하여 억제(抑制)되었고, yohimbine 존재하(存在下)에서 후자(後者)에 의한 억제(抑制)는 부분회복(部分回復)되었으나 전자(前者)에 의한 억제(抑制)는 영향(影響)받지 않았다. 7) 이상(以上)의 성적(成績)으로 McN-A-434은 교감신경말단(交感神經末端)으로부터의 NE유리(遊離)에 대하여 상반(相反)된 두가지 작용(作用) 즉(卽) $pre-{\alpha}$를 통(通)한 NE유리(遊離)의 억제(抑制) 및 muscarinic recepor를 통(通)한 NE유리(遊離)의 증가(增加)를 일으키는 성질(性質)을 갖고, cocain(소량(少量))은 NE-uptake 억제(抑制)에 의하여 NE를 통(通)해 $pre-{\alpha}$에 작용(作用)하여 NE유리(遊離)를 억제(抑制)시키는 성질(性質)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가토(家兎)에서 Nicotine, DMPP, McN-A-343, AHR-602, Tyramine, Angiotensin, Neostigmine이 심박증가(心博增加)를 일으키는 작용점(作用點)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ite of Cardioaccelerating Action of Nicotine, DMPP, McN-A-343, AHR-602, Tyramine, Angiotensin and Neostigmine in Rabbits)

  • 박평순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9-40
    • /
    • 1975
  • 1. 척수가토(脊髓家兎)에서 nicotine, DMPP, McN-A-343, AHR-602, tyramine, angiotensin및 neostigmine에 의한 심박증가(心搏增加)의 작용점(作用點)을 조사(調査)하였다. 2. 상기약물(上記藥物)에 의한 심박증가(心搏增加)는 reserpine 처리가토(處理家兎)에서는 대단히 약(弱)하였고, Propranolol 투여후(投與後)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3. Tetrodotoxin, guanethidine은 isoproterenol, nicotine, DMPP, tyramine에 의한 심박증가(心搏增加)에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으나 McN-A-343, AHR-602, angiotensin, neostigmine에 의한 심박증가(心搏增加)는 이를 현저(顯著)히 약화(弱化)시켰다. 4. Nicotine, DMPP의 심박증가(心搏增加)는 chlorisondamine으로 McN-A-343, AHR-602의 심박증가(心搏增加)는 atropine으로 각각(各各) 억제(抑制)되었다. 5. Isoproterenol, nicotine, DMPP, McN-A-343, tyramine, angiotensin, neostigmine은 적당량(適當量)을 우심방내(右心房內)에 주입(注入)하였을때 이들을 이정맥내(耳靜脈內)에 주사(注射)하였을 때와 비슷한 반응(反應)을 일으킬 수 있었다. 그러나 AHR-602 우심방내(右心房內) 주입(注入)은 유의(有意)한 심박증가(心搏增加)를 일으키지 않았다. 6. Nicotine, DMPP, neostigmine은 우심방내(右心房內) 주입시(注入時)는 현저(顯著)한 심박증가(心搏增加)를 일으켰으나, 동량(同量)을 우심실내(左心室內)에 주입(注入)하였을때는 증가(增加)를 일으키기 않았다. Isoprotereool 및 tyramine에 대한 반응(反應)은 우심실내(右心室內) 주입(注入)보다도 우심방내(右心房內) 주입시(注入時) 훨씬 컸다. 7. McN-A-343, angiotensin의 우심실내(右心室內) 주입시(注入時)는 우심방내(右心房內) 주입시(注入時)보다도 훨씬 현저(顯著)한 심박증가(心搏增加)를 일으켰고, AHR-602의 우심실내(左心室內) 주입(注入)도 현저(顯著)한 반응(反應)을 일으켰다. 8. Nicotine, DMPP, tyramine은 심장(心臟)의 aenergic nerve의 말단(末端) 또는 extraneuronal norepinephrine-store에 작용(作用)하여, Mcn-A-343, AHR-602, angiotensin은 심장(心臟)의 adrenergic nerve에 작용(作用)하여 심박증가(心搏增加)를 일으키며, nicotine, DMPP, tyramine, neostigmine의 작용점(作用點)은 주(主)로 우심방(右心房)에 McN-A-343, AHR-602, angiotenisin의 작용점(作用點)은 주(主)로 우심실(右心室)에 존재(存在)하는것으로 추론(推論)하였다.

  • PDF

교감신경절(交感神經節) 흥분제(興奮濟)에 대(對)한 닭 혈압반응(血壓反應) (Blood Pressure Response of Chickens to Sympathetic Ganglionic Stimulants)

  • 김용호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5-18
    • /
    • 1967
  • Sympathetic ganglionic stimulants (DMPP, Wy-615, TMA and McN-A-343) produced pressor response in chickens anesthetized with phenobarbital sodium. In adrenalectomized chickens the pressor activity of DMPP, Wy -615 and TMA was less than in normal chickens but that of McN-A-343 was unchanged. Hexamethonium (20 mg/kg) and chlorisondamine (5 mg/kg), ganglionic blocking agents, reduced the pressor response to DMPP and Wy-615 but did not abolish the response. The pressor effect of McN-A-343 was not potentiated by the ganglionic flocking agents, but abolished by atropine.

