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erial dispersion

검색결과 765건 처리시간 0.025초

대단면 지하광산 갱도내 뒷채움 작업장 가스유출 및 확산제어 통기방안 연구 (A Study on the Ventilation Schemes for Gas Leakage and Dispersion Controlling at the Backfilled Working Face in Large-Opening Underground Mine)

  • 응우엔반득;이창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8권4호
    • /
    • pp.372-386
    • /
    • 2018
  • 뒷채움한 작업장의 공기질은 채움재의 양생기간 및 이후에 걸쳐 현저히 악화된다. 복합탄산염 기반의 채움재로 뒷채움한 채굴적으로부터 장기간에 걸친 NH3 및 CO2의 유출은 작업공간 내부에서 뿐만 아니라 지표상에서도 관찰된다. 가행광산에서는 가스의 유출은 작업환경을 급격히 악화시키므로 오염된 공간을 희석 시키기 위한 충분한 양의 통기량의 공급, 그리고 유해 가스 유출과 확산을 제어하기 위한 통기방안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채움공간내 가스제어를 위한 압력균형 통기기술의 적용성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내 포논 평균자유행로 스펙트럼 비등방성 열전도 특성에 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Anisotropic Thermal Conduction by Phonon Mean Free Path Spectrum of Silicon in Silicon-on-Insulator Transistor)

  • 강형선;고영하;진재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0권2호
    • /
    • pp.111-11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실리콘 열전달 조절을 위한 포논의 평균자유행로(Mean free path, MFP) 스펙트럼 열전달 기여도 예측이다. 열전달의 크기 효과는 포논의 MFP 와 재료의 특성길이가 비슷할 때 나타나는데, 나노시스템 응용을 위한 재료의 열전달 증감을 위해 포논 MFP 스펙트럼에 대한 열전달 기여도 예측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포논의 주파수 의존성이 고려된 볼츠만 수송방정식(Boltzmann transport equation) 근간의 full phonon dispersion 모델을 통해 실리콘 박막(Silicon-on-Insulator) 트랜지스터의 실리콘 박막 두께 변화(41-177 nm)에 따른 포논 MFP 스펙트럼 열전달 특성 및 비등방성을 해석함으로써,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한 고효율 열소산(heat dissipation) 설계전략에 활용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에 따른 항공기용 탄소나노튜브/폴리우레탄 탑코트의 접착 및 전기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Adhesion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NT/PU Topcoat with Different CNT Weight Fraction for Aircraft)

  • 김종현;신평수;김소연;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3권1호
    • /
    • pp.1-6
    • /
    • 2020
  •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에 따라 폴리우레탄 타입 탑코트의 분산도 및 전기저항의 평가를 통해 탄소나노튜브의 최적함량을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초음파 분산을 통하여 탄소나노튜브를 폴리우레탄 탑코트 내에 분산하였고, 중력식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 표면에 탄소나노튜브/폴리우레탄 탑코트의 코팅을 진행하였다. 4가지 용매를 이용하여 탄소섬유복합재와 탄소나노튜브/폴리우레탄 탑코트의 정적접촉각을 측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접착일을 계산하였다. 탄소나노튜브/폴리우레탄 탑코트의 표면저항을 측정하였고 이를 통하여 탄소나노튜브의 최적 함량조건을 파악하였다. ASTM D3359를 기반으로 크로스 컷 시험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하여 탄소나노튜브/폴리우레탄 탑코트의 부착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해 탄소나노튜브의 최적 조건을 파악하였다.

시료고체상분산(matrix solid phase dispersion)전처리법과 액체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돈육중 enrofloxacin 및 ciprofloxacin 분석 (Matrix solid phase dispersion(MSPD) extraction and HPLC determination of enrofloxacin and ciprofloxacin in pork muscle tissue)

