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illard browning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on Inhibition of Burdock Polyphenol Oxidase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 Kim, GyeYeong;Choi, Heesun;Park, Inshik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53-859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MRPs) on enzymatic browning of burdock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The MRPs were prepared by heating glucose and amino acids at $90^{\circ}C$, which served to produce a strong inhibitory effect on burdock polyphenol oxidase. As the reaction time of the solution containing glucose and amino acid increased at $90^{\circ}C$, the production of MRPs increased and intensity of the brown color deepened. When MRPs were prepared by heating at $90^{\circ}C$ for five hours, the absorbance of MRPs from glucose and lysine was 6.44, while those of glucose and glycine was 1.95. The MRPs synthesized from the glucose and lysine also reduced the pH of MRPs from 5.60 to 4.51, but those from glucose and glycine decreased slightly from 5.57 to 5.33. The Michealis-Menten constant value ($K_m$) of burdock PPO with pyrocatechol as a substrate was 16.0 mM, and MRPs were a non-competitive inhibitor against burdock PPO.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RPs was measured by evaluating i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DPPH radicals, ABTS radicals and reducing power. The color intensity of MRPs produced by lysine and glucose were deeper than that produced by glucose and glycine. It was also found that MRPs produced from glucose and lysine exhibited stronger anti-oxidant properties than those produced by glucose and glycine.

동결건조 어육의 단백질 Cross-linking에 관한 연구 (Protein Cross-linking in Freeze Dried Fish Meat)

  • 이강호;정우진;서재수;정인학;김충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0-108
    • /
    • 198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protein cross-linking in freeze-dried meat of flounder (Limanda herzensteini). Changes in solubility or extractability of proteins and electrophoretic patterns of the extracted proteins were determined to monitor the cross-linking during the storage of freeze-dried meat. Development of nonenzymatic browning and the loss of in vitro protein digestibilily were also measured to assess their influences on the changes of function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proteins. In addition, the effects of lysine added, and removal of fat and water extractives were also mentioned. The extractability of protein decreased upon storage time and temperature, and the loss of solubility of myosin was evident. In case of the samples stored at $5^{\circ}C$ for 150 days, the extractability of protein decreased $26.4\%$, while that of the samples stored at $20^{\circ}C$ for 60 days decreased about $39.7\%$. And it was noted that the loss of solubility of myosin was $68.3\%$ and $98.1%$ for the same storage conditions, respectively. It was noteworthy that the samples treated with $L-lysine{\cdot}HCl$ seemed to prevent more or less the loss of protein solubility, in that, even stored at $20^{\circ}C$ for 120 days, revealed only $57.03\%$ decrease. The nonenzymatic browning was proceeded with the increase of storage temperature, especially, in the samples treated with glucose. This suggests that the decrease in extractibility of myosin was accompanied by the extent of browning. But the browning was retarded in defatted samples. The in vitro apparent protein digestibility was also higher in the samples defatted or water extracted. It was suggested from these results that changes in properties of proteins in freeze dried fish meat were led by the protein cross-linking which was attributed to Maillard type of reactions and protein-lipid interactions.

  • PDF

건조굴 저장중의 갈변방지 2. 아황산소오다 처리 및 항산화제 효과 (INHIBITION OF BROWNING REACTIONS OCCURRING IN THE STORAGE OF DRIED OYSTER 2. Inhibitory Effect of Sodium Sulfite Treatment and the Addition of Antioxidants)

  • 최진호;이강호;김무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22
    • /
    • 1977
  • 건조굴 가공시 생굴의 수세${\cdot}$자숙과정에서 아황산 소오다로서 처리하여 건조굴은 저장할 때 일어나는 갈변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고 항산화제를 첨가한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황산소오다의 침지농도별, 침지시간별 처리효과를 비교하면 전보에서 얻은 생굴중의 환원당과 tyrosine의 제거효과와 같이 건조굴의 저장후에도 0.5M 용액에서 6분간 침지한 후, 60분간 수세한 것의 효과가 가장 좋았다. 침지용액을 산성으로 조절하는 것도 도움이 되었다. 2. 저장중의 TBA치, 지방의 산화적 갈변 및 당아미노 반응에 의한 갈변도의 추세를 검토해 보면 지방산화적 갈변이 주도적이 였고 당-아미노반응 또한 완만하게 특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두 반응은 서로 관련하고 있어 아황산염의 처리가 지방의 산화적 갈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황산화제의 첨가는 주도적인 갈변요인인 지방의 산화를 억제함은 물론, 아황산염의 처리와 항산화제처리를 병행하였을 때 효과는 상승적으로 나타나 0.5M 아황산소오다 처리와 항산화제를 병용했을 때가 가장 효과가 좋았다.

