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gnetic Materials

검색결과 3,870건 처리시간 0.031초

내측상과염 환자의 임상항목과 자기공명영상 항목 중 조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환자군이 갖는 인자에 관한 분석 (Clinical Assessments and MRI Findings Suggesting Early Surgical Treatment for Patients with Medial Epicondylitis)

  • 박형인;한석;이지숙;방진영;김영복;정현경;백지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613-623
    • /
    • 2021
  • 목적 내측 상과염 환자들 중 최종적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게 된 환자들의 임상 및 자기공명영상 인자들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내측 상과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에서 주관절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한 52명의 환자들을 역행적으로 조사하였다. 환자들의 인구통계학적 및 임상적 정보, 자기공명영상 소견들이 평가되었다. 모든 변수들은 보존적인 치료를 받은 환자군과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군 사이에서 비교되었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어떤 인자가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군과 연관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횡단면 및 관상면 공통 굴곡근 건의 파열 크기(p < 0.001, p = 0.013), 횡단면 및 관상면 공통 굴곡근 건의 이상 정도(p = 0.022, p = 0.003)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내측 측부 인대의 이상 정도(p = 0.025) 또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오직 공통 굴곡근 건의 횡단면 파열 크기(오즈비: 1.864; 95% 신뢰구간: 1.264~2.750)가 수술적 치료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 내측 상과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더 큰 횡단면 공통 굴곡근 건 파열을 동반한 환자들이 결과적으로 수술을 받게 되는 경향성이 보였다.

급성 통풍성 슬관절염과 패혈성 슬관절염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비교 (Comparison of MR Findings between Patients with Septic Arthritis and Acute Gouty Arthritis of the Knee)

  • 윤수영;추혜정;정해웅;이선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5호
    • /
    • pp.1071-1080
    • /
    • 2022
  • 목적 급성 통풍성 관절염과 패혈성 관절염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차이를 알아본다. 대상과 방법 2012년 10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패혈성 혹은 통풍성 관절염으로 확진된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한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패혈성 관절염과 급성 통풍성 관절염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으로 골수부종, 연부조직 부종, 농양 형성 여부, 활액막 비후 양상(엽상체, 층판, 미만성 선형 모양), 활액막 최대 두께와 관절액 양을 평가하였다. 통풍성 관절염(5명)과 패혈성 관절염(10명)을 윌콕슨 순위합 검정과 피셔 정확 검정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자기공명영상으로 평가된 각 소견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골수부종은 통풍성 관절염군에서 1건, 패혈성 관절염군에서 7건 관찰되었다. 연부조직 농양은 패혈성 관절염군에서만 관찰되었다. 활액막 비후양상은 통풍성 관절염군은 모두 미만성 선형 모양(100%), 패혈성 관절염군은 엽상체 모양(20%), 층판 모양(50%), 미만성 선형 모양(30%)으로 나타났다. 결론 통풍성 관절염과 패혈성 관절염은 자기공명영상 소견만으로 감별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층판 모양 활액막 비후나 골수부종, 연부조직 농양의 경우 패혈성 관절염에서 더 흔히 보였다.

방광암 환자의 다중 매개 자기공명영상에서 우연히 발견된 전립선암 또는 요로상피세포암종의 전립선 침범의 검출: 전립선 이미징 보고 및 데이터 시스템 버전 2.0을 사용한 후향적 연구 (Detection of Incidental Prostate Cancer or Urothelial Carcinoma Extension in Urinary Bladder Cancer Patients by Using Multiparametric MRI: A Retrospective Study Using Prostate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Version 2.0)

  • 윤상은;강병철;조현혜;박상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610-619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방광암 환자에서 전립선 Prostate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version 2 (이하 PI-RADS v2)가, 우연히 발견된 전립선암 또는 요로상피세포암종의 전립선침범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3 Tesla 다중 매개 자기공명영상에서 수술 전 영상을 촬영한 후, 근치적 방광전립 선절제술을 시행한 72명의 방광암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수술 전 영상 소견은 두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분석하였고, 수술 검체는 한 명의 병리과 의사가 평가하였다. 그 후, 전립선 PI-RADS v2의 결과와 병리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72명의 방광암 환자 중 29명이 전립선암(40.3%)이 있었고, 20명이 요로상피세포암종(27.8%)이 있었다. 스코어 4를 기준값으로 설정하였을 때, 전립선암을 예측하는 진단 정확도는 65.3%, 특이도는 90.7%, 양성 예측도는 66.7%였다. 또한 전립선암 또는 요로상피세포암종을 예측하는 진단 정확도는 47.2%, 특이도는 92.3%, 양성 예측도는 83.3%였다. 결론 정확도는 낮은 편이었지만, 양성 예측도와 특이도는 높은 편이었다. 따라서 전립선 PI-RADS v2에서 스코어 1, 2 또는 3에 해당되면 우연히 발견된 전립선암과 요로상피세포암종의 침범을 배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Comparative Performance of Susceptibility Map-Weighted MRI According to the Acquisition Planes in the Diagnosis of Neurodegenerative Parkinsonism

