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in Ingredient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27초

버섯재배용 배지재료의 성분분석 (Composition analysis of raw material constituting the medium for mushroom cultivation)

  • 김선영;정민화;김민근;임착한;김경희;김태성;김동성;정종천;홍기성;류재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08-213
    • /
    • 2013
  • 버섯의 혼합배지에 사용되는 배지원료의 아미노산과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순단백질(아미노산) 함량은 대두박이 44.02%로 가장 높았고, 건비지가 31.5, 면실박이 30.6%로 나타났다. 주요 질소원 배지지료의 비단백태질소화합물(NPN)의 조단백질에 대한 비율은 대두박이 2.4%, 건비지는 5.6%였지만, 탄소원 배지재료인 미강과 밀기울은 17.6%로써 높았다. 조단백질/가격(원)은 채종박이 6.0으로 가격대비 조단백질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균사생장에 관여하는 가용성무질소물(NFE)는 알파콘이 72.9%, 소맥피B가 57.2%로 높았다. 산성세제불용섬유(ADF)는 콘콥이 51.88%로 높았는데, 잣버섯 등 갈색부후균이 이용하기 어려운 리그닌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SKH-1 Hairless Mice에서의 히알루론산 경구 투여를 통한 피부 광노화 개선 효과 (Anti Photoaging Effects of Hyaluronic Acid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in SKH-1 Hairless Mice)

  • 이성진;서윤희;윤민규;유희종;최수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41-94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HA에 대하여 UVB로 주름을 유도시킨 hairless mice에게 경구 투여를 하였을 때, 주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쥐는 UV를 쪼여 광노화를 진행하였으며, HA는 UVB에 노출시키기 4주 전부터 투여하여 총 14주 동안 투여하였다. 주름 개선 평가는 replica 제작하여 주름의 길이, 깊이, 개수, 두께로 평가하였다. 또한, 피부의 조직학적 평가를 통해 진피층 내 교원섬유와 탄력섬유의 양과 형태를 관찰하였다. 10주 동안의 HA를 급여하였을 때 주름의 깊이, 두께, 개수를 측정한 주름 개선 평가에서 세 항목 모두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HA의 160 mg/kg 농도에서는 주름의 깊이는 $19.44{\pm}0.75{\mu}m$, 주름 수는 $654.00{\pm}98.34$, 주름두께는 $1.35{\pm}0.08mm$로 양성 대조군(RA)의 결과(주름깊이; $19.28{\pm}0.95{\mu}m$, 주름 수; $953.57{\pm}83.54$, 주름두께; $1.34{\pm}0.07mm$)와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며, 우수한 피부 광노화 개선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주름길이의 결과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HA의 섭취로 인한 교원섬유 및 탄력섬유 염색을 통한 조직학적 평가에서는 UV에 의해 밀도가 엉성하고 배열이 불규칙적이던 섬유들이 개선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HA를 경구 투여 시 UV로부터 유도된 광노화 억제 및 피부주름 개선에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17세기 이전 조선시대 과정류의 문헌적 고찰 (An Investigation on 'Kwa-Jung';Traditional Korean Confectionery Items, Found in Korean Literatures Prior to the 17th Century)

  • 조신호;정낙원;최영진;김은미;원선임;차경희;김현숙;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12-324
    • /
    • 200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ames and various types of "kwa-jung" along with their recipes and ingredients occurring in Korean cookbooks published before the 17th century. The kwa-jungs were classified into 7 groups including Yoomilkwa, Yookwa, Dasik, Junkwa, Kwapyun, Yutganjung and Dang. A total of 72 kinds of kwa-jung were found. 26 kinds of Yoomilkwa, 18 kinds of Yookwa, 7 kinds of Dasik, 10 kinds of Junkwa, 1 kind of Kwapyun, 3 kinds of Yutganjung and 8 kinds of Dang. Among the types of Yoomilkwa, Yackwa was recognized as the best food according to the references. Also the cooking methods for items had a tendency to become simpler as society became modernized. Original and rare Ingredients were often substituted with other items that could be found more easily where people lived As recorded, the Yookwa group included kangyung, sanja, and bingsakwa. And as society became modernized, people tended to buy Yookwa in the store rather than making it at home due to its complicated and often difficult cooking process. The Dasik items were a kneaded mixture of flour, or the flour of chestnuts, with honey. These were formed into various patterns like birds, animals, butterflies, tree leaves and flowers, or as ki-wha by using printing cooking utensils Honey was used as a sweetener and as a combining material. The Junkwa consisted of roots or fruits that could be easily obtained these cooked or raw foodstuffs were then mixed with sugar and simmered. The Kwapyun used sour fruit juices as a main ingredient. These were then combined with sugar and simmered and allowed to harden. Then they were cut into square shapes after cooling. Yutkangjung was a mixture of yut, chochung, honey or syrup and pine nuts. which was combined over low heat. After mixing and stirring it was cut into square shapes. Finally, the Yut was typically cooked with grains and powdered malt and stirred until thickened.

