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ure fruit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8초

복숭아 품종별 성숙정도에 따른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간의 상관관계 (In vitro correlation and analysis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by fruit ripening of peach cultivars)

  • 정경미;김산영;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38-64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의 품종인 미황, 가납암백도 및 천홍을 성숙정도에 따라 미숙과와 성숙과로 분류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간의 상관관계 등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염증 및 산화스트레스와 관련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를 발굴하고자 수행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3품종 모두 성숙과에 비해 미숙과에서 함량이 많았고, 미숙과 중에서는 천홍이, 성숙과 중에서는 미황이 유의성 있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미숙과 천홍에서 가장 높았고, 성숙과에서는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 의해서는 미황이 유의성 있게 높았으나 FRAP과 CUPRAC 측정에서는 3품종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RAW 264.7 세포에서는 미황 미숙과 추출물이 약 30%의 NO 생성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고, 가납암백도 미숙과는 약 29%, 천홍 미숙과는 약 20%의 저해활성을 보이지만, 복숭아 성숙과 3품종에서는 NO 생성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3품종 모두 성숙과에 비해 미숙과에서 저해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따른 항산화 활성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고도의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항염증 활성과 항산화 활성, 항염증 활성과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피자두(Prunus salicina Lindl. cv. Soldam) 미숙과의 apoptosis 유도 효과 (Induction of Apoptosis by Immature Prunus salicina Lindl. cv. Soldam)

  • 유미희;임효권;황보미향;이지원;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21-22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생육시기별로 피자두를 수확한 후 피자두의 아세톤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간 유래 간암, 위암, 자궁암, 백혈암 및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효과를 조사하였고, 특히 유방암 세포주인 MDA-MB-231 세포주를 사용하여 피자두의 유방암 세포의 세포주기에 미치는 영향과 세포사 관련 조절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피자두의 유방암 억제 기전을 살펴보았다. 인간유래의 암세포주를 이용하여 피자두 추출물의 성장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모든 암세포주에 대해 성장 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피자두 1-4의 미숙과 추출물에서 높은 성장 저해 효과를 보였다. 특히 호르몬 비의존성 유방암세포인 MDA-MB-231에 대한 피자두 추출물의 성장 저해 효과는 4mg/mL의 농도의 모든 추출물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피자두 1의 추출물에서는 97%의 높은 성장 저해 효과를 보였다. MDA-MB-231 세포주에 피자두 미숙과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apoptosis를 유도하는 유전자인 Bcl-2 family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지며, 순차적으로 capase-3 활성이 촉진되고, 이것에 의해 apoptosis가 유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이들 활성성분들의 규명과 인체실험과 더불어 피자두 미숙과에 대한 독성평가가 병행된다면 항암과 관련된 기능성 식품과 치료제 등의 개발에 있어 천연소재로서 피자두 미숙과의 유용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토마토 과실에서 Superoxide Dismutase를 고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 (Transgenic Tomato Plants That Overexpress Superoxide Dismutase in Fruits)

  • 박은정;이행순;권석윤;최관삼;곽상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7-13
    • /
    • 2002
  • Superoxide dismutase (SOD)를 과실에서 고발현시킨 형질전환 토마토 (서광과 꼬꼬)를 개발하였다. 카사바 배양세포에서 분리한 CuZnSOD (mSOD1)를 과실에 우세적으로 발현하는 ascorbate oxidase promoter (ASOp)를 이용하여 ASOp :: mSOD1/pBI101 벡터를 제작한 후 Agrobacterium 매개로 자엽 절편체를 형질전환하였다. Kanamycin 저항성 식물체를 기관발생 경로로 재분화시킨 후 Southern 분석으로 형질전환을 확인하였다. 서광과 꼬꼬 토마토의 형질전환체와 대조구 식물체의 과실을 성숙 단계별로 분류하여 단백질 함량과 SOD 비활성도 (units/mg protein)를 측정한 결과, 단백질 함량은 열매가 익은 단계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여 완전히 익은 단계에서 가장 낮았다. SOD 비활성도는 형질전환 토마토의 열매의 모든 단계에서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완전히 성숙한 과실에서 가장 높았다. 성숙한 형질전환 서광과 꼬꼬 과실에서 SOD 비활성도는 비형질전환의 것보다 각각 약 1.6배와 약 2.2배 높았다. SOD isoenzyme gel 분석에서 도입한 mSOD1로 추정되는 CuZnSOD 밴드가 형질전환체에서 과실 성숙에 따라 강하게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ASO promoter에 의해 SOD 유전자가 토마토 과실에 특이적으로 발현됨이 확인되었다.

