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seawater quality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9초

석탄회 블록의 해양환경에서 역학적-화학적 안정성 평가 (Assessment on the Mechanical-Chemical Stabilities of Coal Ash Blocks in Sea Water)

  • 김필근;성규열;박맹언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4호
    • /
    • pp.383-392
    • /
    • 2008
  • 어장환경 개선을 위해 해양에 투여되는 석탄회 블록의 역학적-화학적인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해수에 침적한 석탄회 블록의 표면은 신선한 석탄회 블록 표면에 비해 칼슘함량은 감소하고 마그네슘 함량은 증가하였다. 이는 해수 중의 마그네슘이 블록 표면의 칼슘과 치환하여 미량의 반응물을 생성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12개월 동안 해수에 침적한 석탄회 블록들의 일축압축강도는 $235.23-447.43\;kgf/cm^2$의 범위로서, 항만콘크리트 공사 시 적용하는 소파(消波)블록의 설계기준강도($180\;kgf/cm^2$)보다도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블록의 압축강도는 해수에 침적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오히려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국내 표준 용출시험법(KSLT: Korean Standard Leaching Test)에 의한 석탄회 블록의 용출실험 결과, 크롬의 용출농도는 해역별 수질등급 기준(50 ppb)과 동일한 값을 보였으나, 다른 중금속(비소, 카드뮴, 구리, 납 및 아연)은 기준 값 이하로 용출되었다. 장기간(112일) 중금속 용출시험결과를 해역별 수질등급기준과 비교하면, 혼합-희석이 없는 해수조건에서 수행된 장기간(112일)의 중금속 용출실험 결과에서도 혐기성환 경의 구리를 제외한 모든 중금속들의 용출량은 해역별 수질등급기준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구리의 용출량은 실제해양환경에서 해수의 희석으로 인해 안전할 것이다. 따라서, 석탄회 블록은 실제 해양환경에서 역학적화학적으로 안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질평가지수를 이용한 시화호 내측 및 외측 해역의 시·공간적 수질 변화 평가: 조력발전소 가동에 따른 영향 연구 (Evaluation of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Lake Shihwa and Outer Sea by Using Water Quality Index in Korea: A Case Study of Influence of Tidal Power Plant Operation)

  • 나공태;김종근;김은수;김경태;이정무;김성근;김의열;이승용;박은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2-114
    • /
    • 2013
  • 인공호수인 시화호 유역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고도로 산업화가 진행되고 있는 지역 중 하나이며 현재 조력발전소 가동으로 인한 수질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2012년 동안 총 14회에 거쳐 시화호 내 외측의 투명도, 저층 용존산소 포화도, 용존무기인, 용존무기질소 및 클로로필-a의 조사결과를 개정된 수질평가기준(수질평가지수, WQI)에 적용하여 시화호 주변해역의 시 공간적 수질변화 특성과 조력발전소 가동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수질평가지수는 시화호 내측의 산업단지 주변과 외측의 하수처리장 방류구 주변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각각 시화방조제와 외해역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수평분포 특성을 나타내었다. 시화호 내 외측의 수질은 주로 시화호 유역의 산업지역, 도심지역 및 농촌지역에 산재하는 비점오염유출과 하수처리장 방류에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화호 내측 수질평가지수는 2011년 평균 53.0(IV 등급, 나쁨)에서 2012년 평균 42.8(III 등급, 보통)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조력발전소 가동이 해수교환량을 증가시켜 저층 빈산소 환경이 약화되어 시화호 수질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화호 외측 수질평가지수는 2011년과 2012년 각각 37.4와 35.3으로 모두 보통(III 등급)의 수질상태를 보여 조력발전소 가동 이후 내측 해수의 외측 방류에 의한 수질 오염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군집분석 결과, 산업단지 주변의 시화호 상류지역은 조력발전소 가동을 통한 수질개선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가 집중되는 여름철에 수질이 악화되고 있어 시화호 전체 수질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하천이나 우수토구를 통한 비점오염물질 관리 및 저감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Design and Performance of a Laboratory Scale Closed Seawater Recirculating System for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Culture Part 1. Design of the Closed Seawater Recirculating System

  • Lei Peng;Oh, Sung-Yong;Jo, Jae-Yoon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125-125
    • /
    • 2003
  •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s consist of different treatment compartments that maintain water quality within the ranges of commonly recommended for fish culture. This paper presents the common considerations in designing different treatment compartments as well as the engineering criteria in designing closed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including a circular tank for fish culture, a sedimentation basin and a foam fractionator for solids removal, two styrofoam bead filters for TAN removal, a sand filter for nitrate removal, and aerators. The main purpose is to outline a common procedure in designing of closed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for marine fish culture.

