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wangdui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6초

『백서주역(帛書周易)』 「요(要)」의 '부자노이호역(夫子老而好易)'장의 진위(眞僞) 문제 -공자와 『역』의 관계를 중심으로- (A problem of authenticity in the chapter 'Confucius became aged, and liked "The Book of Changes"' of yao 要, "essentials," seen throughout 『帛書周易』 the Mawangdui Boshu Zhouyi Manuscript. -in relation to Confucius and 『易』"The Changes"-)

  • 김상섭
    • 철학연구
    • /
    • 제129권
    • /
    • pp.1-22
    • /
    • 2014
  • "백서주역" "요"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부분은 통행본 "계사" 하편 10장과 5장의 다섯 단락, 둘째 부분은 공자와 제자 자공(子贛)(자공(子貢))과의 "주역"에 대한 중대한 대화, 셋째 부분은 공자의 '손익지도(損益之道)'에 대한 설명이다. 둘째 부분에서, 공자가 늘그막에 점책인 "역"을 좋아하자 제자 자공은 공자의 평소의 가르침을 미루어 볼 때 공자의 행위를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질문을 한다. 이에 공자는 "주역"을 복서(卜筮)로 사용하는데 안주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점글을 즐긴다고 대답한다. 자공이 그렇게 한다면 사람에게 그릇된 것이라고 말하자 공자는 또 한 편으로 "주역"이 미래를 아는 것을 즐긴다고 말하면서 자신은 백 번 주역점을 쳐 70번을 적중했다고 말한다. 그리고 마지막 단락에서 공자는 "역"의 점치는 면은 뒤로 하고 덕과 의를 살필 뿐임을 강조한다. 이 대화에서 의리와 상수를 함께 언급하는 공자의 역관이 펼쳐진다. 본 논문은 "요"의 둘째 부분 '부자노이호역(夫子老而好易)'장의 내용을 순서대로 인용하면서 공자와 자공의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의리와 상수 두 방면에서 공자의 주역관을 살펴보고 이것이 과연 공자의 본뜻인가를 논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부자노이호역(夫子老而好易)'장의 내용이 과연 공자의 역관을 기록한 것인가 하는 진위 문제의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고, 아울러 공자와 "역"의 관계도 명백하게 밝혀지게 될 것이다.

RhGLP-1 (7-36) protects diabetic rats against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via up-regulating expression of Nrf2/HO-1 and increasing the activities of SOD

  • Fang, Yi;Liu, Xiaofang;Zhao, Libo;Wei, Zhongna;Jiang, Daoli;Shao, Hua;Zang, Yannan;Xu, Jia;Wang, Qian;Liu, Yang;Peng, Ye;Yin, Xiaoxi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1권5호
    • /
    • pp.475-485
    • /
    • 2017
  •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neuroprotective effect and possible mechanisms of rhGLP-1 (7-36) against transient ischemia/reperfusion injuries induced by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in type 2 diabetic rats. First, diabetic rats were established by a combination of a high-fat diet and low-dose streptozotocin (STZ) (30 mg/kg, intraperitoneally). Second, they were subjected to MCAO for 2 h, then treated with rhGLP-1 (7-36) (10, 20, $40{\mu}g/kg$ i.p.) at the same time of reperfusion. In the following 3 days, they were injected with rhGLP-1 (7-36) at the same dose and route for three times each day. After 72 h, hypoglycemic effects were assessed by blood glucose changes, and neuroprotective effects were evaluated by neurological deficits, infarct volume and histomorphology. Mechanisms were investigated by detecting the distribution and expression of the nuclear factor erythroid-derived factor 2 related factor 2 (Nrf2) in ischemic brain tissue, the levels of phospho-PI3 kinase (PI3K)/PI3K ratio and heme-oxygenase-1 (HO-l), as well as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the contents of malondialdehyde (MDA). Our results showed that rhGLP-1 (7-36) significantly reduced blood glucose and infarction volume, alleviated neurological deficits, enhanced the density of surviving neurons and vascular proliferation. The nuclear positive cells ratio and expression of Nrf2, the levels of P-PI3K/PI3K ratio and HO-l increased, the activities of SOD increased and the contents of MDA decreased. The current results indic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rhGLP-1 (7-36) in diabetic rats following MCAO/R that may be concerned with reducing blood glucose, up-regulating expression of Nrf2/HO-1 and increasing the activities of SOD.

상박초간 『주역』 감괘(欽卦) 연구 (A Study on Gan hexagram 感卦 in the Shanghai Museum Zhou Yi manuscript)

  • 원용준
    • 한국철학논집
    • /
    • 제56호
    • /
    • pp.181-208
    • /
    • 2018
  • 이 논문은 상박초간 "주역" 감괘(欽卦)를 중심으로 중국고대 점복문화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점서였던 "주역"의 경문을 유가가 어떻게 유가 윤리로 만들어갔는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상박초간 "주역" 감괘는 현행본의 함괘(咸卦)에 해당하며 '감(感)'의 뜻으로, 괘 전체의 주제는 남녀 간의 육체적 사랑과 결혼이다. 청화간(淸華簡) "서법(筮法)" 등 고대의 점술에 남녀 간의 결혼을 점친 예는 상당히 많은데 이런 자료들도 감괘가 단순히 사랑과 결혼에 대한 점술이었다는 것을 증명한다. 상박초간 "주역"과 마왕퇴백서 "주역"의 감괘 효사 및 현행본 함괘 효사를 비교분석해보면 상박초간본 ${\rightarrow}$ 마왕퇴본 ${\rightarrow}$ 현행본으로 변해가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주역" 텍스트가 많은 변화를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한편 "순자" "대략(大略)"편, 현행본 "주역" "단전(彖傳)"은 함괘의 주제를 남녀 간의 사랑과 결혼에서 추상화하여 부부의 도, 나아가 음양 '이기(二氣)'의 철학으로 확대한다. 이러한 확대는 결국 자연철학 방면으로는 세계, 우주를 구성하는 '이기'의 감응에 의한 만물생성론을, 인간사회 방면으로는 성인의 감화를 통한 천하화평을 주장하는 데에까지 나아간다. "서괘전"도 함괘를 '부부의 도리'로 보고 이에 기초하여 부자, 군신, 상하, 예의로까지 확대시킨다. "서괘전"이 함괘를 서술할 때 '남녀'가 아닌 '하늘과 땅'으로 시작하고 있는 것은 "단전"의 논의를 바탕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주적 질서에서 시작하여 인간의 예의로 귀결을 맺는 것은 철저한 유가적 사유로, 따라서 "서괘전"이 만들어진 시점에서 "주역"의 유교경전화는 이미 완성되어 있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