  • Suiji Lee;Chong Hyun Suh;Sungyang Jo;Sun Ju Chung;Hwon Heo;Woo Hyun Shim;Jongho Lee;Ho Sung Kim;Sang Joon Kim;Eung Yeop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5권3호
    • /
    • pp.267-276
    • /
    • 2024
  • Objective: To evaluat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susceptibility map-weighted imaging (SMwI) taken in different acquisition planes for discriminating patients with neurodegenerative parkinsonism from those without.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ingle-institution study enrolled consecutive patients who visited movement disorder clinics and underwent brain MRI and 18F-FP-CIT PET between September 2021 and December 2021. SMwI images were acquired in both the oblique (perpendicular to the midbrain) and the anterior commissure-posterior commissure (AC-PC) planes. Hyperintensity in the substantia nigra was determined by two neuroradiologists. 18F-FP-CIT PET was used as the reference standard. Inter-rater agreement was assessed using Cohen;s kappa coefficient.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SMwI in the two planes was analyzed separately for the right and left substantia nigra.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was applied to compar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the two planes. Results: In total, 194 patients were included, of whom 105 and 103 had positive results on 18F-FP-CIT PET in the left and right substantia nigra, respectively. Good inter-rater agreement in the oblique (κ = 0.772/0.658 for left/right) and AC-PC planes (0.730/0.741 for left/right) was confirmed. The pooled sensitivities for two readers were 86.4% (178/206, left) and 83.3% (175/210, right) in the oblique plane and 87.4% (180/206, left) and 87.6% (184/210, right) in the AC-PC plane. The pooled specificities for two readers were 83.5% (152/182, left) and 82.0% (146/178, right) in the oblique plane, and 83.5% (152/182, left) and 86.0% (153/178, right) in the AC-PC plan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agnostic performance between the two planes (P > 0.05). Conclusion: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SMwI performed in the oblique and AC-PC plane in discriminating patients with parkinsonism from those without. This finding affirms that each institution may choose the imaging plane for SMwI according to their clinical settings.

Automated Detection and Segmentation of Bone Metastases on Spine MRI Using U-Net: A Multicenter Study

  • Dong Hyun Kim;Jiwoon Seo;Ji Hyun Lee;Eun-Tae Jeon;DongYoung Jeong;Hee Dong Chae;Eugene Lee;Ji Hee Kang;Yoon-Hee Choi;Hyo Jin Kim;Jee Won Chai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5권4호
    • /
    • pp.363-373
    • /
    • 2024
  • Objective: To develop and evaluate a deep learning model for automated segmentation and detection of bone metastasis on spinal MRI. Materials and Methods: We included whole spine MRI scans of adult patients with bone metastasis: 662 MRI series from 302 patients (63.5 ± 11.5 years; male:female, 151:151) from three study centers obtained between January 2015 and August 2021 for training and internal testing (random split into 536 and 126 series, respectively) and 49 MRI series from 20 patients (65.9 ± 11.5 years; male:female, 11:9) from another center obtained between January 2018 and August 2020 for external testing. Three sagittal MRI sequences, including non-contrast T1-weighted image (T1), contrast-enhanced T1-weighted Dixon fat-only image (FO), and contrast-enhanced fat-suppressed T1-weighted image (CE), were used. Seven models trained using the 2D and 3D U-Nets were developed with different combinations (T1, FO, CE, T1 + FO, T1 + CE, FO + CE, and T1 + FO + CE). The segmentation performance was evaluated using Dice coefficient, pixel-wise recall, and pixel-wise precision. The detection performance was analyzed using per-lesion sensitivity and a free-respons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was compared with that of five radiologists using the external test set. Results: The 2D U-Net T1 + CE model exhibited superior segmentation performance in the external test compared to the other models, with a Dice coefficient of 0.699 and pixel-wise recall of 0.653. The T1 + CE model achieved per-lesion sensitivities of 0.828 (497/600) and 0.857 (150/175) for metastas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tests, respectively. The radiologists demonstrated a mean per-lesion sensitivity of 0.746 and a mean per-lesion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0.701 in the external test. Conclusion: The deep learning models proposed for automated segmentation and detection of bone metastases on spinal MRI demonstrated high diagnostic performance.