  • PDF

Overview of Fisheries Resources in Namibia

  • Endjala, Jason Tshuutheni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1-37
    • /
    • 2008
  • Off the 1,572 km long coastline of Namibia lies known as the Benguela upwelling system, a very rich source of marine life supporting traditional and modern forms of fishery. Commercial fishing and fish processing is one of the fastest-growing sectors of the Namibian economy in terms of employment, export earnings, and contribution to GDP. The fishing industry has grown to the extent that it is currently Namibia's second biggest export earner of foreign currency after mining (90% of national output is marketed for export). In 2005, Namibia harvested about 552,164 tonnes of fish. The final value of processed products (export value) that year was around US$ 376.0 million. Besides the marine captured fisheries, Namibia also has a small but vibrant aquaculture sector. Inland captured fisheries exist in the north-east and north-west of Namibia where as commercial freshwater aquaculture of tilapia and catfish is also undertaken. The inland fisheries are mainly subsistence based and typically labour intensive, with low catch per unit effort. However the subsistence fisheries from these region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lives of rural community. The domestic market for marine fish products is extremely limited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population (2 million). The fishing industry is a source of considerable employment for many Namibians. Huge potential to increase production exists in Namibia, unpolluted high quality marine waters, high natural primary productivity of the seawater, availability of inexpensive fish by-products from established fish processing sector for inclusion in wet aqua-feeds and well-established processing, packaging and marketing systems due to the marine capture fisheries that can be adopted for aquaculture purpose.

  • PDF

장래 해수수질 변화를 고려한 역삼투압 공정 전력비 예측 (The prediction of electricity for seawater reverse osmosis process considering future seawater quality)

  • 심규대;장부건;정준연;백승민;김동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243-243
    • /
    • 2020
  • 본 연구는 장래 유입수질 변화로 해수담수화(Desalination) 역삼투압(Seawater Reverse Osmosis) 공정의 전력비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별도의 해수담수화 추가공정이 필요한지 검토하였다. 플랜트 시설은 한번 설치되면 오랜 기간 운영이 되고, 주요 공정의 시설물 변경이 어려우며, 특히 해수담수화 시설의 경우에는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를 수요자에 상시 공급함으로서 중간에 추가 시설물을 증설하거나 변경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해수담수화 시설의 계획 초기부터 현재의 유입수질 및 장래의 수질 변화를 예측하여 해수담수화 공정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금회 검토는 해수온도 및 염분도 변화를 고려하여 서해에 위치한 대산산업단지 해수담수화 시설의 해수담수화 공정 전력비를 예측하였고, 입력 자료(온도 및 염분도)는 국가해양환경정보통합시스템(MEIS, Marine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22년 과거자료(1997~2018년)를 이용하였다. 개발된 모형에 적용하여, 해수담수화에 필요한 전력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해수담수화 시설물 공정계획을 검토할 수 있었다. 금회 연구에서는 장래 수질변화 예측모형의 결과를 기반으로 해수담수화 시설물 공정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통영해역의 진주조개, Pinctada fucata에서 생산된 진주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 of Pearls Produced at Pearl oyster, Pinctada fucata cultured in Tongyeong)

  • 서진형;이상준;정우건;조상만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5-254
    • /
    • 2012
  • 이 연구는 경남 통영시 도산면에서 진주조개 (Pinctada fucata) 를 1년간 양성한 시료에서 원주를 2005년 11월에 구입하여 전문가의 육안에 의해 품질.등급별로 White 컬러, Natural blue 컬러, Yellow gold 컬러로 구별하였다. 원주의 일반성분 특성은 저급의 원주일수록 Protein 함량이 높았다. 중금속의 경우, 모든 시료에서 Cr, Cu, Fe, K, Mn, Pb, Zn 등이 검출되었다. White계 원주에서 Cr, Mg, Zn, Mn 등이 낮은 등급에서 높았고, K, Fe 등은 높은 등급 원주에서 높은 경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Zn의 경우 Natural blue와 Yellow gold 컬러에서는 높은 등급에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원주의 진주층 결정의 길이는 컬러에 상관없이 3-4 ${\mu}m$였고, 두께 범위는 0.28-0.34 ${\mu}m$이었다.

