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mquist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7초

자본시장법 시행 전·후 생명보험 산업의 상대적 효율성 및 생산성 (Relativ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Life Insurance Industry to Pre and Post-execution of Capital Market Law)

  • 김미경;박희정;강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94-405
    • /
    • 2014
  • 본 연구는 생명보험산업의 자본시장법 시행 전 2005년부터 2008년까지의 자료와 시행 후 2009년부터 2012년까지의 자료를 토대로 첫째,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하여 자본시장법 시행 전 후의 효율성 분석을 하고,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시행 전 후의 효율성 차이를 살펴보았다. 둘째, 맘퀴스트 지수를 이용하여 자본 시장법 시행 전 후의 생산성 변화를 분석하고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생산성 변화 차이를 파악하였다. 셋째, 토빗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본시장법 시행 전 후 효율성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자본시장법 시행 전 후 효율성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본시장법 시행 전 후 생산성 변화의 차이가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 시행 후 생산성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토빗 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설계사 비중이 자본시장법 시행 전 후의 효율성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의 관점에서 바라본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 품질의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 고급 vs. 일반 브랜드 (The Analysis of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Quality of Global Automobile Brands from the Customer's Perspective: Luxury vs. Mainstream Brand)

  • 김현정;김창희;최강화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771-78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quality by integrating the product quality and service quality of global automobile brands from the customer's perspective. Methods: In this study, the data from JD Power and GoodCarBadCar.net were used to analyze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a total of 24 automobile brands (10 luxury brands and 14 mainstream brands) between 2009 and 2013. For this,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MPI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were used. Results: The mean efficiency of the quality of global automobile brands were 0.725 for luxury brands and 0.587 for mainstream brands, which suggests generally higher efficiency for luxury brands. The productivity of the quality of global automobile brands increased by 16.1% for luxury brands while it decreased by 3.1% for mainstream brands. Conclusion: The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implication in that it emphasized the efficiency of the quality viewed from the customer's perspective, and investigated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that of service in an integrative manner.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also a practical implication in that it suggests how to set the sales goal by the brand and how to mana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nd to the managers of automobile manufacturers.

The Effec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Selected ASEAN+3 Countries: New Evidence Using A Panel ARDL Study

  • ABIDIN, Noorazeela Zainol;KARIM, Zulkefly Abdul;SHAARI, Mohd Shahidan;LAILA, Nisfu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0호
    • /
    • pp.109-117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FDI and other macroeconomic variables on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in selected ASEAN+3 countries from 1981 till 2016.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for each ASEAN+3 country was constructed using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method. Then, a panel ARDL framework (dynamic heterogeneous panel), namely Pooled Mean Group (PMG), Mean Group (MG), and Dynamic Fixed Effect (DFE) are employed in examining the effects of FDI and other controlling variables on TFP. The new findings show that FDI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TFP in the long run and the short run in ASEAN+3 countries. Besides,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in the long run, other variables such as the average number of years of schooling and the ratio of high-skilled to low-skilled labor also have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TFP. However, economic openness, government expenditure on R&D, and interaction between countries and FDI have a nega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FP. These findings implied that the recipient countries must ensure their political stability and offer various incentives to attract more investors. Furthermore, the influx of foreign investors, especially large ones and lower costs, should be encouraged by each country as FDI inflows can boost their TFP growth.

Does the China-Korea Free Trade Area Promote the Green Total Factor Productivity of China's Manufacturing Industry?

  • Liu, Zuan-Kuo;Cao, Fei-Fei;Dennis, Bolayog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3권5호
    • /
    • pp.27-44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net effect of the green total factor productivity (GTFP) of China's manufacturing industry from the China-Korea Free Trade Area (China-Korea FTA) quantitatively. Design/methodology - Firstly, the Global Malmquist-Luenberger (GML) index based on the SBM directional distance function is used to measure the GTFP of China's manufacturing and analyze the driving force for its growth. Secondly, the regression discontinuity quantitative analysis is us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China-Korea FTA on China's manufacturing GTFP. Findings - Our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hina-Korea FTA has promoted the GTFP of China's manufacturing with an effect evaluation mainly resulting from green technology progress. And there is industry heterogeneity in the policy effect on the manufacturing GTFP due to the China-Korea FTA. Namely, policy promotion from the China-Korea FTA is more effective on the GTFP of equipment manufacturing than it is on those of other industries. Originality/value - First, an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GTFP development of China's manufacturing that employs GML index based on SBM directional distance function. Second, a quantitative estimate of China-Korea FTA's net effect on China's manufacturing industrial GTFP that uses regression discontinuity analysis,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closest method to natural experiments and superior to other causal inference methods. Third, an in-depth discussion of the practical steps that China's manufacturing can take to improve GTFP development and integrate China-Korea FTA construction into economic development.

