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ing duration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 of Mating Duration and Multiple Use of Male Moth on Reproductive Performance of Some Cross Breeds of Silkworm, Bombyx mori L.

  • Sarkar, Kunal;Mandal, Manmatha;Moorthy, Shanmugam Manthir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9권2호
    • /
    • pp.215-219
    • /
    • 2009
  • The effect of mating duration and multiple use of male on fecundity and fertility was investigated in the hybrids of Silkworm, Bombyx mori L. One hour to five hours of mating duration did not affect egg laying (fecundity) significantly, while fertilization affected significantly. Below 50% fertility was noticed when mating duration was reduced to below two hours. Similarly multiple use of male caused significant reduction in fertility but not fecundity. Till fourth mating no significant reduction in fertility was observed, thereafter fertility reduced considerably.

Effect of Mating Delay and Mating Duration on Reproductive Performance of Antheraea mylitta

  • Rath, S. S.;Narain, Raj;Singh, M. K.;Suryanarayana, 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4권2호
    • /
    • pp.113-119
    • /
    • 2007
  • Tropical tasar silkmoth Antheraea mylilta D.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insect. The wild nature and above all unsynchronized emergence of moths lead to impairment in reproductive activity. The mating in moths is low (64%-70%), leaving about 30-36% of potential females unused for seed (= egg) production. Delay in mating adversely affects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such as mating behaviour, fecundity and fertility. Females are more severely affected by mating delay than males. Therefore, a study was under taken to develop a method to overcome the problem so that the production of layings can be increased to meet the ever increasing demand. It was revealed from the study that out of 16 possible age combinations (from the age groups of day 0 to day 3), female and male of day 0 (4-8 hours old) excel in their reproductive performance than others (with 94.4% mating success, 284 fecundity and 91.5% hatching). Reproductive performance declined significantly even if one of the parents was older. When either of the mating pair was 1 day old, the mating declined by 28%; fecundity by 32.8%; and hatching by 40.8%. The insemination of eupyrene sperm was declined by 35.2% when both the parents are 1 day old. Mating duration of 8 hours resulted in insemination of $8.3{\times}10^5$ eupyrene sperms, which was declined by 31.6%, 48% and 55% upon lowering of mating duration to 6 hr, 4 hr and 2 hr were maintained respectively.

Mating Behaviour in Mulberry Silkworm, Bombyx mori (L.)

  • Saheb N. M. Biram;Singh Tribhuwan;Kalappa H. K.;Saratchandra B.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0권2호
    • /
    • pp.87-94
    • /
    • 2005
  • Mating is an essential behavioural social event in the life cycle of silkworm, Bombyx mori (L.) for the perpetuation of population. A number of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and events of significant importance are involved in successful mating and egg deposition by an adult silk moth which besides biochemical,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lso includes attraction of reproductively competent male and female moth for mating, duration and frequency of mating, age of moth at the time of mating, reuse of male moth in the production of eggs etc. An attempt has been made in this review article to elucidate briefly the behaviour of male towards female moth after eclosion, impact of duration and frequency of mating on egg deposition and oviposition, reuse of mated male moth in the production of quality and quantity eggs etc. in the silk-worm, B. mori and its significance in silkworm seed production.

실외 번식시설에서 여우의 번식 행동 (Breeding Behavior of Red Fox (Vulpes vulpes) in an Outdoor Breeding Facility)