국내 조선소 주변해역의 해양오염 현황 - 2. 2010년 하계 대형조선소 주변 해수의 중금속오염 평가 (The State of Marine Pollution in the Waters adjacent to Shipyards in Korea - 2. Assessment of the Pollution of Heavy Metals in Seawater around Major Shipyards in Summer 2010)

  • 김광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17
    • /
    • 2015
  • 국내 대형 조선소 주변해역의 중금속오염 현황을 밝히기 위하여 2010년 여름에 4개의 대형 조선소 주변 11개의 채수정점과 4개의 대조정점에서 해수 시료를 채취하여 6종의 금속(Cu, Zn, Fe, Cd, Pb, Hg)을 분석하였다. 조선소별 주변해역 수중의 금속을 분석한 결과, (1) 구리(Cu)의 평균 농도는 $0.817{\sim}1.638{\mu}g/L$로 해역환경기준(사람의 건강보호기준 $20{\mu}g/L$, 해양생태계 보호 단기기준 $3{\mu}g/L$)보다 낮았지만, 대조정점에 비하여 1.64~2.75배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2) 아연(Zn)의 평균 농도는 $ 0.228{\sim}0.567{\mu}g/L$로 해역환경기준(사람의 건강보호기준 $100{\mu}g/L$, 해양생태계 보호 단기기준 $34{\mu}g/L$)보다 낮았지만, 대조정점에 비하여 1.62~5.91배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3) 철(Fe)의 평균 농도는 $3.332{\sim}7.410{\mu}g/L$로 대조정점에 비하여 1.30~6.75배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4) 카드뮴(Cd)의 평균 농도는 $0.013{\sim}0.028{\mu}g/L$로 해역환경기준(사람의 건강보호기준 $10{\mu}g/L$, 해양생태계 보호단기기준 $19{\mu}g/L$)보다 낮았지만, 대조정점에 비해 1.18~2.33배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5) 납(Pb)의 평균 농도는 $0.007{\sim}0.126{\mu}g/L$로 해역환경기준(사람의 건강보호기준 $50{\mu}g/L$, 해양생태계 보호 단기기준 $7.6{\mu}g/L$)보다 낮았다. (6) 수은(Hg)의 평균 농도는 $0.002{\sim}0.004{\mu}g/L$로 해역환경기준(사람의 건강보호기준 $0.5{\mu}g/L$, 해양생태계 보호 단기기준 $1.8{\mu}g/L$)보다 낮았다. 비록 모든 중금속의 수중 농도가 해역환경기준보다 낮다고 할지라도, 선박 건조작업에 사용되는 구리, 아연, 철과 같은 중금속의 농도가 대조해역에 비해 조선소 주변해역에서 높다는 것은 조선소의 영향에 기인하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조선소로부터 각종 오염물질이 해양에 유입되지 않도록 통제하고 해양오염을 방지하는 국가적 차원의 해양환경관리가 필요하다.

Optimal Conditions for Artificial Fertilization, Embryonic Development, and Larval Growth of the Purple Clam, Saxidomus purpuratus from Southern Coast of Korea