한국산 간버섯의 인공재배 및 항산화 활성 평가 (Artificial Cultiv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ive Mushroom Pycnoporus coccineus)

  • 이용국;김민경;윤봉식;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35-47
    • /
    • 2019
  • 간버섯 균주의 균사 생장은 PDA와 YMA에서 균사의 밀도와 생장량이 양호하였으나, MEA에서는 균사 생장량과 속도가 저조하였다. 배양 기간 중 광(光)조사는 균사체의 색소 형성과 균사체 밀도에 영향을 주었다. 간버섯은 병 재배와 봉지 재배 모두에서 자실체를 발생시킬 수 있었고 종균 배양과 재배를 위한 가장 적합한 배지 원료는 참나무톱밥으로 밝혀졌다. 톱밥배지를 사용한 인공재배에서 자실체의 발생은 15일째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로 자실체 원기가 생장하였으며 상대습도가 낮은 처리구에서 5일 정도 빠르게 형성되었다. 버섯 발생 40~45일째에는 성숙한자실체를 수확할 수 있었고, 생육실의 상대습도가 낮은 편이 버섯 발생과 생육에 유리하였다. 인공재배에서 수확한 자실체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한 결과, 간버섯의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병 재배 자실체 추출물과 야생 간버섯 자실체 methanol 추출물이 각각 505㎍/㎖, 515㎍/㎖의 농도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봉지 재배에서 수확한 자실체는 910㎍/㎖로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 결과 모든 추출물이 활성 2,000㎍/㎖ 농도 이상의 IC50값으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간버섯의 ethyl acetate 추출물의 경우 간버섯 병 재배 자실체 추출물이 IC50값 154.5㎍/㎖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버섯 methanol 추출물은 동일 농도(10mg/㎖)에서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야생 간버섯 자실체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Ethylene-Producing Tablets on the Quality and Storability of Banana (Musa sp.)

  • Belew, Derbew;Park, Do Su;Tilahun, Shimeles;Jeong, Cheon Soo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5호
    • /
    • pp.746-754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ethylene producing tablet (patent no.10-1574011) and treatment period on quality and storability of banana (AAA - Cavendish group) fruit imported into Korea from the Philippines. Three and five days of treatment periods, and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thylene tablet (50 ppmv, 100 ppmv) and control (standard ethylene gas treatment at a concentration of 100 ppmv) were used for the study. Slightly higher respiration rate was observed in banana fruits treated with 50 ppmv in both 3 and 5 days after treatments as compared to the control. Better storability was observed with banana fruits treated with 50 ppmv and 100 ppmv as compared to the control. All the treatments were shown a decrease in firmness as the storage days proceeded. The highest firmness was recorded from 50 ppmv on the initial day of storage while the lowest was recorded from 100 ppmv on 9 day storage. It was observed that banana fruits could be stored for up to 12 days without losing their color quality in all treatments except for the control. However, the quality of fruits at the control rapidly decreased (lost marketability) after 9 days of storage. Banana fruits treated with ethylene tablet with 100 ppmv for 5 days recorded the highest soluble solids content (SSC) at the beginning of storage period which was similar with the control. However, banana fruits treated with ethylene tablet with 100 ppmv for 3 days showed better storability than the control. On the other hand, ethylene tablet with 50 ppmv for 5 days of treatment has extended banana shelf life without affecting peel color, firmness and SSC content. H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anana fruits treated with ethylene tablet with 100 ppmv for 3 days or /and 50 ppmv for 5 days are an optimum for ripening of banana to be used for market and ultimate consumption.