Improving Diagnostic Performance of MRI for Temporal Lobe Epilepsy With Deep Learning-Based Image Reconstruction in Patients With Suspected Focal Epilepsy

  • Pae Sun Suh;Ji Eun Park;Yun Hwa Roh;Seonok Kim;Mina Jung;Yong Seo Koo;Sang-Ahm Lee;Yangsean Choi;Ho Sung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5권4호
    • /
    • pp.374-383
    • /
    • 2024
  • Objective: To evaluate the diagnostic performance and image quality of 1.5-mm slice thickness MRI with deep learningbased image reconstruction (1.5-mm MRI + DLR) compared to routine 3-mm slice thickness MRI (routine MRI) and 1.5-mm slice thickness MRI without DLR (1.5-mm MRI without DLR) for evaluating temporal lobe epilepsy (TLE).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17 MR image sets comprising 1.5-mm MRI + DLR, 1.5-mm MRI without DLR, and routine MRI from 117 consecutive patients (mean age, 41 years; 61 female; 34 patients with TLE and 83 without TLE). Two neuroradiologists evaluated the presence of hippocampal or temporal lobe lesions, volume loss, signal abnormalities, loss of internal structure of the hippocampus, and lesion conspicuity in the temporal lobe. Reference standards for TLE were independently constructed by neurologists using clinical and radiological findings. Subjective image quality, signal-to-noise ratio (SNR), and contrast-to-noise ratio (CNR) were analyzed. Performance in diagnosing TLE, lesion findings, and image quality were compared among the three protocols. Results: The pooled sensitivity of 1.5-mm MRI + DLR (91.2%) for diagnosing TLE was higher than that of routine MRI (72.1%, P < 0.001). In the subgroup analysis, 1.5-mm MRI + DLR showed higher sensitivity for hippocampal lesions than routine MRI (92.7% vs. 75.0%, P = 0.001), with improved depiction of hippocampal T2 high signal intensity change (P = 0.016) and loss of internal structure (P < 0.001). However, the pooled specificity of 1.5-mm MRI + DLR (76.5%) was lower than that of routine MRI (89.2%, P = 0.004). Compared with 1.5-mm MRI without DLR, 1.5-mm MRI + DLR resulted in significantly improved pooled accuracy (91.2% vs. 73.1%, P = 0.010), image quality, SNR, and CNR (all, P < 0.001). Conclusion: The use of 1.5-mm MRI + DLR enhanced the performance of MRI in diagnosing TLE, particularly in hippocampal evaluation, because of improved depiction of hippocampal abnormalities and enhanced image quality.

Background Breast Parenchymal Signal During Menstrual Cycle on Diffusion-Weighted MRI: A Prospective Study in Healthy Premenopausal Women

  • Yeon Soo Kim;Bo La Yun;A Jung Chu;Su Hyun Lee;Hee Jung Shin;Sun Mi Kim;Mijung Jang;Sung Ui Shin;Woo Kyung Moo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5권6호
    • /
    • pp.511-517
    • /
    • 2024
  • Objective: To prospectively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menstrual cycle on the background parenchymal signal (BPS) an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of the breast on diffusion-weighted MRI (DW-MRI) in healthy premenopausal women. Materials and Methods: Seven healthy premenopausal women (median age, 37 years; range, 33-49 years) with regular menstrual cyc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W-MRI was performed during each of the four phases of the menstrual cycle (four examinations in total). Three radiologists independently assessed the BPS visual grade on images with b-values of 800 sec/mm2 (b800), 1200 sec/mm2 (b1200), and a synthetic 1500 sec/mm2 (sb1500). Additionally, one radiologist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to measure the BPS volume (%) and ADC values of the BPS (ADCBPS) and fibroglandular tissue (ADCFGT). Changes in the visual grade, BPS volume (%), ADCBPS, and ADCFGT during the menstrual cycle were descriptively analyzed. Results: The visual grade of BPS in seven women varied from mild to marked on b800 and from minimal to moderate on b1200 and sb1500. As the b-value increased, the visual grade of BPS decreased. On b800 and sb1500, two of the seven volunteers showed the highest visual grade in the early follicular phase (EFP). On b1200, three of the seven volunteers showed the highest visual grades in EFP. The BPS volume (%) on b800 and b1200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ree of the six volunteers with dense breasts in EFP. Three of the seven volunteers showed the lowest ADCBPS in the EFP. Four of the seven volunteers showed the highest ADCBPS in the early luteal phase (ELP) and the lowest ADCFGT in the late follicular phase (LFP). Conclusion: Most volunteers did not exhibit specific BPS patterns during their menstrual cycles. However, the highest BPS and lowest ADCBPS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EFP than in the other menstrual cycle phases, whereas the highest ADCBPS was more common in ELP. The lowest ADCFGT was more frequent in LFP.

