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agement fusion welfar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MX(리더-구성원간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검증 (The Effect of Job Demands on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 The Moderating of Leader-Member Exchange(LMX))

  • 심선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443-45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직무요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LMX(리더- 구성원간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의 50개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의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회수된 설문 총 33개 기관의 18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복지사들의 조직몰입, 직무요구는 중간수준으로 나타났고, LMX는 중간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연령, 경력이 많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았으며, 셋째, 직무요구는 조직몰입을 낮추었고, LMX는 조직몰입을 높이는 영향을 보였다. 또한 직무요구와 LMX의 상호작용항은 조직몰입을 높이는 효과를 보여, 직무요구의 조직몰입에 대한 효과는 LMX를 통해서 조절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리더- 구성원간의 상호작용 관계의 질을 높이도록 하는 인적자원관리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학교와 임상에서 치위생과정을 적용한 치위생관리기록부의 융합적 차이 분석 (Analysis of the Fusion Differences in Dental Hygiene Process Charts Applying Dental Hygiene Process Between School and Dental Clinic)

  • 강현경;장경애;허성은;김유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23-231
    • /
    • 2018
  • 본 연구는 학교의 치위생과정과 임상의 치위생과정을 적용한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을 각 단계별 분석하여 학교와 임상간의 치과위생사 업무에 대한 괴리감을 낮추고, 치위생과정이 임상에서 널리 확산될 수 있도록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은 총 199명으로 (임상에서 치위생과정을 적용한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을 받은 환자 100명과 S대학교 치위생학과에 내원한 대상자 99명의 치위생관리 기록부)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내용으로 치위생과정 중 치위생문제와 치위생 계획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와 임상의 두 그룹에서 대상자의 치위생문제 발생률의 관련요인으로 17개 항목 중 6개의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대상자의 관리계획 12개의 항목 중 1개의 항목을 제외하고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와 임산 간 치위생진단과 계획에서 많은 부분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를 확인하여 지속적으로 상호 수정, 보완하는 노력을 한다면 치위생과정이 임상에서 우수한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으로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증 치매노인을 위한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효과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Activity Integration Program Designed for the Aged with Mild Dementia)

  • 고경애;김양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431-440
    • /
    • 2018
  • 본 연구는 경증 치매노인들의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한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것이다. 경증치매 노인을 12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을 8주간 진행하여 MMSE-K와 ADL(일상생활기능), IADL(도구적 일상생활기능), CDR, GDS 척도로 사전, 1차 사후, 4주 후 2차 사후를 비교 관찰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지속여부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실천적 차원의 함의로서 단일영역의 인지활동 프로그램보다 융 복합적 영역의 통합프로그램의 효과성이 높다는 것이다. 둘째,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은 지속해서 제공되어야 효과가 유지된다는 점이다. 경증 치매노인의 특성상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으면 효과성을 보장할 수 없다. 셋째,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은 종결 후 마무리가 실천과정 만큼 중요하다는 점이다. 이 활동을 통하여 표현능력과 기억력을 유지하고 생활에 적용하도록 자극하며 성취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천적 제언으로 경증 치매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융 복합적인 치료 기법이 반영된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지속적인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진행과 효과성의 유지 및 치매의 진전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전문인력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노인부양과 Care의 사회화에 대한 인식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of Family Support and Care's Socialization in the Elderly)

  • 정혜선;이종렬;박천만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3-114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ollege students' supportiv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their awareness of the socialization of care for the elderly, since they will have the responsibility for and the support of the aged society in the near future. This study was also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socialization of elderly care, and to contribute to building a care system which promotes ahealthy and happy lifestyle for the elderly. After conducting a survey of 1,100 students from13 universities around the entire country, I have analyzed 1,089 data forms, and omitted 11 data entries which had errors or were not answered. 1. Those surveyed are 1,089 students from 13 universities around the entire country. Regional distributions are as follows : 263 students from 4 universities in Daegu and Kyongsangbuk Do(24.2%), 291 students from 3 universities in Busan and Kyongsangnam Do(26.7%), 272 students from 2 universities in Jeolla Do(25.0%), 263 students from 4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Do. Males are 51.7% and females are 48.3% of these students. 2. Instrumental supportive sense level is high in men and emotional supportive sense level is higher in women. Also emotional supportive sense is higher in groups of those having more family members and coming from agricultural regions. 3. The sense of living with aged parents is higher in those living with grandparents than those living separate. The sense of living with sons and daughters after aging is stronger in the students from the Science and Engineering Departments than in the Social and Human Sciences Departments; also higher for men than women. 4. Recognition of elderly care socialization is higher in those from Social and Human Sciences Departments than from Science and Engineering Departments; higher in the case of upper classmenand aged groups, groups having fewer family members than more family members, and in the case of living separated from grandparents. 5. The factors affecting the sense of living with grandparents were family cohesion and instrumental supportive sense. The factors affecting the sense of elderly care socialization were family cohesion, instrumental supportive sense, and emotional supportive sense. From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o insure a healthy and happy lifestyle for aged people, elderly care socialization offered by society and the country must provide desirable, appropriate care services based on the centralized support system of the family. In order to do this, we propose that elderly care needs inter-family and inter-generational fusion programs to improve family cohesion and care recognition. Also, elderly care is in urgent need to build a strong Family and Health Welfare System for care socialization.

주거지원사업 참여 탈 노숙인의 뇌파 특성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Research of Brain Wave Characteristics of Homeless People participating in the Supported Housing Program for Vulnerable Residents)

  • 김미희;원희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61-68
    • /
    • 2021
  • 본 연구는 주거지원사업에 참여한 탈노숙인들의 뇌파 검사 시행 후 정량화된 결과를 분석한 융합연구로, 그들의 인지, 심리, 행동적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임시노숙인 시설 혹은 노숙인 생활시설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고 주거지원사업에 참여 의사를 밝힌 6명이다. 뇌파 측정은 국제 10-20법에 따라 브레인마스터 장비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감정적 측면의 특이점을 보여주는 Theta파, Beta파, High Beta파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감정적인 측면에서 분노, 불안, 불면증 등 감정적 측면의 특징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이들이 향후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으로 주거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관리, 상담, 신체적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 결과는 노숙인의 인지, 심리, 행동적 특성에 대한 정량적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향후 그들이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지원체계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웨어러블 신체 생체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earable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System)

  • 박은주;박도영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4-39
    • /
    • 2018
  • IC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개발되어 지고 있다. 또한, 성능이나 스펙은 현재의 스마트폰과 연결 가능하도록 IOT 융합 제품으로 재탄생 되고 있다. 이것은 4차 산업혁명의 범용 기술 중 하나로, 우리의 삶의 질과 환경을 바꾸는 기술로 집중 조명을 받고 있다. 이와 함께 헬스케어 기술이 결합된 신기술 제품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다. 웨어러블 기술은 기술개발과 함께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 또한 이를 스마트 와치 형태의 제품으로 개발하여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또한 소형화를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집적화 기술을 적용한 오픈소스 하드웨어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중 아두이노 관련 제품은 현재 다양하게 만들어져 있으며 용도에 따라 아두이노 프로세서를 개발 툴에 맞추어 사용하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픈소스 하드웨어 기반의 타이니두이노를 활용하여 웨어러블 신체 생체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타이니두이노는 Atmega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초소형 아두이노 호환 보드로 오픈소스 통합 개발 환경(스케치)에서 프로그램이 가능하다. 웨어러블 신체 생체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일상적인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스마트 u-Healthcare 시스템이라는 것이 큰 장점이라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