  • PDF

Caramel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roducts of caramel-type-browning reaction)

  • 신민자;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29-639
    • /
    • 2000
  • 10$0^{\circ}C$ 이상에서 당단독, 당과 유기산 또는 유기산염의 caramel 갈색화 반응과 당과 아미노산의 Maillard 갈색 화 반응의 갈색화 물질의 항산화성을 측정하고자 0.1M 의 xylose(XY), glucose(GL), sucrose(SU)를 단독으로, 0.1M glucose에 0.02M의 citric acid를 혼합한 glucose-citric acid(GLCA), 0.02M의 sodium citrate를 혼합한 glucose-sodium citrate(GLSC)와 0.1M의 glycine을 혼합한 glucose-glycine(GLGC)을 80, 120 및 14$0^{\circ}C$에서 12, 24시간 가열하여 얻은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수소공여능(HDA)에 의한 항산화성을 측정하였으며 이들의 무수 ethanol 추출물의 옥배유 기질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여 기존 항산화제(TBHQ, TOCO)와 비교,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Caramel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수소공여능(HDA)에 의한 환원력은 갈색화 반응온도 및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되었으며 갈색도가 큰 반응계일수로 환원력이 크게 나타났다. XY, GL, SU, GLCA, GLSC 및 GLGC 갈색화 반응액의 수소공여능은 8$0^{\circ}C$에서 24시간 반응 후 각각 0.290, 0.299, 0.281, 0.301, 0.362 및 0,387로 그 크기는 GLGC > GLSC > GLCA > GL > XY > SU 순이었다. 12$0^{\circ}C$에서 24시간 반응 후의 GLCA와 GLGC에서 갈색도의 증가와는 달리 HDA는 오히려 낮아졌으며, 14$0^{\circ}C$ 에서는 대부분의 갈색화 반응액의 HDA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높아졌지만 GLCA와 GLGC의 HDA는 낮아져서 각각 0.275 및 0.305로 된 반면에 GLSC의 HDA는 계속 증가하여 0.543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의 HDA는 GLSC > SU > GL > GLGC > XY > GLCA 순이었다. 2.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무수 ethanol 추출물을 첨가한 옥배유의 항산화 효과는 TBHQ에는 못미치나 TOCO 보다는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것도 있었다. 8$0^{\circ}C$에서 24시간 진행된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경우는 TBHQ > GLCA > GLGC > TOCO > SU > XY > GL > GLSC > control의 순으로 8$0^{\circ}C$에서는 갈색화 반응 중간생성물은 모두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GLCA의 항산화 효과는 TBHQ 보다는 크게 떨어지나 GLGC, TOCO보다는 높은 항산화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120및 14$0^{\circ}C$에서 24시간 진행된 갈색화 반응생성물의 항산화 효과는 SU, GLCA에서만 보였으며 이들의 항산화 효과는 Maillard형 갈색화 반응액인 GLGC의 항산화 효과 보다 높았다. 그 크기는 TBHQ > SU > TOCO > GLCA > control > GLSC > GLGC > XY > GL의 순으로 80, 120및 14$0^{\circ}C$에서의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항산화성은 8$0^{\circ}C$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볼 때 각종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수소공여능에 의한 환원력과 항산화 효과의 관계는 환원력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효과는 증가하지 않고 감소하여 갈색화 반응물의 항산화 효과와 환원력 사이에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 같았다.