  • PDF

횐쥐 적출 관류부신을 이용한 Catecholamine 분비작용의 검색방법

  • 고석태;임동윤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2년도 제1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38-38
    • /
    • 1992
  • 횐쥐 적출 완류부신을 이용하여 neuronal nicotinic(NN) agonist인 DMPP와 M1-muscarinic agonist인 McN-A-343의 카테콜아민(CA) 분비 작용의 차이와 특성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DMPP (100 $\mu$M)와 McN-A-343(100 $\mu$M)은 부신정맥내로 투여시 유의한 카테콜아민 분비작용을 나타내었다. Mol농도로 비교시 McN-A-343의 CA분비작용은 DMPP의 약 1/5정도였다. DMPP의 CA분비작용은 chlorisondamine이나 desipramine 또는 $Ca_2$$^{2}$-free Krebs + EGTA 관류등의 전처치로 의의있게 억제되었으나, pirenzepine, ouabain 및 physostigmine등 전처치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않았다. 그러나 atropine 전처치시 DMPP의 분비작용은 오히려 증강되었다.

  • PDF

가토 교감신경절에서 무스카린성 수용체 아형과 니코틴성 수용체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Interactions of $M_1-,M_2-receptors$ with Nicotinic Receptors in Rabbit Sympathetic Ganglia)

  • 김종근;류춘식;강삼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1-179
    • /
    • 1992
  • 교감신경절 전달에 무스카린성 수용체 아형과 니코틴성 수용체가 기능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척수가토에서 척수를 통한 교감신경절전섬유의 자극에 의한 승압반응과 신경절 $M_1$수용체 및 니코틴성 수용체 흥분제인 McN-A-343과 DMPP의 승압반응에 대한 $M_1$수용체 길항제인 pirenzepine, $M_2$수용체 길항제인 AF-DX116 및 니코틴성 수용체 길항제인 mecamylamin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M_1$$M_2$수용체의 작용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pirenzepine과 AF-DX116의 용량을 구하기 위해 chlorisondamine-처리가토에서의 $M_1$수용체를 통한 작용인 McN-A-343의 혈압상승작용과 $M_2$수용체를 통한 작용인 bethanechol (BCh)에 의한 심박수감소작용을 50% 억제하는 양$(LD_{50})$을 각각 구한 결과 pirenzepine의 혈압상승작용에 대한 $ID_{50}$$30\;{\mu}g/kg$였으며 AF-DX116의 심박수감소작용에 대한 $ID_{50}$$27\;{\mu}g/kg$였다. 제 8흉추부위에 삽입한 전극을 통한 교감신경절전섬유 전기자극에 의해 혈압상승작용 $(24{\pm}1.8\;mmHg)$을 나타냈으며 이 혈압상승작용은 pirenzepine 3, 10, 30 및 $100\;{\mu}g/kg$에 의해 $20{\sim}25%$정도 용량에 관계없이 비슷한 정도로 억제되었으나 AF-DX116 $100\;{\mu}g/kg$에 의해서는 영향받지 않았다. Mecamylamine은 용량의존적으로 이 승압작용을 억제하였으며 mecamylamine의 이 억제작용은 pirenzepine $30\;{\mu}g/kg$에 의해서는 유의하게 강화되었으나 AF-DX116 $100\;{\mu}g/kg$에 의해서는 영향받지 않았다. 척수이단가토에서 McN-A-343 $(100\;{\mu}g/kg)$ 및 DMPP $(100\;{\mu}g/kg)$는 혈압상승작용을 나타냈으며 pirenzepine과 AF-DX116은 McN-A-343의 승압작용은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나 DMPP의 승압작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mecamylamine은 양약물의 승압작용을 모두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실험성적은 척수가토에서 절전교감신경절 자극에 의한 혈압상승에는 $M_1$수용체의 흥분이 일부 관여하나 $M_2$수용체의 흥분은 관여하지 않으며 교감신경절전달에서 $M_1$수용체의 흥분이 니코틴성 전달을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하나 $M_2$수용체는 작용하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Influence of Apamin on Catecholamine Secretion from the Rat Adrenal Medulla

