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7초

Zygoma-gear를 이용한 구치부 후방이동을 통한 비발치 치험례 (Zygoma-gear appliance for intraoral upper molar distalization)

  • Nur, Metin;Bayram, Mehmet;Pampu, Alper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95-206
    • /
    • 2010
  • 본 증례보고에서는 골격성 II급 관계를 보이는 16세 여자 환자에서 zygomatic-anchorage plates (Zygoma-gear Appliance, ZGA)를 이용하여 상악 구치를 후방 이동시킴 구내 장치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 장치는 양측성 zygomatic anchorage plates, inner-bow와 강한 힘을 내는 구강 내 고무줄로 구성되어 있다. 3개월 내에 상악 구치의 후방 이동이 이루어 졌으며,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분석 결과, 상악 구치는 4mm 후방 이동, $4.5^{\circ}$ 후방 경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ZGA 장치를 이용해 고정원 소실 없이 단기간에 상악 구치의 후방 이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구치의 후방 견인이 요하는 증례에서 구외 장치 대신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one-supported pendulum을 이용한 상악대구치 원심이동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WITH THE BONE-SUPPORTED PENDULUM)

  • 장용걸;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64-474
    • /
    • 2009
  •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이 요구되는 경우, 구외견인, Wilson distalizing arches, 가철식 스프링 장치 그리고 Schwarz plate-type 장치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대구치의 원심이동 장치들로 치료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협조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많은 소아치과 의사들은 환자 의존성을 최소화하고 임상가가 통제 할 수 있는 장치들로 전환하고 있다. 이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이 pendulum 장치인데, 고정원이 되는 전방치아의 원하지 않는 이동과 고정원 소실, 그리고 구개부 고정원이 좋지 않은 경우 원하는 정도의 구치부 원심이동을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전통적인 pendulum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SAS(Skeletal Anchorage System)를 pendulum에 접목하여 골에서 직접 지지를 얻는 변형된 형태의 pendulum, 즉 bone-supported pendulum을 제작하여 장착 시킨 후 주기적인 관찰을 시행하였다. 본 증례는 혼합치열기 환자를 대상으로 bone-supported pendulum을 사용하여 안정된 고정원 유지, 원치 않는 치아이동의 최소화 및 양호한 상악 대구치 원심이동 등을 관찰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간접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상악 구치부 원심이동 장치 종류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 평가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ooth movement using different types of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appliances)

  • 김수진;전윤식;정상혁;박선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76-38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pendulum 장치, 미니임플란트를 동반한 pendulum장치(펜듈럼), 오픈코일 스프링 및 미니임플란트를 동반한 오픈코일 스프링 이용 시 각각의 치아이동 양상을 3차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었다. 상악 좌측 치조골 및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Calorific $machine^{(R)}$을 이용하여 모형상에서 대구치를 3 mm 원심 이동시켰다. 실험은 5회씩 반복 실시하였다. 모델을 전산화 단층 촬영한 후 V-$Works^{TM}$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제작하였다. $Rapidform^{TM}$상에서 3차원적으로 이동방향과 이동량을 계측하였고, 각각의 장치에 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교정용 미니임플란트를 간접 골성 고정원으로 이용하여 오픈코일 스프링으로 구치부를 원심으로 이동시켰을 때가 치체이동에 가장 가까운 이동양상을 보였고, 고정원 소실도 적게 나타났다 (p < 0.05). 오픈코일 스프링, 펜듈럼 장치 모두 미니임플란트를 부가적으로 이용했을 때 고정원 소실량이 적었다 (p < 0.05). 미니임플란트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두 장치의 고정원 소실량이 비슷하였다. 미니임플란트의 이용 여부와 관계없이 펜듈럼 장치로 상악 구치 원심 이동 시 오픈코일 스프링에 비해 제1대구치가 조절성 경사이동 양상으로 이동되었고 (p < 0.05), 제2대구치는 비조절성 경사이동 양상을 보였으며, 치관의 협측경사이동이 일어났다 (p < 0.05).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간접 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오픈코일 스프링이 상악 구치의 원심 치체이동에 가장 효과적인 장치였으며, 펜듈럼 장치를 이용한 구치부 원심이동 시에는 추가적인 조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Jones jig 장치를 이용한 상악 대구치 원심이동 및 소구치 배열의 증례 보고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AND PREMOLAR ALIGNMENT WITH A JONES JIG APPLIANCE: CASE REPORTS)