감과 대추의 연화중 Polygalacturonase의 변화 (Changes in Polygalacturonase during Softening of Persimmon and Jujube Fruits)

  • 서지형;신승렬;정용진;김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0-185
    • /
    • 1997
  • 과실의 연화중에 단백질과 polygalacturonase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고자 감과 대추에서 용해성 에 따라 추출한수용성 단백질, 염가용성 단백질 및 세포벽 단백질중의 polygalacturonase 활성 변화와 polygalacturonase pattern 변화를 조사하였다. 감과 대추의 연화 동안에 polygalacturonase 활성은 수용성 단백질과 염가용성 단백질분획에서는 증가하였고, 세포벽 단백질분획에서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완숙감의 수용성 단백질과 염가용성 단백질을 gel filtration한 경우 polygalacturonase는 두 단백질 모두 fraction No. $30{\sim}40$, $40{\sim}50$ 사이 2개의 활성 peak를 나타내었고, 연시의 경우에도fraction No. $35{\sim}50$ 사이 1개의 peak로 근 변화가 없었다. 또한 대추의 수용성 단백질과 염가용성 단백질을 gel filtration한 경우 완숙대추, 연화대추 모두 유사한 1개의 활성 Peak를 나타내었다. 한편 감과 대추의 세포벽 단백질을 gel filtration한 경우 연화에 따른 활성 peak는 수용성 단백질과 염가용성 단백질의 활성 peak와 거의 동일한 fraction에서 존재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서 감과 대추의 연화동안에 나타나는 polygalacturonase의 활성 증가는 과실의 성숙·연화에 따른 새로운 효소 단백질의 합성 및 두 과실의 세포벽에 결합된 비활성 형의 Polygalacturonase가 세포벽 단백질의 유리에 따라 활성 형으로 전환됨 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카드뮴으로 유발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진피의 간세포 보호 및 항산화 효과 (Hepatocyte protection and antioxidant effect of Citri Unshius Pericarpium against cadmium-induced oxidative stress)

  • 노규표;변성희;정대화;이종록;박숙자;김상찬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27-337
    • /
    • 2020
  • Objective : Citri Unshius Pericarpium is the dried peel of mature fruit of Citrus unshiu Markovich and has been used to treat indigestion, vomiting, and removal of phleg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nt effect of CEE (Ethanol extract of Citri Unshius Pericarpium) in cadmium (CdCl2)-treated HepG2 cells. Methods : Component analysis of Citri Unshius Pericarpium was analyzed by UPLC with C18 column.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MTT assay. The enzym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the level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reduced glutathione (GSH) were analyzed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kits. Results : Cadmium caused severe HepG2 cell death. Cadmium also increased ROS production, consistent with depletion of GSH and inhibition of the SOD enzyme. However, CEE treatment reduced cell death and relieved oxidative stress caused by cadmium toxicity. CEE lowered ROS levels and improved depletion of GSH levels. CEE also enhanced the enzymatic activity of SOD. In component analysis, hesperidin was the most abundant of the five marker compounds (Narigenin, Narigin, Narirutin, Hesperidin and Hesperidin), which assumes that hesperidin partially contributed to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EE.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EE could be a potential substance to solve heavy metal-related health problems. In particular, inhibition of oxidative stress by CEE can be a way to treat liver damage caused by cadmium.