  • PDF

마이크로웨이브 Roasting 중 Cocoa Bean의 이화학적 성분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Cocoa Beans during Microwave Roasting)

  • 김석신;이주희;장규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814-821
    • /
    • 2000
  •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cocoa bean의 roasting을 수행하여 pH, 적정산도, 색의 변화, 갈변도, 유기산의 변화, 당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pH는 roasting 온도와 시간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었고 적정산도 역시 roasting 여부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나 roasting 온도와 시간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색의 변화, 갈변도, 당조성은 roasting 온도와 시간에 따라 변화하였으나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변화의 폭이 작았고 이로부터 Maillard reaction이 대조군에 비해 덜 일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기산은 raw bean에 비해 roasting을 한 모든 시료에서 증가하였으며 그 정도는 유기산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 PDF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기능성 연구 2. Linoleic acid, Ox-brain autoxidant및 Fe$^{2+}$ ADP/NADP system에서 항산화 활성 중심으로 (Function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Product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 2. Linoleic acid, Ox-brain autoxidant and Fe$^{2+}$ ADP/NAD system)

  • 이종원;손형옥;도재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35-40
    • /
    • 2000
  • 홍삼에서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항산화 활성을 linoleic acid, Ox-brain autoxidant, Fe$^{2+}$ ADP/NAD 및 cumene hydoperoxide 시스템에서 조사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Linoleic acid :투석내액의 갈변물질보다 투석외액의 갈변물질 쪽에서 hydroperoxy radical 저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S-2의 산화저해율은 S-1, L시험구보다 적은 농도에서 저해율이 높았다. S-2의 산화저해율은 49,52, 62.44 및 97.5%로 나타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linoleic acid 산화저해율은 높았다. 2. Ox-brain autoxidant : 자동산화에의한 항산화활성을 조사한 결과, 투석내액의 갈변물질보다 투석외액의 갈변물질 쪽에서 자동산화에 의한 항산화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S-2의 항산화 활성은 22.5, 31.7, 31.9 및 33.5%로 나타났다. 3. Fe$^{2+}$ ADP/NAD 및 cumene hydroperoxide : 횐쥐 간의 microsome 분획을 분리하여 수용성 갈변물질의 ADP/NABP 및 cumene hydroperoxide 항산화 활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시험구에서 반응 초기에 항산화 활성이 있으나, 반응 시간이 길수록 항산화 활성은 감소하였다. 그 활성의 순서는 S-2>S-1>L순으로 나타났으나 항산화 활성의 강도는 전체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 PDF

마른명태 저장중(貯藏中)의 수분활성(水分活性)과 갈변반응(褐變反應)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s in Dried Alaska Pollak Stored at Different Water Activities)

  • 김무남;최호연;이강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1-47
    • /
    • 1973
  • In the present work, the quality stability of sun-dried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was discussed in the aspects of non-enzymatic discoloration as a function of relative humidity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20^{\circ}C)$. Frozen Alaska pollack was dressed, filleted, dried for 48 hours in the open air, and finally stored in cylindrical acrylic chambers which contained saturated specific salt solutions proposed by Rockland(1960) for humidity control. The color development of the product was analyzed by spectrophotometry at 10 day-intervals during the storage. Lipid oxidation was measured as TBA value at wavelength of 538nm. And browning pigments were extracted, divided into two fractions and measured at 460nm: one was chloroform-methanol (2:1 v/v)soluble fraction attributed to lipid oxidation, and the other was water dialyzed fraction caused by so called Maillard reaction. The TBA value showed a maximum on 30 day storage, hereafter, intended to decrease gradually.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brown pigment development in water dialyzed fractions as well as in chloroform-methanol soluble fractions was lower at 34 to 45%RH than at any other case, and propagation of lipid oxidation was also diminished at the same levels of humidity. From the facts described previously, it is recognized that storage at 34 to 45%RH provides higher quality stability for sun-dried Alaska pollack.