  • Choi, Jin-Woo;Kim, Su-Kyoung;Choi, Yong-Suk;Lee, Chang-Hoon;Lee, Woo-Jin;Ryu, Tae-Kwo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3-40
    • /
    • 2003
  •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culture conditions for the larvae of Saxidomus purpuratus,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population from southern coast for (1) the success in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from artificial fertilization among different months of a year, (2) the viability of sperms after exposure to seawater, (3) and the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food organism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larvae. Gametes obtained from dissection showed high rate of fertilization at all months. But the rate of development was higher only May-July. Developmental success seemed to be related with the quality of eggs at the time of fertilization. Developmental times for 2-cell, 4-cell, 8-cell, blastula, trochophore larva, and veliger larva at 20$^{\circ}C$ were 1.5, 2, 4, 18, 24, and 32 hr, respectively. Sperms could survive for more than 8 hr, however, actively swimming sperms could be found within 1 hr after exposure to seawater. It is recommended that sperms should be used for fertilization as soon as possible when they are exposed to seawater. At temperature of 35$^{\circ}C$, all the larvae died during 48 hr. Larval survival decreased when salinity was either lower than 20 psu or higher than 40 psu, and was 0% when salinity was 10 psu. Optimal range of temperature and salinity for rearing larvae of S. purpuratus were 20-25$^{\circ}C$ and 20-40 psu, respectively. Larvae grew from 111.5 to 235.3 ${\mu}$m during 21 days. Larvae fed mixed diets grew faster than unialgal diets. The fastest growth was observed when larvae were fed on the mixture of Isochrysis galbana and Nannochloris oculata.

  • PDF

새만금 해양환경에서의 잔류성 유기염소계 농약의 분포 및 특성 (Contamina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Persistent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the Saemangeum Environment)

  • 홍상희;심원준;이동호;임운혁;오재룡;김은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317-329
    • /
    • 2006
  • To assess the contamination statu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the marine environment of Saemangeum, surface seawater and sedi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rganochlorine pesticides were widely distributed in the Saemangeum environment, with DDT, HCH and endosulfan II contamination being particularly prevalent. The overall concentrations of DDTs, HCHs, and endosulfan II in surface seawater were in the rage of 0.03-0.65ng/l (mean value: 0.36ng/l), 1.31-4.54ng/l (2.63 ng/l), and not detected (ND)-0.96ng/l (0.49ng/l), respectively. Among the target organochlorine pesticides, endosulfan II showed the hi띤est level at the river mouth flowing into the Saemangeum. Additionally, its negative gradient from the rivers to the outside and a good correlation with $NO_3^-$ indicate that endosulfan ll inflows to the Saemangeum through the river; this conclusion is also supported by the elevated levels of endosulfan II in sediments at the river mouth. In sediment, the concentration of DDTs, HCHs, CHLs, and endosulfan II were in the range of 0.05-1.96 ng/g, 0.03-0.31ng/g, 0.01-0.13ng/g, and ND-0.62ng/g, respectively. Levels of contamination in Saemangeum are relatively lower than the median concentrations previously observed at the Korean coastal regions and sediment quality guidelines suggested by NOAA (Long et at. 1995).

Case report: Mass mortalit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caused by acute gas bubble disease

  • Lee, Yoonhang;Kim, Nameun;Lee, Ju-yeop;Kang, Hyoyeong;Sung, Minji;Yu, Young-Bin;Kim, Kyunghoi;Je, Jae-Young;Kim, Hyun-Woo;Kang, Ju-Chan;Kim, Do-Hyung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55-259
    • /
    • 2021
  • This is the first report describing acute mass mortality occurred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caused by gas bubble disease (GBD). A total of 610 fish (average weight = 35 g), which were more than half of the fish acclimated at 17℃ in an aquarium, were killed within two days of acclimation. The dead and moribund fish showed excessively opened opercula and mouths, and occasionally, severe exophthalmia. Through microscopic observation, numerous gas emboli were found in the gills of the dead and live fish, while the fish were not infected with any microbial pathogens. The dissolved oxygen (DO) saturation level of the rearing water and seawater nearby the facility reached 145% and 286%, respectively, whereas other water quality parameters (such as salinity, pH, and chemical oxygen demand) were normal. The extreme saturation rate of seawater in the shore nearby seemed to be due to an enormous algal bloom that occurred there. Through molecular identification based on 18S rDNA sequences, the most dominant algal species was most closely related to Ulva californica (99.87% sequence identity) followed by U. prolifera, U. linza, and U. curvata (99.81%).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supersaturated seawater due to mass algal bloom caused gas bubble disease in the olive flounder, leading to mass mortality. After technical adjustment, such as increased aeration, lowered water circulation rate, and inlet water filtration using micro-pore carbon filters, the DO level became normal, no further mortality occurred and the status of the fish was stabil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