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keting elements

검색결과 456건 처리시간 0.024초

(주)세정의 인디안 B.I.System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ian Brand Identity System Design)

  • 김택훈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
    • /
    • pp.1-10
    • /
    • 1997
  • 90년대 들어서 국내 패션시장은 소비자들의 생활수준향상,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함께 해외 라이센스 브랜드 도입의 증가와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들의 신규참여 또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급변하는 시장환경 속에서 오랜 전통과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선발 패션업체로서 주식회사 세정의 인디안 브랜드는 90년대 현 상황에서 타 브랜드들과의 경쟁에서 상대적 우위를 선점 하고 미래의 소비자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이미지 정립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주)세정의 인디안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하여 경영환경의 입체적 마아케팅 조사를 실시, B.I. 컨셉을 설정한 후 시각적 이미지 표현작업에 착수하였다. 그 후 설문조사를 통해 Logo mark를 결정한 후 인디안 B.I의 주요 디자인 항목인 기본 요소와 응용요소를 전개, 전체 디자인 시스템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브랜드 이미지 통일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보완되어져야 할 요소로는 디자인 조형상의 원칙준수와 철저한 관리, 브랜드 관련 전체 구성원들의 사고와 행동의 일치, B.I의식 실천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실시 등이 요구된다.

  • PDF

대학 UI에서 심벌마크와 슬로건 디자인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Symbol Mark and Slogan Design in UI(University Identity) Design)

  • 권윤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01-108
    • /
    • 2013
  • 슬로건은 정치행동부터 기업과 상품을 돋보이게 하는 광고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는데, 이는 대중이나 고객에게 이미지를 좋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대중이나 고객의 태도가 동요 적이고 미확정적일 때일수록 슬로건의 호소력은 크다. 21세기의 도래와 함께 학생이 소비자이자 고객이 되고 있는 대학은, 급변하고 있는 환경변화와 함께 대학의 브랜드가치와 인지도를 높여 강력한 파워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획기적인 브랜드아이덴티티 전략을 수립하고 시행해야 할 시점이다. 대학의 심벌마크는 대학의 정체성과 연관성이 있고, 슬로건은 신선하고 호소력이 있어야 하며 브랜드 핵심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변화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변하는 경영 전략 적 마케팅 프로그램으로서 개발되어야 할 대학 UI(University Identity)에서, 슬로건디자인의 시각요소들의 형태와 문장구성, 표기언어, 색상 등 심벌마크와 슬로건 조합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슬로건과 심벌마크와의 디자인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이 애플리케이션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격민감도를 조절효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Mobile Shopping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n Customer Preference : Focusing on Price Sensitivity)

  • 곽동성;임기흥;권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171-180
    • /
    • 2014
  • 최근 주요 기업들은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마케팅 전략으로 개발하여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략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데 무게를 두고 있다. 이러한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대표적인 요소들은 상호작용성 그리고 정보제공성, 이용편리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이 애플리케이션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소비자들의 가격민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효과적인 쇼핑애플리케이션의 활용전략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호작용과 정보제공성, 이용편리성은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특징이 선호에 영향을 미칠 때, 가격민감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가격민감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정보제공성이 가장 유의한 영향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상호작용성과 이용편리성이 유의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가격민감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정보제공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기업의 마케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개인의 혁신성이 소셜미디어 기반 스마트커머스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Acceptance of Social Media-based Smart Commerce Service through Personal Innovativeness)

  • 이상옥;이상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47-559
    • /
    • 2018
  • 본고는 개인의 혁신성이 소셜미디어 상에서 제공되는 스마트커머스 서비스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실증한 연구다. 연구자들은 개인의 혁신성이 감성 및 특성의 세분화된 요소인 심미성, 쾌락성, 경제성, 주관적 규범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감성 및 특성 변인들이 전기 기술 수용모형(TAM)과 후기 기술 수용모형(PAM)의 구매의도와 구전 의도 등의 변인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연구모형은 선행 연구에서 검증된 모형을 통합하여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공헌점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 연구자들은 본 연구가 e-커머스 및 소셜미디어 마케팅 분야에서 새롭게 대두되는 스마트커머스 서비스의 수용을 다룬 점에서 산업과 정책에 상당한 공헌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온라인 빅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스페셜티 커피 속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Key Attributes of Specialty Coffee by Online Big Data Analysis)