  • 전은경;현홍근;김영재;김정욱;장기택;김종철;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97-504
    • /
    • 2010
  • II급 부정교합 비발치 치료 시, 특히 유구치의 조기탈락으로 인해 소구치 공간이 상실된 경우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이 필요하게 된다. Jones jig 장치는 환자의 협조가 필요치 않은 구내장치 중 하나로 효과적인 구치 원심이동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고정원의 상실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장치 조정과 환자의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본 증례에서는 Jones jig 장치로 효과적인 구치 원심이동과 더불어 elastic thread를 사용하여 구개측으로 맹출한 소구치의 치열궁 내 배열을 가능하게 하는 부가적인 장점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미니스크류를 이용한 상악구치부 후방이동장치 효과 (Noncompliance screw supported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in a parallel manner)

  • Nalcaci, Ruhi;Bicakci, Ali Altug;Ozan, Fatih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50-259
    • /
    • 2010
  • 상악 구치의 후방이동을 위한 구강 내 장치 중 환자의 협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방법은 제II급 부정교합의 개선에 성공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스크류에 의해 지지되는 구강 내 후방이동 장치를 소개하고 그 효율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Angle Class II 부정교합으로 진단된 21명의 환자(여자 11명, 남자 10명; 평균 연령 14.9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2개의 스크류를 incisive foramen 후방에 식립하고, 식립한 즉시 힘을 주어 상악 제1대구치의 후방이동에 사용하였다. 상악 구치를 후방이동시켜 제I급 구치관계를 얻기 위해 스크류에 의해 지지되는 구강 내 후방이동 장치를 사용하였다. 치료 전후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과 3차원 모델 분석을 통해 골격 및 치아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상악 구치는 평균 3.95 mm 후방이동하였고, 추가적인 고정원 소실 없이 제I급 구치관계를 확립하였다. 상악 대구치는 $1.49^{\circ}$ 후방경사 되었고, 회전된 정도는 좌우 각각 $0.74^{\circ}$, $0.54^{\circ}$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새롭게 고안된 장치는 스크류에 의해 지지되어 환자의 협조도를 요하지 않으며 특별한 고정원 소실 없이 구치의 치체이동을 통한 후방이동을 얻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Distalization with a modified C-palatal plate for severe upper crowding and a missing lower incisor

  • Park, Jae Hyun;Saito, Traci;Yoo, Sun Kyong;Alfaifi, Mohammed;Kook, Yoon-Ah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52-62
    • /
    • 2020
  • This case report presents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a 25-year-old patient with skeletal Class II and severe maxillary arch crowding, moderate mandibular arch crowding, anterior crossbite, and a missing lower incisor. He was treated with molar distalization using a modified C-palatal plate and temporary anchorage devices to create sufficient space for retraction. The total treatment duration was 21 months. After treatment, his occlusion and smile esthetic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The modified C-palatal plate represents a treatment modality that enhances the prospects of non-extraction treatment and reduces the need for extraction.

TADs와 R-jig를 이용한 상악 구치 원심 이동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 분석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using R-jig with TADs)

  • 탁명현;이근영;조진우;지영덕;조진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4호
    • /
    • pp.265-277
    • /
    • 2014
  • 목적: 고정식 교정장치에서 removable sliding jig (R-jig)와 temporary anchorage devices (TADs)를 이용하여 상악 구치의 원심 이동 시 힘의 크기와 와이어의 단면 크기에 따른 치아 이동과 치조골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유한요소방법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정상적인 치아 크기와 악궁 형태를 가진 상악 치아와 상악 치조골을 3차원 형상 모델링하고, 브라켓, 교정용 호선 및 R-jig를 포함한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다. 골격성 고정원인 mini-implant를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 협측으로 주호선 기준 8 mm 상방 위치시키고, mini-implant를 직접 고정원으로 사용하여 R-jig에 후방력을 부여하였다. 주호선을 $0.019{\times}0.025$ inch SS로 설정하고, R-jig의 와이어 단면 크기를 $0.019{\times}0.025$ inch SS, 후방력의 크기를 200 gm, 결찰을 하지 않는 조건을 기준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R-jig의 와이어 단면 크기, 후방력의 크기를 다르게 한 조건들을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R-jig의 와이어 단면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후방력에 의한 R-jig의 변형이 적게 관찰되었지만, 제2대구치의 변위량은 아주 미미한 차이를 보였다. 제2대구치에 가해지는 후방력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변위량도 같이 증가하였고, 원심경사 경향과 수직 변위량도 더 커졌다. 결론: R-jig는 임상적으로 큰 부작용 없이 치아의 원심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Comparison of transverse dental changes induced by the palatally applied Frog appliance and buccally applied Karad's integrated distalizing system