  • PDF

둥굴레 근경의 가열조건에 따른 갈변반응 특성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Maillard Reaction Characteristics under Various Roasting Conditions of Polygonatum odoratum Root)

  • 박난영;정용진;이기동;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47-654
    • /
    • 2000
  •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둥굴레 근경의 가열조건에 따 라 갈변 반응기질과 관능적 특성을 모니터링하였다. 총 유리당은 중심점에서 최소점을 나타 내었고 그 전후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총 유리아미노산은 볶음온도가 증가하고 볶 음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 중 threonine, glycine 및 serine의 함 량응ㄴ 시간이 경\ulcorner마에 따라 초기함량의 91~94%가 감소함을 보였다. 또한 갈색도는 볶음 시간 18분까지 볶음온도와 볶음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그 이후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둥굴레의 맛, 색, 향에 대한 관능적 평가는 5% 이내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전반적 기호도는 볶음온도는 13$0^{\circ}C$에서 볶음시간 15분과 25분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에 대한 관능적 품질과 유리아미노산은 갈변반응의 다른 기질에 비하여 높은 수준에서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양조간장의 항산화작용 및 항산화성 물질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Soybean Sauce in Lipid Oxidation Process)

  • 문갑순;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37-542
    • /
    • 1987
  • 가열우육과 양조간장의 model system을 조제한 후 $6^{\circ}C$에서 5주간 저장할 때, 우육지방질에 대한 양조간장의 항산화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양조간장의 조합비율을 1/10, 2/10, 3/10, 4/10, 5/10수준으로 달리 했을 때 그 비율이 높을수록, 그리고 발효숙성기간을 0, 2, 4, 6개월로 달리한것들을 조합했을때 숙성기간이 긴 것일수록 항산화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양조간장의 항산화효과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유리아미노산 함량, 총phenol량과 Maillard형 갈색반응 물질 등에 대하여 숙성기간 변화양상을 관찰하고 또 항산화성과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갈변반응 물질이 가장 유력한 항산화효과의 원인 물질로 추정되었으며, 갈변물질과 환원력은 양조간장의 발효숙성 기간에 따라 항산화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소맥 gluten 산가수분해물을 이용한 마이야르 반응물질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from Hydrolyzed Wheat Gluten)

  • 김윤숙;문지혜;최인욱;최희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2-130
    • /
    • 2009
  • 본 연구는 식물단백 가수분해물(HVP)인 소맥 gluten 산가수분해물과 환원당(glucose, fructose, ribose)을 기본 원료로 하여 여러가지 반응온도, 반응시간, pH, 반응용매 등 다양한 반응조건 model system 하에서 MRP를 제조하였다. 이와 더불어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 특성, 관능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meat flavor에 근접하는 적절한 반응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반응온도와 압력, 시간 등 반응조건이 높아짐에 따라 갈변도와 항산화 활성효과는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고려하여 관능적 특성이 meat-like flavor에 근접하는 적당한 기질로 ribose/소맥 gluten 산가수분해물로 조합된 MRP를 선정하였다. R/HWG의 고기향 발현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이에 대하여 반응시간을 세분화한 결과 mild한 고기 냄새와 달콤한 향을 가져 높은 기호성을 나타낸 최적의 반응조건으로 oil-bath에서 140$^{\circ}C$, 30분의 온도와 시간을 설정하였다. 선정된 기질과 반응온도를 고정해두고 반응액의 pH가 변화됨에 따른반응 생성물의 반응성과 향미변화를 관찰하였는데 pH가 높아질수록 갈변도와 항산화 효과 모두 증가하나 pH 11에서 탄내 등을 나타내 관능적 평가가 낮아져 pH 9로 조정하는 것이 가장 좋았으며 풍미가 상당히 개선되었다. 이에 대하여 반응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반응용매로 증류수, 50% ethanol, 50% glycerol의 반응용매를 사용한 결과 증류수보다는 50% ethanol, 50% glycerol로 반응 시 DPPH radical 소거율과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이 더높았으며 50% glycerol을 사용한 경우가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관능평가에서 50% ethanol 사용 시 간장냄새와 다른 이취가 높았고 50% glycerol은 고기 향에 근접하였으나 높은 강도로 인해 기호도가 높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ribose/소맥 gluten 산가수분해물 반응계를 이용하여 물을 반응용매로 하여 pH 9로 조절하여 140$^{\circ}C$, 30분 동안 반응시킨 것이 고기향에 근접한 향의 발현에 가장 좋은 조건으로 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