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ure fruit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1초

흑색 방울토마토의 숙기 및 저장온도에 따른 상품성 유지기간 구명 (Determination of Shelf-life of Black Mini Tomato Based on Maturity and Storage Temperature)

  • 박미희;서정민;원희연;서종분;문두경;김우일;심상연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5호
    • /
    • pp.687-696
    • /
    • 2015
  • 흑색 방울토마토 '헤이-G'의 저장력을 구명하기 위해 숙도별(짙은 녹색단계의 미숙, 검붉은 단계의 적숙)로 수확하여 저장온도별(8, 12, $20^{\circ}C$)로 3주간 저장하면서 품질과 라이코펜 함량을 조사하였다. 흑색 방울토마토의 중량감소율은 미숙과와 적숙과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경도는 미숙과를 $20^{\circ}C$에서 5일 이후, $12^{\circ}C$에서 8일 이후, $8^{\circ}C$에서 19일 이후에 적숙과의 초기치(8.1 N) 이하로 낮아졌다. 적숙과의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저장초기 증가한 후 부패가 일어나기 전까지 각각의 저장온도에서 미숙과보다 높았다. 적정산도는 적숙과의 경우 저장기간과 저장온도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미숙과의 경우는 후숙이 진행되어도 적정산도가 거의 변화하지 않아 풍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Hunter a값은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특히 미숙과의 경우 급격히 변화하였으나, $8^{\circ}C$에 저장한 미숙과는 착색불량 및 장해로 인해 후숙되지 못했다. 완숙토마토와 달리 흑색 방울토마토의 Hunter b 값은 저장 12일까지 미숙과와 적숙과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라이코펜의 함량은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나며 저온에서 저장한 경우 라이코펜 합성이 저해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흑색 방울토마토의 저장기간을 적숙과로 설정할 경우 미숙과의 저장온도는 $12^{\circ}C$에서 15일, $20^{\circ}C$에서 12일간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흑색 방울 토마토를 적숙과로 수확할 경우 라이코펜 함량과 외관 품질을 고려하여 $12^{\circ}C$ 내외가 적절하며, $20^{\circ}C$ 저장은 약 5일 이내로 판단된다.

Variation of Plant and Fruit Characters in Core Collections of Pepper (Capsicum chinense Jacq.)

  • Hur, On-Sook;Ko, Ho-Cheol;Lee, Sukyeung;Choi, Yu-mi;Ro, Na-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8-68
    • /
    • 2018
  • A total of 47 core collections of pepper (Capsicum chinense Jacq.) conserved in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C) were studied under field condition at Jeonju. All accessions were characterized for their 14 qualitative and 16 quantitative characters. Results revealed that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racters exhibited wide variation among the studied germplasm. Distribution of fruit characters (fruit length, width, and fruit wall thickness) among the accessions was positively skewed. Of the 47 accessions evaluated, 38.3% accessions had conical shaped fruits and mature fruit color was predominantly red (51.1%), orange (21.3%) and yellow (14.9%).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revealed that (i) 56.64% of the qualitative (fruit shape, color and fruit surface) variation and (ii) 89.42% of the quantitative (plant width, height and fruit maturity days) variation were explained by the first two components. Clustering revealed two groups and dendrogram revealed morphological variation among accessions. The phenotypic diversity exists in this core collection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improve agronomic traits in pepper breeding program.

  • PDF

몇 가지 뽕품종에 따른 오디의 형태 및 화학적 성분의 특성 (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Morus) Fruit with Varietes)

  • 이희완;신동화;이완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7
    • /
    • 1998
  • The 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and fruits were observed in the three mulberry varieties, including Daeryugppong(Morus Lhou(Ser.) koidz), Kugsang 20(Morus Lhou(Ser.) koidz) and Cataneo(Morus alba L.). The leaf development in spring was earliest in Cataneo and latest in Kugsang. Content of total nitrogen and Mg in leaf was the highest in Cataneo while that of P2O5, K and Ca in Daeryukppong. Flowers started to bloom from May 8 and in full bloom around May 15. Mature fruits began to set from June 10 to 15 and lasted by July 10 in Cataneo. Average fruit weight was heaviest in Kugsang 20(3.52 g/fruit), while lowest in Daeryukppong(1.61 g/fruit). In fruits, glucose and fructose were the major sugars. Citr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organic acid in three varieties with its average content from 0.8 to 0.14%. The major pigment in fruit was anthocyanin and its content varied among varieties. The stability of anthocyanin was evaluated under various pH, temperature, and sugar concentrations. Rutin was the major flavonol glycoside present in fruits and its content varied from 0.92 to 3.36 mg/gDW. Other flavonol glycosides such as isoquercitrin and quercitrin were also detected in fruit.