  • Uzuner, Fatma Deniz;Kaygisiz, Emine;Unver, Fatih;Tortop, Tuba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96-103
    • /
    • 2016
  • Objective: To compare the transverse dental changes induced by the palatally applied Frog appliance and buccally applied Karad's integrated distalizing system (KIDS). Methods: We evaluated the pre- and post distalization orthodontic models of 39 patients, including 19 treated using the Frog appliance, which is palatally positioned (Frog group), and 20 treated using KIDS, which is buccally positioned (KIDS group). Changes in intermolar and interpremolar distances and the amount of maxillary premolar and molar rotation were evaluated on model photocopies. Wilcoxon and Mann-Whitney U tests were used for statistical evaluations. A p-value of <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ignificant distopalatal rotation of premolars and distobuccal rotation of molars were observed in Frog group (p < 0.05), while significant distopalatal rotation of molars (p < 0.05), with no significant changes in premolars, was observed in KIDS group. The amount of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rot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 < 0.05 and p < 0.001, respectively). Furthermore, expansion in the region of the first molars and second premolar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KIDS group than in Frog group (p < 0.001 for both).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type and amount of first molar rotation and expansion vary with the design of the distalization appliance used.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tooth movement in Class II malocclusions treated without extraction by orthodontic mini-implant anchorage

  • Ali, Dler;Mohammed, Hnd;Koo, Seung-Hwan;Kang, Kyung-Hwa;Kim, Sang-Cheol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280-289
    • /
    • 2016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ooth movement and arch width changes in maxillary dentition following nonextraction treatment with orthodontic mini-implant (OMI) anchorage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s. Methods: Seventeen adult patients diagnosed with Angle's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were treated by nonextraction with OMIs as anchorage for distalization of whole maxillary dentition. Three-dimensional virtual maxillary models were superimposed with the best-fit method at the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stages. Linear, angular, and arch width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Rapidform 2006 software, and analyzed by the paired t -test. Results: All maxillary teet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ovement posteriorly (p < 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xillary teeth, except that the second molars were extruded (0.86 mm, p < 0.01). The maxillary first and second molars were rotated distal-in ($4.5^{\circ}$, p < 0.001; $3.0^{\circ}$, p < 0.05, respectively). The intersecond molar width increased slightly (0.1 mm, p > 0.05) and the intercanine, interfirst premolar, intersecond premolar, and interfirst molar widths increased significantly (2.2 mm, p < 0.01; 2.2 mm, p < 0.05; 1.9 mm, p < 0.01; 2.0 mm, p < 0.01; respectively). Conclusions: Nonextraction treatment with OMI anchorage for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s could retract the whole maxillary dentition to achieve a Class I canine and molar relationship without a change i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teeth; however, the second molars were significantly extruded. Simultaneously, the maxillary arch was shown to be expanded with distal-in rotation of the molars.

C-activator를 이용한 성장기 II급 부정교합환자의 구치부 원심이동 치험례 (C-activator treatment for distalization of maxillary molars in Class II anterior deep bite malocclusion)

  • 김성훈;정규림;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69-277
    • /
    • 2004
  • 혼합 치열기의 교정치료 증례 중에서 경도의 총생을 가진 경우 상악 대구치를 원심 이동함으로서 양호한 치료의 결과를 얻는 경우가 많다 주로 악외 견인장치를 적용하여 원심이동을 시행하지만 환자의 협조도에 따라 구치의 원심이동이 결정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구강내 고정원 사용시 생길 수 있는 반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에 의해 개발된 C-space regainer는 후방이동 시키고자 하는 치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치아들을 완벽하게 묶음으로서 효과적인 후방이동을 가능케 하는 장치이다. 후속영구치의 맹출 공간 부족으로 매복 치에 의한 인접치의 치근손상이 예상되는 성장기 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악기능 교정장치에 t-space regainer의 개념을 적용한 변형된 C-space regainer, 즉 C-activator가 사용되어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이어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