만성 콩팥병 환자들에서 동맥 스핀 표지 기법을 이용한 뇌 관류상태의 평가 (Evaluation of Cerebral Blood Flow Using Arterial Spin Labeling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 오세원;박삼엘;조남준;길효욱;이은영;오형근;박성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4호
    • /
    • pp.912-919
    • /
    • 2020
  • 목적 만성 콩팥병 환자에서 뇌 관류상태를 측정하여 정상 대조군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만성 콩팥병으로 혈액 투석을 받는 환자 36명과 정상 대조군 36명에 대해 동맥스핀 표지 기법을 이용한 자기공명영상으로 뇌의 관류상태를 측정한 뒤 이를 voxel-wise로 분석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부위를 표준 영상 공간에 나타냈다. 결과 만성 콩팥병 환자들은 우측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과 좌측 두정엽과 후두엽의 백질 부위에 걸쳐 큰 군집의 형태로 관류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 양측 시상 부위와 중뇌, 뇌교 및 양측 소뇌에서도 관류 증가 소견을 보였다(p < 0.01, family-wise error corrected). 결론 만성 콩팥병 환자에서 뇌의 관류는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요독증 물질의 독성에 의한 미시적인 혈관 및 혈관 주위 구조물의 손상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췌장선암 환자의 수술 전 CT 단독 평가와 추가적 MRI 평가에 따른 생존 결과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Survivor Outcomes between Preoperative Evaluation Using CT Alone and Combined CT and MRI in Patients with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 이지은;김성현;이순진;최서연;이선영;이보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638-653
    • /
    • 2021
  • 목적 췌장선암으로 완치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수술 전 CT만 시행 받은 환자군과 추가적 MRI를 시행 받은 환자군의 재발 양상 및 생존율을 비교하고, 첫 재발 위치에 따른 예후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췌장선암으로 R0 수술을 시행 받은 15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103명은 수술 전 CT만 시행 받았고, 나머지 49명은 추가적 MRI를 시행 받았다. 두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합의하에 각 환자의 첫 재발 위치와 재발 시기를 평가하였다. 두 환자군의 재발 양상, 무병 생존율, 전체 생존율을 비교하고, 첫 재발 위치에 따른 예후를 비교하였다. 결과 두 환자군 모두 간 전이가 가장 흔한 재발 양상이었고, 무병 생존율(p = 0.247)과 전체 생존율(p = 0.067)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첫 재발 위치에 따른 예후는 간 전이가 가장 나빴고, 그다음은 국소 재발이었다(p < 0.001). 결론 췌장선암으로 완치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수술 전 CT만 시행 받은 환자군과 추가적 MRI를 시행 받은 환자군 사이에 재발 양상과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 전이가 가장 흔한 재발 양상이었고, 다른 재발 양상과 비교하여 예후가 가장 나빴다.

이하선 병변에서 활경근 침윤의 빈도와 조건 (Platysma Infiltration on CT or MRI in Parotid Pathology)

  • 서희붐;김학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152-161
    • /
    • 2021
  • 목적 CT나 MRI에서 이하선의 양성종양, 악성종양 및 염증 질환에서 나타나는 활경근 침윤의 빈도와 어떤 상황에서 잘 일어나는지 그 조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이하선에서 발생한 양성종양 314명, 악성종양 52명 그리고 염증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CT나 MRI에서 활경근 침윤의 빈도 및 병변의 위치, 피막침범 유무, 국소성에 따른 활경근 침윤 유무를 후향적으로 알아보았다. 결과 활경근 침윤의 빈도는 양성종양에서 0%, 악성종양에서 19.2% (10/52), 염증 환자에서 50% (11/22)였다. 피막을 침범한 염증 환자 13명 중 10명에서 활경근 침윤을 보였다. 활경근 침윤을 보인 염증 환자 11명 중 10명이 미만성을, 1명은 국소성을 보였다. 활경근 침윤을 보인 악성종양 총 10명 모두에서 피막을 침범하였으며, 그중 미만성 병변이 7명, 국소성이 3명이었다. 결론 이하선 질환에서 활경근 침윤은 악성종양보다 염증 질환에서 더 흔하게 일어났다. 염증 질환에서의 활경근 침윤은 이하선 피막을 침범하거나 미만성 병변일 경우 더 잘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