명태 산업 중소기업의 생산성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Pollock SMEs Productivity)

  • 김종천;장영수;강효슬;김지웅
    • 수산경영론집
    • /
    • 제50권2호
    • /
    • pp.41-56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ductivity change of pollock enterprise by applying a mutually quadratic hyperbolic model and a bootstrapping model. This study used 20 units of pollock firms data (from 2013 to 2017). As a result of total productivity analysis of twenty pollock enterprises, total factor productivity was estimated to have decreased by 24.9% over the last five years (2013~2017). The main cause of this productivity decline was analyzed by technical change. In terms of annual productivity change, it showed decrease 3.0% in 2013~2014, 7.8% in 2014~2015, 4.5% in 2015~2016 and 4.7% in 2016~2017 respectively. In the analysis of productivity by corporation type, total factor productivity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general corporation and external corporation, and productivity decrease (-29.3%) was larger than general corporation (-23.0%). In the productivity analysis by type of business, total factor productivity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order of wholesale and commodity brokerage (-26.3%), food manufacturing (-25.1%) and fisheries (-15.3%). This decrease in productivity was caused by the technological change which indicates a downward shift in the production curve that is significant in all sectors.

혁신형제약기업의 기술혁신활동에 대한 경영효율성 분석 (Management Efficiency Analysis of Innovative Pharmaceutical Companies'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 임혜련;민현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361-37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형제약기업 인증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혁신활동에 대한 효율성과 생산성을 분석하여 경쟁력을 진단하고 강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8개 혁신형제약기업에 대한 2017~2019년 동안의 투입(연구개발비, 종업원 수) 및 산출(매출, 영업이익, 특허) 데이터를 수집하여, DEA, Tobit 및 MP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혁신형제약기업의 DEA 결과는 규모의 효율성을 보여주는 CCR 모형 값과 내부 운영 효율성을 나타내는 BCC 모형 값 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효율성은 기업의 특성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 셋째, Tobit 모형은 보유특허수가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체 MPI는 0.89로, 이는 TECI가 3%p 감소하고 TCI가 4%p 증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효율의 원인을 규명하고 목표값을 제시하여 효율성 향상을 위한 대응전략을 위한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R&D 생산성 및 효율성 분석: OECD 국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R&D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Korea: Focused on Comparison with the OECD Countries)

  • 김영훈;김선근
    • 기술혁신연구
    • /
    • 제19권1호
    • /
    • pp.1-27
    • /
    • 2011
  • 본 연구는 1984년부터 패널자료의 확보가 가능한 17개 OECD 국가를 표본으로 하여 R&D 생산성 및 효율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비교하고 우리나라의 수준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 성과를 산출(output) 측면과 성과(outcome) 측면으로 구분하고, 맘퀴스트 생산성지수와 자료포락분석방법을 활용하여 R&D경로단계별 생산성 및 효율성과 그 변화추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R&D 투자 대비 산출 생산성은 매우 높은 반면, 평균효율성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효율성의 시계열 변화추이를 보면 최초 지수 0.10에서 시작하여 최종 0.83까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주요 선진국들 수준에 도달하였다. R&D 산출 대비 생산성은 매우 낮으며, 통합 프런티어에 대한 효율성은 최초 지수 1.00에서 최종 0.057까지 주요 선진국들 수준으로 가파르게 하락하여 왔다. 그리고 상관분석을 통해 R&D 산출 대비 생산성이 곧 R&D 투자 대비 생산성을 가늠하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보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R&D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해서는 R&D 투자 및 산출 증대의 노력이상으로 R&D 산출물의 활용 측면이 보다 강화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효과적인 기술확산 체계 구축, 기술금융시장환경 조성 및 사업화에 성공하기까지 실질적인 인큐베이팅 제공 등 전반적인 기술사업화 시스템의 혁신이 주요 과제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시설장미 재배농가의 효율성 및 생산성분석 (Analysis on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Greenhouse Rose Farming)