  • 송동주;송병철;권준혁;신평강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7-54
    • /
    • 2018
  • 발정기, 교배 기간 및 발정기를 포함하는 교미 중 붉은 여우 (Vulpes vulpes)의 행동을 실외 번식시설에서 환경 요인과 함께 조사하였다. 여우의 평균 교배 지속시간은 19.95분(n = 13, 범위 = 1.17-35.25분)이었다. 번식기는 1년 미만 여우의 경우, 3월 중순(60.0%)이었고, 1년 이상 여우는 2월 초순(56.6%)으로 나타났다. 교미 지속시간은 암 수컷 모두가 1세 이상 일 때 가장 길었고($24.4{\pm}11.08$분), 교배는 나이와는 관계없이 이루어졌다. 여우는 발정기를 시작한 후 2일 이내에 두 번 교배하고 두 마리의 수컷과 교배한 암컷의 임신율이 100%였다. 또한, 짝짓기 개체 간 연령이 1년 이상 된 경우 임신율이 87%로 가장 높았다. 여우는 야간보다는 주간 교미를 선호했고 대체로 맑은 날과 부분적으로 흐린 날의 10시부터 12시 사이에 교미를 했다. 수컷 여우는 다른 암컷과 최대 5번 교미했으며, 수컷의 교미 빈도가 높아질수록 교미 지속시간이 늘어났다. 교미에 대한 관심은 수컷은 3회, 암컷은 2회 교미 후 줄어들었다. 수컷은 첫 번째와 두 번째의 교미 사이에 최소 4시간 46분의 휴식이 필요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여우의 복원에 있어 개체 확보를 위한 번식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기본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Plasticity of Mating Calls in Hyla Japonica (Amphibia: Hylidae)

  • Kyu-Bom Park;Jae Chun Cho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4호
    • /
    • pp.463-469
    • /
    • 1998
  • Hyla japonica males were observed to produce two distinctively different types of mating calls: advertisement call to attract conspecific females and encounter call to keep off potential competitor males. Whereas advertisement calls were organized in bouts of calls or notes, encounter calls were usually produced as separate calls. Encounter calls were much longer and had more pulses per call than advertisement calls. However dominant frequencies or pitches of the two call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Hyla Japonica males exhibited considerable plasticity in their calling behavior. They altere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roperties of their calls in response to other calling males. Sometimes, they even switched from producing advertisement calls to encounter calls. Advertisement calls produced by chorusing males were shorter in duration and thus move calls per bout than those produced by lone males. Males also produced much lower-pitched calls when calling together with other males. Considering that low pitch calls are often Highly correlated with body size, it is possible that H. japonica males may try to generate deceptive calls to indicate the size greater than the actual.

  • PDF

Impact of Egg Laying Duration on the Occurrence of Fertilized and Unfertilized Eggs of the Newly Evolved Race of Bombyx mori, L.

  • Mathur, Vinod B.;Sarkar, Kunal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6권1호
    • /
    • pp.1-5
    • /
    • 2008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aim to evaluate the viability of layings (delivery of fertilized and unfertilized eggs) with egg laying duration of elite bivoltine races. The temporal aspect of mating in terms of egg layings duration may also have impact on the number of eggs laid, pattern of egg laying and their viability. After different interval of egg laying duration, moth of Bombyx mori are removed from oviposition site after they have completed egg laying. Present investigation confirme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 to the occurrence of viable (fertilized) and non viable (unfertilized) eggs and duration of oviposition. Percentage of unfertilized eggs varied from 2.41 to 3.42% in case of CSR-3, 2.59 to 3.62% in case of CSR-6, 2.82 to 3.66% in case of CSR-16 and 2.58 to 3.40% in case of CSR-17 in different treatments. The occurrence of unfertilized eggs are also not significant in the different treatments specially in those eggs which were laid 24 hours after oviposition and kept for 4 months hibernation schedule.

생물음향탐지기법을 활용한 한국 참깽깽매미 서식 및 번식울음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Habitat and Mating Calls in Korean Auritibicen intermedius (Hemiptera: Cicadidae) Using Bioacoustic Detection Technique)