가축용 생균제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한 양파즙 발효의 균체성장과 항산화 활성 (Cell Growth and Antioxidant Activity on Onion Juice Fermentation by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as Animal Probiotics)

  • 장우경;조상범;김동운;이상석;김수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729-1737
    • /
    • 2010
  • 본 연구는 양파즙을 이용하여 가축 사료첨가제용 Lactobacillus plantarum의 배양 최적화를 위하여 수행되었다. 양파즙의 첨가수준이 균체성장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을 때, 그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모두 높아졌다. 양파즙, 설탕 그리고 yeast extract를 배지성분요인으로 선택하였고, 배지 내 성분요인들의 혼합비율에 의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24 개의 실험들로 구성된 완전 요인 배치법을 이용하여 요인들의 주효과와 상호작용을 조사하였다. 균체성장과 항산화 활성에 대한 유의성 있는 긍정적 주효과는 각각 yeast extract와 양파즙에서 나타났다. 유의적인 상호작용으로는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설탕와 yeast extract 사이에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양파 600 g/l, 설탕 15 g/l 및 효모추출물 5 g/l의 최적 배지조성을 선발하였다. 얻어진 최적배지의 효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5 l 발효기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최대 균체 성장량은 배양 12시간째에 $9.7\;{\log}_{10}$ (CFU/ml)로 나타났다. 배양 마지막인 20시간 때에는 $8.9\;{\log}_{10}$ (CFU/ml)의 균체 성장량을 보였으며 이는 예측된 $9.01\;{\log}_{10}$ (CFU/ml)과 매우 유사한 결과였다. 배양액의 항산화 활성은 모든 배양 시간대에서 약 60~65%로 유지되었으며, 이것은 예측된 값(47.1%)보다 훨씬 우수하였다.

굴김치 숙성에 따른 노로바이러스 대체 모델 Feline Calicivirus의 불활성화 (Inactivation of a Norovirus Surrogate (Feline Calicivirus) during the Ripening of Oyster Kimch)

  • 신순범;오은경;유홍식;이희정;김지회;박큰바위;권지영;윤호동;손광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415-420
    • /
    • 2010
  • In Korea, oysters are used as an ingredient of Kimchi (Korean pickled cabbage) in early winter. Although viral contamination of oysters, including contamination by norovirus, can provoke gastroenteric illness, little is known of the epidemiological relationship to outbreaks. We postulated that Kimchi ripening can reduce the infectivity of norovirus, in order to test this hypothesis, we carried out a model experiment. Since norovirus is currently regarded as non-culturable, feline calicivirus (FCV) was used as a surrogate to examine the activation of norovirus with Kimchi ripening. In commercial well-prepared Kimchi, the infectivity ($TCID_{50}$) of FCV decreased by 2 log every 12 hours and reached the limit of detection after 48 hours during over-aging at $25^{\circ}C$. During storage at $4^{\circ}C$, the infectivity ($TCID_{50}$) of FCV decreased slowly and reached 5.00 $TCID_{50}$ after 48 hours. The low pH appears to affect the infectivity of FCV directly via organic acids produced by ripening during over-aging and storage. In neutralized lab-prepared Kimchi (pH 7.0), the infectivity ($TCID_{50}$) of FCV also decreased and reached the limit of detection after 72 hours at $4^{\circ}C$. This indicates that there are substances beside organic acids in Kimchi that originate from the raw materials and are produced during ripening. Among the raw materials, salt-fermented anchovies and garlic showed high direct antiviral activity. The main factor decreasing the infectivity of FCV in Kimchi was the high acidity caused by organic acids, regardless of the type, produced by ripening. Furthermore, unknown secondary products of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Kimchi ripening and antiviral materials originating from raw material might contribute to the decreased infectivity of FCV, the surrogate of norovirus.