  • 강환구;손성완;이혜숙;김재학;조명행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95-202
    • /
    • 1997
  • A method for the isolation by matrix solid phase dispersion method and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enrofloxacin and ciprofloxacin in pork muscle tissue is presented. Blank or enrofloxacin and ciprofloxacin spiked samples(0.5g) containing 0.05g oxalic acid were blended with $C_{18}$(octadecylsilyl derivatized silica) packing material. After homogenization, $C_{18}$/muscle tissue matrix was transferred to glass column made from 10ml glass syringe and filter paper, and compressed to 4~4.5ml volume. A column was washed with 8ml of hexane and dried under vacuum. Interfering materials were removed by ethylacetate 8ml and dried, following which enrofloxacin and ciprofloxacin were eluted with 8ml of methanal under gravity. The eluate containing enrofloxacin and ciprofloxacin wase free from interfering compound when analysed by HPLC with UV detection at 278nm. Enrofloxacin and ciprofloxacin showed linear response with UV detector at the range of $0.05{\sim}1.0{\mu}g/ml$ and eluted within 5ml elution volume of methanol from the matrix. Fortified sample containing 0.05g oxalic acid represented more good recoveries than that of control sample. Average percentages of enrofloxacin and ciprofloxacin were $93.30{\pm}4.56%$ and $91.84{\pm}4.17%$, respectively, for the concentration range(0.05, 0.1, 0.25, 0.5 and $0.75{\mu}g/g$). The interassay variability of enrofloxacin was $6.02{\pm}5.33%$ with an intra-assay variability of 4.89% and $6.75{\pm}2.68%$ with 4.54% for ciprofloxacin. Detection limit of enrofloxacin and ciprofloxacin was $0.030{\mu}g/g$ in the spiked sample.

  • PDF

Effect of Particle Size and Dispersion on Dielectric Properties in ZnO/Epoxy Resin Composites

  • Yang, Wenhu;Yi, Ran;Yang, Xu;Xu, Man;Hui, Sisi;Cao, Xiaolong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13권3호
    • /
    • pp.116-120
    • /
    • 2012
  • In this paper, ZnO-Epoxy nanocomposites (NEP) were prepared and epoxy composites that contain 5 wt% micro ZnO (MEP) and deliberately not well dispersed nano ZnO (NDNEP) were also prepared for purpose of comparison. The effects of the particle size and dispersion of ZnO on dielectric properties of epoxy resin were chiefly studied. Test results showed that: at a loading of 5 wt%, the three epoxy composites seem to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resistivity compared to epoxy resin; Dielectric constants of all the epoxy composites are also basically the same but they are bigger compared to that of the pure epoxy resin (unfilled); Dielectric dissipation factors ($tan{\delta}$) of NDNEP is greater than that of NEP and MEP. NEP has the minimum dielectric loss factor, whereas dielectric loss factors of the three epoxy composites are larger than that of the pure epoxy resin. The decreasing order of electrical breakdown strength for the three epoxy composites and for the pure epoxy resin is as follows: NEP>MEP>NDNEP>EP. Finally, in order to explai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aggregation interface phase was proposed. Furthermore, addition of well dispersed nano filler has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epoxy resin.

산화물 분산강화 표면처리에 따른 지르코늄 피복관의 기계적 강도 (Effects of Surface Treatment using Oxide-Dispersion-Strengthening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Zr-based Fuel Cladding Tubes)

  • 정양일;김일현;김현길;장훈;이승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1-276
    • /
    • 2019
  • Oxide-dispersion-strengthened (ODS) alloy has been developed to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of metallic materials; such an improvement can be realized by distributing fine oxide particles within the material matrix. In this study, the ODS layer was formed in the surface region of Zr-based alloy tubes by laser beam treatment. Two kinds of Zr-based alloys with different alloying elements and microstructures were used: KNF-M (recrystallized) and HANA-6 (partial recrystallized). To form the ODS layer, $Y_2O_3$-coated tubes were scanned by a laser beam, which induced penetration of $Y_2O_3$ particles into the substrates. The thickness of the ODS layer varied from 20 to $55{\mu}m$ depending on the laser beam conditions. A heat affected zone developed below the ODS layer; its thickness was larger in the KNF-M alloy than in the HANA-6 alloy. The ring tensile strengths of the KNF-M and HANA-6 alloy samples increased more than two times and 20-50%, respectively. This procedure was effective to increase the strength while maintaining the ductility in the case of the HANA-6 alloy samples; however, an abrupt brittle facture was observed in the KNF-M alloy samples. It is considered that the initial microstructure of the materials affects the formation of ODS and the mechanical behavior.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자연하천의 2차원 추적자 실험 (Two-dimensional Tracer Tests in Natural Rivers Using Radioisotope)