  • 윤진우;이동수;김성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532-542
    • /
    • 2020
  • 최근 고온피해 등 이상기후로 인하여 시설장미 재배농가의 경영상태는 점점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농가들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경영성과 개선을 위한 새로운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DEA 분석과 MPI 분석을 통해 경영성과분석 측면에서 시설장미 재배농가의 비효율적인 원인을 규명하여 효율성 및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DEA 분석결과, 농가들의 평균 기술효율성은 '16년 0.867에서, '17년 0.905로 효율성이 상승하였으나 '18년에는 0.850으로 하락하여 약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효율적인 농가의 경영효율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비효율의 원인으로 비중이 가장 크게 나타난 대농기구상각비, 고용노동비, 비료비, 영농시설상각비, 종묘비 등을 우선적으로 절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MPI 분석결과, 기술적 효율성변화지수가 1.044(T2)에서 0.939(T3)로 감소하여 MPI 감소의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기술변화지수는 오히려 0.958(T2)에서 0.969(T3)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생산성의 감소가 기술진보의 둔화보다는 잠재적인 생산기술의 불충분한 활용에 기인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기술보급 후 활용에 대한 기술지도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중국 중소 IC 회사의 운영 효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ng Efficiency of Small and Medium-sized IC Companies in China)

  • 곽천교;양준원;김형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35-44
    • /
    • 2020
  •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 IC 산업의 자원 활용과 전반적인 개발 수준을 반영한 중국 IC 산업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2018년 영업이익이 10억 미만인 IC산업 상장기업 17개사를 대상으로 3개의 입력지표(R&D 지출, 종업원에게 지급된 비용, 고정자산 총액)와 2개의 출력지표(순이익, 판매수익)를 선정하고 기술효율성 이론과 DEA 분석법을 적용하여 아웃풋 기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대상 17개 기업 중 1개사는 효율적이고, 2개사는 부적합한 규모로 비효율적이며, 나머지는 생산기술과 규모, 경영수준이 미흡해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중국의 중소 IC기업은 투입 자원을 적절히 축소하고, 기술혁신 관리를 통해 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높여야 함을 제시한 것이다. 향후 맘퀴스트 분석을 통해 중국 중소 IC 회사의 동적 효율성 분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R&D와 규모의 영세성이 산업별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R&D and Smallness of Scale on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by Industry)

  • 김정환;이동기;이부형;주원
    • 벤처창업연구
    • /
    • 제2권4호
    • /
    • pp.71-102
    • /
    • 2007
  •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는 R&D 투자를 포함한 기술진보 요인이 TFP의 결정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실증연구는 많았으나, 산업 분석에 있어서 규모의 경제가 TFP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이 많지 않고 또 이들 연구들의 대부분이 비모수적 멤퀴스트 생산성지수 분석이나 확률적 변경생산함수 모형을 사용함으로써 개별 독립변수가 TFP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성장회계방정식 요인 분해를 통해 산업별 TFP 증가율을 도출하고, 산업별 TFP의 영향 요인으로 R&D 투자와 규모의 경제(산업별 영세성)를 고려한 실증분석 모델을 구축하여 TFP 결정요인에 대해 실증 분석하였다. 우선 전체 15개 산업 기준 TFP 증가율을 보면 1993${\sim}$1997년 연평균 약 3.8%에 불과했으나, 외환위기 이후 1999${\sim}$2000년 연평균 7.8%로 상승하였다. 한편 1993${\sim}$2000년 사이의 산업별 TFP 연평균 증가율을 보면 IT 제조업 부문인 전기전자기기제조 부문이 11.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구 및 기타 제품 제조는 -0.4%를 나타냈다. 서비스산업의 경우에는 운수 창고 통신 부문이 7.3%로 전기 수도 가스 2.9%, 도소매 음식 숙박-3.7%보다 훨씬 높은 TFP 증가율을 보였다. TFP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R&D와 TFP와의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는 유의성이 검증되지 않은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나, 전체 종사자 중 자영업주 및 무급가족 종사자수를 산업별 영세성을 나타내는 대리변수로 사용한 모델에서의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산업별 고유의 규모의 영세도를 대리하는 변수들의 추정 계수의 부호는 일관되게 한 산업의 규모의 영세도가 높을수록 그 산업의 TFP 증가율이 낮아짐을 나타내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