  • 김윤재;기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92-60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음향탐지기법을 적용해 국내에서 국지적인 위치에 서식하는 참깽깽매미의 번식울음을 분석하여 서식지 분포를 확인하고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전국 보호지역 20개소를 선정하였다. 번식울음 분석기간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4년(2020년 제외)이었다. 번식울음 녹음은 각 연구대상지에 생물음향 녹음장비를 설치하여 시간당 1분씩 365일 수집하였다. 기후 데이터는 온도, 습도, 강수량, 전운량, 일조량 등 기상청에서 데이터를 제공받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깽깽매미 서식처는 연구대상지 20개소 중 강원도 고지대 4개 국립공원(설악산, 오대산, 치악산, 태백산)에서만 확인되었다. 4년간 참깽깽매미 번식울음 시기는 8월 5일에서 9월 28일 사이였고, 번식울음 기간은 31~52일이었다. 참깽깽매미 출현시기 내 온도 분석 결과, 참깽깽매미는 최저 13.1℃, 최고 35.3℃ 사이의 온도에서 주로 번식울음을 내었고, 번식울음 일주기 시간대(09~16시)의 평균기온은 24.4~24.9℃로 나타났다. 참깽깽매미가 출현한 연구대상지 4개소의 2019년 번식울음 일주기를 분석한 결과, 참깽깽매미는 06~16시까지 번식울음을 내었고 11~12시경 피크를 보였다. 참깽깽매미의 출현기간 내 참매미, 애매미, 유지매미, 늦털매미 4종이 공통 출현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참깽깽매미의 번식울음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요인은 일조량으로 나타났다. 종간영향에 있어서 다른 공통출현종 4종(참매미, 애매미, 유지매미, 늦털매미)과 종간영향을 주고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였을 때, 참깽깽매미는 우리나라에서 강원도 고지대를 중심으로 한정적으로 서식하며 다른 종과 비교하여 낮은 온도에서 번식울음을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향후 참깽깽매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담배나방의 우화, 교미 및 산란의 행동과 일일리듬 (Behavior and Circadian Rhythm of Emergence, Copulation and Oviposition in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othis assulta Guenee)

  • 조점래;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3-110
    • /
    • 1988
  • 사육실조건($25pm$$1^{\circ}C$, 광주기 16L:8D, 상대습도 60%)에서 조사된 담배나방(Heliothis assclta Gueness)의 우화, 교미 및 산란의 행동과 일일리듬은 다음과 같다. 불꺼진 후 3시나 이내에 75% 이상이 우화하였으며, 우화된 날개확장과 경화까지는 약 33분이 소요되었다. 성충 수컷은 교미때까지 촉각 운동, 날개 진동, hairpencils확장 , 암컷 산란관 두드림등 일련의 행동을 보였으나, 암컷은 복부끝의 수죽과 이완, 날개 진동 등의 다소 단순한 행동을 보였다. 모든 교미는 암기간 전반기에 주로 일어났으며, 불꺼진 2시간 전후에서 최대 피크를 보였으나, 처녀 암컷의 경우 연령증가에 따라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교미율은 24시간된 미교미암컷에 가장 높았으며, 연령증가에 따라 감소되는데 같은 경향이 미교미수컷에서도 나타났다. 교미지속기단은 평균 $77\pm$14분이었다. 산란 역시 암기간 전체를 통하여 일어났지만, 불꺼진 후 2시간 이내에 최적 피크를 보였으며, 산란수는 교미후 3일에서 가장 많았다. 교미율, 산란수, 수명은 성비에 따라 달랐으며, 교미한 성충의 수명이 교미하지 않은 것보다 더 짧았다.

  • PDF

금개구리(Rana plancyi)의 소리 유형과 수온에 따른 소리변화 (The Call Patterns and the Change of Calls by Water Temperature in Rana plancyi (Amphibia, Anura))

  • 박시룡;이병근;양서영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3호
    • /
    • pp.269-276
    • /
    • 1998
  • The study of the Rana plancyi, was done during the calling period at a pond in Osong, Chungbuk, Korea from May to the middle of August of 1996 and 1997. Five basic types of call-A, B, C, D, E, - were identified in Rana plancyi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all types. The structure of A type call has only one pulse, B type call has two pulses and C, D type call has one separated pulse which is called introductory call and pulse group as follow it. On the other hand, E type call has 3-6 separate pulses. The interval between introductory call and pulse group is $0.73{\pm}0.29$ s(n=159) in C type call and $0.60{\pm}0.21$ s (n=48) in D type call. The number of pulses in the pulse group is $30.08{\pm}8.69$ in C type call and $15.78{\pm}2.40$ in D type call. An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induces a decrease in C and D type call duration (C type call r= -0.4153, p<0.001, D type call r=-0.7064, p<0.001). In case of C and D type call, the interval between introductory call and pulse group influenced more call duration than pulse group duration. We regarded A, B type call as a territorial call and C, D type call as a mating call and we recognized that E type call has the function of threat or alarm.