고혈압 환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한방 다류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Tea Products for Hypertension Patients with the Mixed Medicinal Herbal Extracts)

  • 안병용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049-1053
    • /
    • 2009
  • 본 연구는 두충을 주 원료로 고안된 한방 혼합 다류가 고혈압 질환자의 혈압, 혈청지질 및 혈액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한방 혼합 다류를 시험 4주간 복용한 그룹과 시험 전 그룹을 비교한 결과, 수축기 혈압은 167.14 mmHg에서 134.86 mmHg로, 이완기 혈압은 100.00 mmHg에서 87.10 mmHg로 뚜렷하게 저하되었다. 혈청지질 중 총콜레스테롤(TC), 고밀도-콜레스테롤(HDL-C), 저밀도-콜레스테롤(LDL-C)의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AI)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반면, 한방 혼합 다류를 복용 시 중성지방(TG) 농도가 237.10 mg/dL에서 145.00 mg/dL로 강하게 감소되었다. 시험 4주 후와 시험개시 전의 혈액학적 지표(적혈구, 백혈구, 헤마토크리트, 헤모글로빈, 혈소판 및 호모시스테인)를 비교한 경우, 유의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는 반면 평균 적혈구 혈색소 농도(MCHC)는 유의적으로 2.70%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두충을 주 원료로 고안된 한방 혼합 다류는 중성지방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혈압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추정하며, 평균 적혈 수혈 색소 농도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 PDF

한국(韓國) 재래종(在來種) 지모(知母)의 특성비교(特性比較)에 따른 유연관계(類緣關係) 분석(分析) (Classification of Korean Native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by Cluster Analysis)

  • 한승호;박상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66-275
    • /
    • 1997
  • 지모는 야생에서 수집하여 순화재배하고 있는 약용작물로서 근경을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주성분은 사포닌으로서 발한, 진통, 이뇨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시험은 전국 각지에서 수집한 지모 재래종 20계통의 작물학적 특성조사로 수집 재래종간 유연관계(類緣關係)를 밝혀 지모의 재래종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1. 화경수, 화축장 등과 같은 화경기관에 관련된 특성들의 변이가 엽장, 근경길이 등 지상부 또는 지하부에 관련된 특성들의 변이 보다 높았다. 2. 지상부 생육이 왕성할수록 화경장, 화경수등 생식기관도 잘 발달되었으나 화경의 발달은 엽의 엽록소함량과 부의 상관관계 를 나타내었다. 3. 지하부 특성은 업의 생육특성보다 화경관련 형질과 상호 관련성 이 높았다. 4. 중심 연결법에 의한 군집 분석결과 크게 2 group으로 분류되었는데 A group은 B group에 비하여 엽수, 화경수가 많고 화경장, 화경직경이 길고 굵으며 지상부 건물중이 무거운 등 지상부 생육이 왕성하였다. 5. A group은 잎의 크기, 화축장 및 화경직경에 의하여 다시 2개군으로 분류되었고 B group은 엽수, 화경수, 지상부 건물중 등에 의하여 2개군으로 분류 되었다.

  • PDF

영천 신월동삼층석탑의 재질특성과 훼손도 정량평가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Quantitative Deterioration Assessment of the Sinwoldong Three-storied Stone Pagoda in Yeongcheon, Korea)

  • 이정은;이찬희;채성태;정영동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9-360
    • /
    • 2010
  • 영천 신월동삼층석탑(보물 제465호)은 주로 담회색의 정동질 알칼리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구성광물은 흑운모, 석영, 각섬석, 정장석 및 사장석이다. 이 탑은 기단부의 팔부중상을 중심으로 황갈색 및 흑색 변색이 심하며, 옥개석은 조각된 부분을 중심으로 탈락된 암편 등을 시멘트 몰탈로 보수한 흔적이 많다. 이 석탑의 전면에 걸쳐 적외선열화상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세균열과 박리 및 박락 현상은 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 변색 부위에 대한 휴대용 XRF 측정 결과, 변색 지점을 중심으로 Fe(평균 5,599ppm)와 S(평균 3,270ppm)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흑색 오염물로 피복된 부위는 Mn 함량(평균 2,155ppm)이 높게 검출되었다. 이는 암석 성분의 유리에 의한 무기오염물과 생물체의 고사에 의한 유기오염물이 공존하는 것이다. 전체적인 물리적 풍화는 북면(42.6%)과 남면(40.5%)에서 높게 나타나며 서면(30.6%)와 동면(34.0%)은 비슷한 훼손 양상을 보였다. 또한 변색 및 생물학적 풍화는 각각 북면(31.8%)과 동면(11.8%)이 가장 심하였다. 따라서 이 석탑은 생물 오염에 대한 세정과 약화된 재질에 대한 보존처리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왕겨펠렛 생물담체 개발 및 이를 이용한 bio scrubber형 악취제거 시스템 성능평가 (Developmemt of Rice Husk Pellets as Bio-filter Media of Bio Scrubber Odor Removal System)