  • PDF

포장필름의 두께가 청매실의 저장중 펙틴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Pectic Substances of Mature-Green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 as Influenced by the Thickness of Packaging Film during Storage)

  • 차환수;정명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21-628
    • /
    • 2002
  • 청 매실을 수확한 후 LDPE 필름 포장재에 넣어 상온에서 일정 기간 보관할 때 포장재의 두께가 청매실의 조직 연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0, 30, 40$\mu\textrm{m}$두께의 포장재에 청매실 500 g씩을 각각 넣고 8일간 보존하면서 경도의 변화 및 무기성분과 펙틴질 성분의 함량 변화를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무포장구의 경우와 비교하였고, 세포벽의 미세구조의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저장 중 매실의 연화와 관련된 경도와 펙 틴질의 감소 및 가용성펙틴 중 Ca 함량의 감소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LDPE 30 포장재에 저장된 시료가 8일 동안 무포장구나 다른 포장재에 저장된 시료에 비 해 각종 펙틴질 성분 및 무기 성분의 변화와 그에 따르는 경도 변화가 가장 적었고 가용성 펙틴의 분자량 분포도 초기 상태와 가장 유사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하여 관찰된 외 형적인 상태도 LDPE 30 포장재에 저장된 시료가 저장전의 상태를 가장 잘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떫은 감의 품종별 수확시기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Astringent Persimmons according to Cultivar and Harvest time)

  • 이진만;허상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48-757
    • /
    • 2015
  • 품종별 수확시기에 따른 떫은 감의 품질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이용한 곶감제조를 통해 고품질의 곶감 생산을 위한 곶감의 식품학적 특성을 분석 하였다. 고품질의 곶감 생산을 위해서는 품종별 떫은 감의 적절한 선택과 적정숙도를 갖춘 과육을 선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미숙과의 경우 수분함량, 색도값이 적숙과 및 완숙과에 비해 낮은 값을 보인 반면 경도는 높게 나타났다. 고품질의 곶감의 생산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적황색 혹은 녹황색인 적숙과 이상의 떫은 감을 사용해야 한다.

수직 다관절 사과수확로봇의 매니퓰레이터 개발 (I) -설계.제작- (Development of Manipulator for Vertically Moving Multi-Joint Apple Harvesting Robot(I) -Design.Manusacturing-)

  • 장익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5권5호
    • /
    • pp.399-408
    • /
    • 2000
  • This study is final focused on developing fruit harvesting robot can distinguish fruit type and status accurately. Multi-joint robot is able to discriminate tree shape and select mature fruit by image processing. The multi-joint robot consists of (a) rotating base, (b)turning first joint-arm, (c)rotating and turning second joint-arm, (d)rotating and turning third joint-arm, (e)rotating and turning last joint and (f)picker hand. The operational ranges of the robot are: horizontal 860~2,220mm, vertical 1,440~2,260mm, 270 degrees’rotation angle, 90 or 270 degrees’turning angle. The robot weighs 330kg. The multi-joint robot was designed in high accuracy and efficiency by getting as close as the movements of human arms and waist.

  • PDF

국내 육성 품종 '청향' 포도의 숙도별 양조 적성 연구 (Study on Wine Quality of Domestic Grape Cultivar 'Cheonghyang' classified by Ripening Stage)

  • 이효영;전진아;박영식;이재형;권혜정;정석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45-449
    • /
    • 2016
  • In this study, Red pearl (4x) and MBA (2x) were crossed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2000 to compare the brewing characteristics of Cheonghyang, a seedless kind of grape registered in 2009, by maturity. Fruit characteristics of Cheonghyang were examined after the first racking and 300 days after fermentation during aging in manufacturing wine based on maturity categories of being immature, mature, and overmature after harvest between August 25 and 27, 2014. The soluble solid matter content did not differ between the first racking following manufacturing wine and during ripening, and the alcohol content following the first racking was 12.9% for immature ones, 13.0% for mature ones, and 12.7% for overmature ones., The alcohol content decreased by appropriately 1.3% to 1.8% during ripening. The total acidity content was 0.9% for immature ones, 0.8% for mature ones, and 0.5% for overmature ones following the first racking and showed insignificant variations during ripening of 0.8%, 0.7%, and 0.5%, respectively, with wine made from mature ones showing proper acidity. The volatile acid content following the first racking during ripening, showing insignificant variation by maturity; however, it decreased after ripening. The sensory evaluation detected differences in acidity of wine between mature and overmature grap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sour taste between immature and mature grapes; however, overmature ones had low levels of sour taste. Our results showed that mature wine had the best overall preference.