  • 서일원;백경오;전태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2B호
    • /
    • pp.161-17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서 오염물의 혼합 특성 연구를 위한 실험 방법으로서 방사성 동위 원소를 이용한 추적자 실험 방법을 제시하였다. 현장 실험시 추적자로서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할 경우 장점은 미량의 주입으로도 추적자의 감지가 용이하며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또한 넓다. 그리고 하상에 흡 탈착되는 추적자의 양이 비교적 작아 정확하면서 효율적으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연하천 중 다양한 사행형태를 갖는 만곡구간을 선정하여 현장조사 및 추적자 실험을 7회 수행하였다. 실험에서 수집된 수리량 및 농도자료로부터 추적자의 2차원적 거동을 분석하고, 다양한 산정법을 통해 종횡 분산계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만곡이 심한 구간에서는 추적운의 중심이 만곡의 외측에 치우쳐 이동함을 확인하였고, 종분산계수 및 횡분산계수가 직선구간에 비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Dose analysis of nearby residents and workers due to the emission accident of gaseous radioactive material at the spent resin mixture treatment facility

  • Jaehoon Byun;Seungbin Yoon;Hee Reyoung Kim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12호
    • /
    • pp.4543-4553
    • /
    • 2023
  • The dose from a possible accident at a microwave-based spent resin mixture treatment facility that was to be installed and operated at the Wolsong nuclear power plant was analyzed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safety prior to its installation and operation. The dose to which workers and nearby residents are likely to be exposed was calculated based on the atmospheric dispersion and deposition factors using the XOQDOQ code. The highest atmospheric dispersion factors were 1.349E-05 s/m3 (workers) and 1.534E-06 s/m3 (residents). The highest doses due to emissions from the mock-up tank before operation were 1.91E-06 mSv (workers) and 1.78E-07 mSv (residents). Even after 3 h of operation, emissions from the mock-up tank had the greatest impact ranging from 4.63E-08 to 1.24E-06 mSv (workers) and 2.74E-10 to 1.16E-07 mSv (residents), respectively. The doses were 7.09E-09-4.55E-07 mSv and 4.18E-11-4.25E-08 mSv at 4-5 h of operation, and the maximum doses after operation reached 5.69E-07 mSv and 5.31E-08 mSv for the workers and residents, respectively. Even at the exclusion area boundary (EAB), 4.76E-08-9.51E-07 mSv (annual dose:9.52E-05–1.90E-03 mSv/y) was below the dose limit of the EAB, and the safety of the facility installation inside the NPP was confirmed.

그래핀이 표면에 분포된 미립자를 이용한 열전도 복합재료의 개발 (Graphene Attached on Microsphere Surface for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e Material)

  • 최재용;이주혁;김미리;이기석;조국영
    • 청정기술
    • /
    • 제19권3호
    • /
    • pp.243-248
    • /
    • 2013
  • 열전도성 복합재료는 방열특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그래핀은 우수한 전기전도성, 기계적 특성, 열전도 특성을 가지는 잠재성이 높은 물질이다. 그러나 기존의 그래핀 입자를 사용한 경우에서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분산을 하게 되어 청정생산공정측면에서 이를 개선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플루이딕(microfluidic)으로 균일한 미립자를 제조하는데 있어 계면안정제를 도입하여 수분산을 통한 그래핀 용액을 연속상(water phase)으로 사용하여 표면에 그래핀이 분포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미립자를 제조하였다. 본 연구의 제조방법은 소량의 그래핀으로 열전도 특성이 향상되어 열전도성 복합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Epoxy/Fe2O3 나노 복합재의 물성치에 미치는 나노 입자의 역할 (The Role of Nano-particles on the Material Properties of Epoxy/Fe2O3 Nano-composites)

  • 박주혁;김정엽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8-93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epoxy를 기지로 하고 $Fe_2O_3$ 나노 입자 포함하는 나노 복합재료의 특성에 미치는 나노입자의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나노 입자의 수지 내에서 최적 분산 기법, 나노 입자가 수지의 점성에 미치는 영향, 나노 입자의 조성비에 대한 나노 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 변화 및 나노 복합재료의 다기능성에 대하여 조사를 하였다. 나노 입자의 분산을 위하여 초음파 가진을 사용하였으며 최적 분산을 위한 최적 초음파 가진 시간이 존재하며 초음파 외에도 기계적 교반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된 나노입자의 양에 따른 기계적 물성치의 변화를 알아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