  • 임미리;윤대열;류기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275-282
    • /
    • 2020
  • 최근 커피분야에 대한 소비자의 높아진 인식과 가격대 품질보다 한단계 나아가 심리적 만족에 비중을 두는 커피문화의 변화로 고품질 스페셜티 커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커피를 즐기는 방식이나 맛과 향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하나의 문화로서 기호에 맞는 커피를 제공받고자하는 고객이 늘어남에 따라 스페셜티 커피전문점의 수도 증가하고 있으며 제공되는 커피의 품질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페셜티 커피의 주요 속성을 분석하고, 스페셜티 커피전문점에 필요한 마케팅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 온라인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한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하여 스페셜티 커피의 속성을 형성하는 요소들을 추출하고 영향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커피의 맛과 원두, 바리스타와 관련된 단어들이 스페셜티커피의 속성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개성공단을 통해 본 의류산업의 New Paradigm (New Paradigm of Apparel and Sewing Industry seen through Gaeseong Industrial Complex)

  • 김정회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47-35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production base for clothing business of South Korea through the analysis about textile/clothing industry production activities in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It is necessary for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to cope with the issue about FTA and country of origin, manpower supply and demand, paying wages and labor productivity, the exclusive industrial complex of clothing. The Country of Origin on imports and exports tells the country of manufacture or production, where the product comes from. Rules of Origin are the special regulations to determine the country of origin of a product and exist in the forms of international law, legislation, precedent and administrative decisions. But the economy in the North and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is a comparative advantage combined with elements of North-South interdependence as a South-North economic cooperation business and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stabilization of the North-South relations. Among the models using criteria of the determination of origin, it has directly provided the models of general regulation for offshore products, of limited offshore products. These models are to help Korean exporters in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e Rules of Origin for their manufacturing.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will contribute to establish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in Northeast Asia. Also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is essential for peace and prosperity of the Korean people.

고소득층 여성의 의복구매행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ecific Character of the High Income Woman-brackets Manner in Purchasing the Clothes)

  • 장성옥;이은경
    • 복식
    • /
    • 제51권1호
    • /
    • pp.119-128
    • /
    • 2001
  • This study gives information for the enterprise to map out a positive marketing strategy and facilitate a new product development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specific character of the high income woman-brackets. In order to do that, based upon the materials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 made a selection of the high income brackets, subdividing their scholastic ability into four serf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the women from twenties to sixties among customers of a high class dress shop in Taejeon. I made up 600 questionnaires for them. using 441 of these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making available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primary factor analysis, and $X^2$-test. This study is classified into the type of women customers purchasing clothes who are the high-income brackets. Intended to study a special quality of purchasing according to income. 1. The purchasing manner of the high-income brackets customers is exposed the luxurious vain purchasing manner, the rational reasonable manner, and idiosyncrasy individual manner in order 1) The consumer of the high-income brackets in general prefer to a high class clothes. In the contrast, low-income brackets prefer to rational reasonable consumption in spending money on clothes. 2) The favorite consumption manner of the high income brackets is the luxurious vain purchasing manner. This consumption values the more symbolic means the things show than owing the goods. 2. The higher standard of education and younger tends to be high in the luxurious, vain purchasing. 3. The unreasonable purchasing show an high irrelation at the impulse buying arid self-satisfaction. 4. Self-satisfaction shows the highest interrelation than any other variations in the concern of clothes. 5. The symbolic images which exerts an influence upon purchasing manner are the notable elements of constituting as growing older. 6. The high standard of education prefers to the rational resonable purchasing, but on the other hand shows a high rate at the unreasonable individual purchasing manner.