  • Lee, Eun-Sook;Park, Hyeon-Gyoon;Lim, Dong-Y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0권3호
    • /
    • pp.142-151
    • /
    • 2002
  • The present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pamin on catecholamine (CA) secretion evoked by ACh, high $K^+$, DMPP, McN-A-343, cyclopiazonic acid and Bay-K-8644 from the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 and to establish the mechanism of its action. The perfusion of apamin (1 nM) into an adrenal vein for 20 min produced greatly potentiation in CA secretion evoked by ACh (5.32 $ imes$ $10^{-3}$ M), high $K^+$, (5.6 $ imes$ $10^{-2}$), DMPP ($10^{-4}$ M for 2 min), McN-A-343 ($10^{-4}$ M for 2 min), cyclopiazonic acid ($10^{-5}$ M for 4 min) and Bay-K-8644 ($10^{-5}$ M for 4 min). However, apamin itself did fail to affect basal catecholamine output. Furthermore, in adrenal glands preloaded with apamin (1 nM) under the presence of glibenclamide ($10^{-6}$ M), an antidiabetic sulfonylurea that has been shown to be a specific blocker of ATP-regulated potassium channels (for 20 min), CA secretion evoked by DMPP and McN-A-343 was not affected. However, the perfusion of high concentration of apamin (100 nM) into an adrenal vein for 20 min rather inhibited significantly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h, high $K^+$, DMPP, McN-A-343, cyclopiazonic acid and Bay-K-8644.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ow concentration of apamin causes greatly the enhancement of CA secretion evoked by stimulation of cholinergic (both nicotinic and muscarinic) receptors as well as by membrane depolarization.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apamin-sensitive SK ($Ca^{2+}$) channels located in rat adrenal medullary chromaffin cells may play an inhibitory role in the release of catecholamines mediated by stimulation of cholinergic nicotinic and muscarinic receptors as well as membrane depolarization. However, it is thought that high concentration of apamin cause the inhibitory responses in catecholamine secretion evoked by stimulation of cholinergic receptors as well as by membrane depolarization from the rat adrenal gland without relevance with the SK channel blockade.

INFLUENCE OF 17-$\alpha$-ESTRADIOL ON CATECHOLAMINE SECRETION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GLAND

  • Lim, Dong-Yoon;Lee, Jong-Jin-;Ko, Suk-Tai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97-297
    • /
    • 1994
  • It has been known that adrenal corticosteroids influence the expression of adrenomedullary catecholamine-synthetizing enzymes and also suppress the emission of axonal-like processes in cultured chromaffin cells. In the present study, it was attempted ta investigate the effect of 17${\alpha}$-estradiol on catecholamine(CA) secretion evoked by acetylcholine(ACh), DMPP, McN-A-343, excess K$\^$+/ and Bay-K-8644 from the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 The perfusion of 17${\alpha}$-estradiol (10$\^$-6/ 10$\^$-4/M) me an adrenal vein for 20min produced relatively dose-dependent inhibition in CA secretion evoked by ACh (5.5 ${\times}$ 10$\^$-3/M), DMPP (10$\^$-4/M for 2min), McN-A-343 (10$\^$-4/M for 4min) and Bay-K-8644 (10$\^$-5/M for 4min), while did not affect the CA secretory effect of high K$\^$+/(5.6 x 10$\^$-2/M). Also, in the presence of 17${\beta}$-estradiol, CA secretion of ACh, DMPP and McN-A-343 without any effect on excess K$\^$+/-evoked CA secretion. However, in adrenal glands preloaded with 17${\alpha}$-estradiol (10$\^$-5/M) plus tamoxifen (10$\^$-5/M), which is known to be a selective antagonist of estrogen receptors (for 20min),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h, DMPP and McN-A-343 were considerably recovered as compared to that of 17${\alpha}$-estradiol only, but excess K$\^$+/-induced CA secretion was not affected.

  • PDF

Influence of 5′-(N′-Ethylcarboxanlido) Adenosine on Catecholarnine Secretion Evoked by Cholinergic Stimulation and Membrane Depolarization in the Rat Adrenal Gland

  • Lim, Dong-Yoon;Oh, Hyeong-Geun;Woo, Seong-Cha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8권4호
    • /
    • pp.338-348
    • /
    • 2000
  • The present study was attemp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5'-(N'-ethylcarboxamido) adenosine (NECA), which is an potent $A_2$-adenosine receptor agonist, on catecholamine (CA) secretion evoked by cholinergic stimulation, membrane depolarization and calcium mobilization from the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 NECA (20 nM) perfused into the adrenal vein for 60 min produced a time-related inhibition in CA secretion evoked by ACh (5.32x10$^{-3}$ M), high $K^{+}$(5.6x10$^{-2}$ M), DMPP (10$^{-4}$ M for 2 min), McN-A-343 (10$^{-4}$ M for 2 min), cyclopiazonic acid (10$^{-5}$ M for 4 min) and Bay-K-8644 (10$^{-5}$ M for 4 min). Also, in the presence of $\beta$,${\gamma}$-methylene adenosine-5'-triphosphate (MATP), which is also known to be a selective $P_{2x}$-purinergic receptor agonist, showed a similar inhibition elf CA release evoked by ACh, high potassium, DMPP, McN-A-343, Bay-K-8644 and cyclopiazonic acid. However, in adrenal glands preloaded with 20$\mu$M NECA for 20 min under the presence of 20$\mu$M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an adenosine receptors antagonist,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h, high potassium, DMPP, McN-A-343, Bay-K-8644 and cyclopiazonic acid were much recovered in comparison to the case of NECA-treatment only.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ECA causes the marked inhibition of CA secretion evoked by stimulation of cholinergic (both nicotinic and muscarinic) receptors as well as by membrane depolarization. This inhibitory effect may be mediated by inhibiting influx of extracellular calcium and release in intracellular calcium in the rat adrenomedullary chromaffin cells through the adenosine receptor stimula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inhibitory mechanism of adenosine receptor stimulation may play a modulatory role in regulating CA secretion.n.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