Comparing the composting characteristics of food waste supplemented with various bulking agents

  • Lee, Jae-Han;Yeom, Kyung-Rai;Yang, Jun-Woo;Choi, You-Jin;Hwang, Hyun-Chul;Jeon, Young-Ji;Lee, Chang-Hoon;Choi, Bong-Su;Oh, Taek-Keun;Park, Seong-Jin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897-905
    • /
    • 2019
  • To compare the composting characteristics of food waste supplemented with various bulking agents, aerated composting was performed by mixing sawdust, ginkgo leaves, insect feces, and mushroom waste at ratios of 6 : 4 (w/w). The initial temperatures (day after treatment [DAT] 3) of the sawdust, ginkgo leaves, insect feces and the mushroom waste mixtures were 39, 58, 65, and 51℃, respectively. The DAT 3 temperature was the highest in the food waste-insect feces mixture (65℃) and the lowest in the sawdust one (39℃). However, the insect feces treatment was terminated at DAT 21 because of a high water content (70.92%). The water content (DAT 56) of the composted food waste supplemented with sawdust, mushroom waste, and ginkgo leaves stood at 51.28, 39.81, and 44.92%, respectively. Therefore, the fully mature composts satisfied the water content requirement of less than 55% as recommended in the fertilizer standards of the RDA of Korea. The results of the CoMMe-101, Solvita and seed germination index methods indicate that the mushroom waste and ginkgo leaves treatments matured relatively quicker than that of the sawdust one. Based on the above observations, it is concluded that the mushroom waste and ginkgo leaves are more effective bulking agents compared to sawdust and as such, are recommended as suitable replacements for sawdust in food waste composting.

Varietal characteristics of new white button mushroom 'Seolwon' in Agaricus bisporus

  • Lee, Byung-Joo;Lee, Mi-Ae;Kim, Yong-Gyun;Lee, Kwang-Won;Lee, Byung-Eui;Song, Ho-Yeon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2-87
    • /
    • 2014
  • Commonly known as the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is one of the most widely cultivated mushroom species of edible fungi. In the breeding of new button mushroom, Seolwon was developed by crossing two homokaryons. Because of the predominantly pseudohomothallic life cycle, only a small percentage of homokaryotic meiospores are produced, which do not fruit. Homokaryotic cultures derived from these types of single spores produce a vegetative mycelium that contain a variable number of genetically identical nuclei per cell. After crossing two homokaryons, hybrids were cultivated on a small scale and on a commercial scale at a farm. The spawn was made by a commercial spawn producer and the spawned compost by a commercial compost producer. Mycelial growth of Seolwon on CDA was better at $25^{\circ}C$ when it was compared with that of Seolgang. The mature cap shape of new strain Seolwon is oblate spheroid and the immature cap shape is round to oblate spheroid. The cap diameter was 39.7 mm on average. In comparison with white strain Seolgang, the strain had a yield that was 11% higher. It produced fruiting bodies which had a higher weight on average per fruiting body and were 9.7% firmer with a good shelf life. Days of fruiting body were 1-2 days later than those of Seolga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pringiness, chewiness, adhesiveness, gumminess were better than that of Seolgang.

한국 야생잡초 참외의 재배적 특성 (Cultivation Characteristics of Wild Weedy Melons Collected in Korea)

  • 이우승;서동환;이하윤;후지시다 노리유기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4호
    • /
    • pp.467-472
    • /
    • 2013
  • 국내 전역에서 수집된 야생 참외 계통 중 1986년에 20계통, 1990년에 16계통에 대해 재배시험결과는 계통간에 초장에 변이가 있었고 잎은 작은 편이었다. 성표현형은 양성웅화동주형 30계통, 자웅동주형 4계통, 양성화주형이 2계통이었다. 주지에서 암꽃착생은 양성화주형을 제외하고는 극히 드물었다. 양성웅화동주형과 자웅동주형은 측지의 제 1, 2절에는 암꽃착생이 현저하였다. 유과에는 모두 고미질이 확인되었다. 숙과의 색은 진황, 황, 연황, 황녹, 유백색이였으며 과중은 매우 작았고 숙과의 감미는 매우 낮았다. 일과당 종자수는 50.6-158.4개로 야생종 및 종족유지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