  • 배지열;한상종;박기호;김광수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54-566
    • /
    • 2018
  • The rice husk contains nutrients which can be easily utilized by microorganisms, and also has a water retaining ability, which played a crucial part in enabling it to become a biofilter media.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rice husk pellet bio-scrubber as a microbiological carrier. The pelletization experiment of rice husk as a biological media was performed using PVA and EVA binder. Also, the feasibility tests of rice husk as a biological media for odor removal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know whether rice-husk contains useful components as a media for microbiological growth or not. Lastly, a combined test for odor gas absorption and biological oxidation was conducted using a lab scale bio-filter set-up packed with rice-husk pellets as wet-scrubber. The major components of the rice husk were carbon, hydrogen, nitrogen, and oxygen, while carbon acted as the main ingredient which comprised up to 23.00%. The C : N : P ratio was calculated as 45 : 1 : 2. Oxygen uptake rate, yield and decay rate of the rice husk eluent was calculated to be $0.0049mgO_2/L/sec$, 0.24 mgSS/mgCOD and 0.004 respectively. The most stable form of rice husk pellets was produced when the weight of the rice husk, EVAc, PVAc, and distilled water was 10 : 2 : 0.2 : 10. The prepared rice husk pellets had an apparent density of 368 g/L and a porosity of 59.00% upon filling. Dry rice husks showed high adsorption capacity for ammonia gas but low adsorption capacity for hydrogen sulfide. The bio-filter odor removal column filled with rice husk pellets showed more than 99.50% removal efficiency for NH3 and H2S gas. Through the analysis of circulation water, the prime removal mechanism is assumed to be the dissolution by water, microbial nitrification, and sulfation.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microorganisms could survive well on the rice husk pellets, which provided them a stable supply of nutrients for their activity in this long-term experiment. This adequate supply of nutrients from the rice husk enabled high removal efficiency by the microorganisms.

HL에 의한 프로비타민-$B_5$ 액정의 형성과 보습효과 (Formation of Provitamin-$B_5$ Liquid Crystal with Hydrogenated Lecithin and Its Effectiveness of Moisturizing Activity)

  • 김인영;조춘구;유희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1-109
    • /
    • 2003
  • Provitamin $B_5$ liquid crystal ($PVB_5$-LC) was the new emulsion system to enhance moisturizing activity on the skin. In this study, it should be mentioned that PVB5-LC could be prepared with the main compound of hydrogenated lecithin (HL) in oil-in water (O/W) emulsion. The key ingredient of humectants was contained 2% of provitamin $B_5$ ($PVB_5$) into the $PVB_5$-LC. The best suitable compositions of $PVB_5$-LC were made from 4.0 wt% of HL, 4.0 wt% of cetostearyl alcohol (CSA) as emulsifier and gelling agent, 3.0 wt% of 1,3-butylene glycol (1,3-BG) and 2.0 wt% of glycerin as moisturizers, 3.0 wt% of cyclomethicone (CMC), 3.0 wt% of isononanoate (ININ), 3.0 wt% of capric/caprylic triglyceride (CCTG), 3.0 wt% of macadamia nut oil (MNO) as emollients. As the analytical result of $PVB_5$-LC, it could know that the distribution range of particle size was 0.14 to 12.37 m level (mean size 3.24 m). It was certified the multi lamellar phase around the droplet of liquid crystal when observed the droplet particles through a polarization microscope. And it clinically was tested the effectiveness of moisturizing activity (in-vivo) compared with control sample (O/W emulsion). The effectiveness of moisturizing activity of $PVB_5$-LC with Skincon-200EX after 6 hours went up 49.0% (p<0.05, n=20) whereas the effectiveness of moisturizing activity of generally O/W emulsion cream was 25.7% (p<005, n=20). Also, in case of Comeometer CM-825, the moisturizing activity of $PVB_5$-LC after 6 hours rose 36.6% (p<0.05, n=20) whereas the effectiveness of moisturizing activity of generally O/W emulsion cream was 10.8%. Therefore, it was known that the effectiveness moisturizing activity of $PVB_5$-LC with HL was remarkably superior compared with O/W emulsion cr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