  • PDF

비글개에서 발정 주기 및 교배 적기 동안 질세포상과 번식 호르몬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Vaginal Cytology and Reproductive Hormone during the Estrous Cycle and Optimal Mating Time in Beagle Dogs)

  • 이기창;강현구;천현미;김일화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9-119
    • /
    • 2006
  • 비글개 6두에서 11회(임신견 7두, 비 임신견 4두)의 발정 주기 및 임신 기간 동안 질 상피 세포 검사 및 혈장 progesterone과 estradiol-$17{\beta}$ 농도를 측정하여 질 상피 세포상과 번식 호르몬의 관계를 조사하고 배란 및 교배 적기 판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임신 예와 비 임신 예에 있어서 발정 전기, 발정기 및 발정 휴지기의 기간은 각각 $8.5{\pm}1.4(Mean{\pm}SD),\;10.0{\pm}1.4$$54.0{\pm}2.8$ 그리고 $7.9{\pm}2.1,\;9.5{\pm}0.7$$62.0{\pm}11.3$일이었다. 임선 예에 비해 비 임신견의 발정 휴지기가 길었으며, 발정 주기 사이의 간격은 임선 예가 $246.2{\pm}24.5$일, 비 임신 예은 $175.3{\pm}34.5$일을 나타내어 임신이 되었던 예가 임신이 되지 않았던 예보다 길었다. 발정 주기별 질 상피 세포상의 변화를 보면 발정 전기와 발정기에는 superficial cell, anuclear cell 및 적혈구가, 발정 휴지기에는 parabasal cell, small intermediate cell, large intermediate cell 및 백혈구가, 그리고 무발정기에는 parabasal cell과 small intermediate cell이 주종을 이루었다. Cornification index(CI)는 발정 주기와 발정기에 유의하게 높았다. 발정 주기 중 혈장 progesterone과 estradiol-$17{\beta}$의 농도 사이의 관계를 혈장 progesterone 농도가 최초로 4.0 ng/ml 이상으로 상승한 날을 기준(Day 0)으로 살펴보면, 혈장 progesterone 농도는 발정 출혈 개시 일에 1.0 ng/ml 이하였으나 Day -2에 2.0 ng/ml 이상으로 상승하였으며, 혈장 progesterone 농도가 최초로 4.0 ng/ml 이상으로 상승한 날은 최초 교배 허용 후 2일이었다. Day 20일 경에 임신 예 및 비임신 예 모두 40 ng/ml 이상으로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Day 35 일까지 임신 예와 비 임신 예 사이에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이후 임신 예가 비 임신 예에 비해 높게 유지된 기간이 걸었다. 혈장 estradiol-$17{\beta}$ 농도는 발정 출혈 개시 일에 9 pg/ml 이상을 나타냈으며 이후 급증하여 Day -2 에 26.4 pg/ml로 peak를 나타내었다. CI와 혈장 progesterone 및 estradiol-$17{\beta}$ 농도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면, 혈장 estradiol-$17{\beta}$ 농도는 최초 교배 허용 일(Day 0)에 peak를 나타냈고 혈장 progesterone 농도는 Day 2에 4.0 ng/ml 이상으로 처음 상승하였다. CI 는 혈장 estradiol-$17{\beta}$ peak 이후 l일(Day 1)에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80% 및 90% 이상으로 증가한 날은 각각 Day -1 및 Day 1이었다. CI가 80% 및 90% 이상을 지속한 기간은 각각 Day -1에서 Day 8(10 일간 ) 및 Day 1에서 Day 6(6 일간)이었다. CI가 최고치를 나타낸 후 l일 (Day 2)에 혈장 progesterone 농도가 4.0 ng/ml 이상으로 처음 증가하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비글개의 배란은 혈장 estradiol-$17{\beta}$ peak 이후 3일 및 혈장 progesterone 농도가 4.0 ng/ml 이상으로 처 음 상승한 날에 일어나며, 교배 적기는 CI가 90% 이상으로 증가한 후 2일 이후와 혈장 progesterone 농도가 $2{\sim}25\;ng/ml$인 시기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