  • PDF

브랜드 확장에 따른 스페이스 브랜딩의 구현적 특성 연구 - 브랜드 확장적 관점에서 디자인된 호텔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mbodiment Characteristics of Space Branding for Brand Extension - Focused on the case study of hotels designed for brand extension -)

  • 김지영;류호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96-105
    • /
    • 2013
  • Branding is a process of buil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brand and consumers. This process can also happen in a space that reflects brand characteristics, and this kind of branding is called space branding. This way can strengthen a brand image by delivering its profound impressions with synesthetic experiential services for consumers. In terms of brand extension, particularly, it is possible by space branding to apply the image and value of the parent brand to spatial design so as to expect the direct effect of experiential brand recognition.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for space branding - the scope of which was limited to hotels - specific ways of embodying a brand into space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is the 'embodiment of visual elements' that directly embodies a brand's logos, colors, forms, and textures into space; the second is the 'experience of brand content' that mainly adopts the way of giving impressions with events or customer services, or of inducing direct experiences combined with exhibition function; and the third is the 'symbolic expression of brand characteristics' that indirectly expresses the strong concept or image of a brand - a type in contrast to the first direct type. These ways of space branding change the general abstract feeling of a brand's qualities into specific spatial experiences, thus now settling as one of the ways of marketing that are direct, strongly sustainable, and the most effective.

트위터를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의 영화흥행 예측 (Predicting Movie Success based on Machine Learning Using Twitter)

  • 임준엽;황병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7호
    • /
    • pp.263-27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영화의 흥행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최근 영화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시장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영화는 비교적 수명주기가 짧은 문화상품이다. 따라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개봉 전 마케팅비용 및 개봉 후 스크린 수 등에 대한 설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품의 수요와 경제적인 수익규모에 대한 계산이 선행되어야 한다. 기존 관련 연구들의 경우 예측을 위한 변수로서 주로 영화 자체의 속성들이나 시장에서의 경쟁요인 등을 이용한다. 그러나 정작 상품을 구매하는 주체인 잠재관객들에 대한 비중은 비교적 미비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람들이 가진 영화에 대한 인지도를 고려하기 위해 트위터를 하나의 설문표본으로서 활용했다. 기존에 사용된 변수들과 트위터에서 추출한 정보를 오프라인 요소와 온라인 요소로 정의하고, 두 요소를 취합하여 기계학습을 적용했다.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예측기법을 검증했으며, 실험결과 약 95%의 정확도로 영화의 흥행을 예측했다.

유통점의 배경음악에 관한 연구 (Study on Background Music of Distributors)

  • 이준표;황희중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9호
    • /
    • pp.127-131
    • /
    • 2019
  • Purpose - This study focuses on clues that can clearly amplify the effects of background music. Review which store environments have a direct and positive impact on consumer responses, such as purchas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focuses on clues that can clearly amplify the effects of background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kind of store environment, combined with background music, has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consumer reactions such as purchase,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Results - The manager decides to use background music in the store because it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easy to identify the emotional response of the consumer. In addition, appropriate background music lowers the psychological purchasing barriers of consumers. Previous studies have often not conducted a basic review of whether consumers perceive background music when it is used in retail stores.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make sure that the volume of the background music is loud enough and that the noise is properly excluded despite the congestion of the store so that the pure influence of the background music on the consumer can be measured. A way for store managers to clarify and differentiate their identity is to create a unique and satisfying store atmosphere for their customers. In order to help customers focus on their purchases, store managers must use marketing elements to integrate the five senses. And they should plan background music aiming at synergy effect of these five senses. In other words, in order to make the store atmosphere positive, it is not enough to have a suitable visual design interior or background music in the store, and consumers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smell, taste and touch it directly. Conclusions - In conclusion, we hope that the following issues will be studied by several scholars in the future. It should be clarified that the impact of background music on customers varies depending on the customer's movement in the store, the selection of the background music genre order, and the timing (interval) of background music exposure to the custo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