성숙 중 대추의 세포벽 조직 변화 (Changes of the Cell Wall Structures during Maturation of Jujube Fruits)

  • 신승렬;손미애;김주남;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42-345
    • /
    • 1998
  • 세포들은 변색기까지는 아주 조밀하게 결합하고 있었으나 완숙기에서는 세포벽 중층이 다소 분해되어 둥근 형태의 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세포벽 변화는 녹숙기에서는 중층을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세포벽이 발달되지 않았으며 변색기에서는 중층을 관찰할 수 있었고 완숙기에서는 분해되어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세포의 조직은 녹숙기에서는 mitochondria, endoplasmic reticulum 둥의 조직과 소액포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변색기 이후에는 액포가 발달하면서 cytoplasm과 organelle이 세포벽에 흡착되었다. 세포간극은 녹숙기에서는 형성되지 않았고 변색기에서는 세포간극과 간극 주위에 세포벽 분해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완숙기에는 중층의 분리와 분해산물이 간극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생육시기별 피자두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및 Quinone Reductase 유도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um Fruits Extracts at Different Growth Stages on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nd Growth Inhibition on Cancer Cells)

  • 김현정;유미희;이승욱;박정현;박동철;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45-1450
    • /
    • 2004
  • 피자두를 6월 말경에 처음으로 수확하여 5일 간격으로 9차례 채취한 다음, 피자두의 최종 수확 15~40일 전까지의 피자두 1~4의 경우는 미숙과로, 피자두 5, 6은 중간숙과, 최종 수확 0~10일전까지의 피자두 7~9의 경우는 완숙과로 구분하였다. 이들 시료는 각각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6종의 인간유래 암 세포주에 대한 성장 억제 효능을 조사하였다. 피자두 추출물 1~2 ㎎/mL 농도 처리시 피자두 미숙과 1, 2에서 위암세포주인 AGS와 자궁경부암세포인 Hela, 간암세포인 HepG2, 유방암 세포주인 MDA, 혈액암인 U937 세포에 대해서 63~95%정도의 높은 저해율을 보였다. 그리고 시료 농도 4 ㎎/mL 처리시 세포주별 관계없이 피자두 미숙과 및 중간숙과에서 70% 정도의 저해능을 보였다. 특히 피자두 미숙과인 1~4 추출물은 AGS, HepG2, MDA 세포주에 대해서 90% 이상의 가장 높은 저해를 보였다. 한편 수확 시기별에 따른 피자두 추출물의 Hepa1c1c7 세포에 대한 QR 유도능의 측정시 피자두 메탄올 추출물을 세포 독성이 없는 0.2 ㎎/mL 이하 농도로 처리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1.0 이상의 QR 유도능을 보여 수확시기별에 따른 QR 유도능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또한 시료농도가 증가할수록 미숙과에 비해 완숙과에서 더 큰 QR 유도능을 보였다.

Evaluation of Tinda Gourd (Praecitrullus fistulosu) Germplasm's Yield

  • RAHEEL, Asfand;KHAN, Nasir Ahmad;BABAR, Raheel;ULLAH, Muhammad Arshad;ZAFFAR, Ali;IQBAL, Maouz;ASHRAF, Usman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5권3호
    • /
    • pp.1-5
    • /
    • 2019
  • The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in vegetable area, Institute of Horticultural Sciences in University of Agriculture, Faisalabad in order to recognize morphological and fruit growth pattern and yield of Tinda (Praecitrullus fistulosus) gourd germplasm lines. Sixteen germplasm lines in which one line is used as check are included were sown and grown on flat beds in field. The field experiment was arranged as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RCBD) with three replications. Data on days to maturity, fruit per vine, fruit weight in grams, fruit diameter and total yield obtained were recorded. The fruit texture is marked as phenotype parameter. All parameters were collected and then analyzed statistically. All lines and replications showed different results among each other according to parameter. The maximum DTM (days to maturity), F/P (fruit per plant), FW (fruit weight), FD (fruit diameter) and Yield were recorded was $L_0$ (68.66), $L_3$ (1.66), $L_{10}$ (248.33), $L_{13}$ (8.50) and $L_0$ (599.33) and the minimum were recorded was $L_1$ (56), $L_{11}$ (0.33), $L_0$ (198), $L_9$ (7) and $L_4$ (421) grams respectively. All lines showed smooth texture of fruits with no hairs when mature at harvesting s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