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SG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6초

사염화탄소와 Monosodium-L-Glutamate 병용투여에 의한 간조직의 환원형글루타치온 함량 및 그의 관련효소활성의 변화 (Alterations of Glutathione and Glutathione-Dependent Enzyme Activities by Monosodium-L-Glutamate in Rats with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Damage)

  • 김형춘;이왕섭;전완주;김수희;주왕기
    • 약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84-388
    • /
    • 1991
  • To explore the effect of monosodium-L-glutamate(MSG) on CCI$_{4}$-damaged liver in Wister male rat, 5% MSG solution as drink water were administered after S.C. injection of 0.1 mg/kg CC1$_{4}$ twice a week for 4 weeks. After last administration of MSG, heptic glutathione(GSH) dependent system was assayed. It showed that MSG increased significanly hepatic glutathione(GSH) and glutathione peroxidase(GSH$_{px}$), but decreased glutathione-S-transferase(GST) acivity in normal rats. MSG increased significantly the GSH$_{px}$ and GST activities in rats with CCI$_{4}$-induced liver dam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crease of GSH dependent systems in CC1$_{4}$ liver injury might be partially elevated by coadministration of MSG.

  • PDF

국내 그라우팅 재료별 특성에 따른 설계사양에 관한 연구 - LW 공법 및 MSG 공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Specification for Characteristics of Grout Materials - Focus on LW method and MSG method -)

  • 천병식;김진춘;남순성;하광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67-7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MSG공법과 LW공법(또는 SGR공법)의 강도발현성, 침투성 등을 비교하여 사질지반, 실트질지반, 점토지반 등 대상지반에 대한 주입재료별(MSG-N, OPC)로 침투한계를 평가함으로서 대상지반별 최적 주입재 선정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된 그라우트재에 대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응결재와 경화재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호모겔 강도 및 밀크 페이스트 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상토질별, 침투압력별, 복합지층에서의 주입재별, 대형토조를 이용한 침투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사질지반 및 실트질 사질지반에서 효과적인 그라우팅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MSG공법 주입재와 같이 초미립자계 주입재를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초미립자계 주입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지반의 종류에 따른 적정한 주입압력을 제시하였으므로 설계 시공기술자들에게 약액주입 지침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채소죽과 콩나물국의 천일염과 MSG 사용에 따른 나트륨 함량 변화 (Effect of Combined Use of Sun-dried Salt and Monosodium Glutamate on Sodium Concentration in Vegetable Rice Porridge and Bean-sprout Soup)

  • 성동은;박재영;한지석;박유영;조미숙;오상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2-57
    • /
    • 2017
  • The feasibility of reduction of sodium intake using sun-dried salt and monosodium glutamate (MSG) was studied. Preference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ensory properties of bean-sprout soup and vegetable rice porridge soup. Sun-dried salt and MSG might be a partial substitute for refined sa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lt taste strength between sun-dried salt and refined salt. Sun-dried salts 0.45% with MSG 0.07% resulted in the highest taste preference compared to that of sun-dried salts 0.60% without MSG in bean-sprout soup, which resulted in 23.9% reduction of sodium intake. Sun-dried salts 0.38% with MSG 0.04% resulted in the highest taste preference compared to sun-dried salts 0.53% without MSG in vegetable rice porridge soup, which resulted in 25.4% reduction of sodium intake. There seemed to be a synergistic effect on reduced usage of sodium salt when MSG was used in vegetable rice porridge and bean-sprout soup with sun-dried salt.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레스토랑 MSG 사용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식품안전태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Effects of Food Life Style on Preference for MSG Use at Restaurant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Attitude to Food Safety)

  • 하헌수;강병남;김건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86-100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고객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레스토랑에서 MSG 사용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Baron & Kenny가 제시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식품 안전에 태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식품 탐험형, 미각 추구형, 건강 추구형, 편의 추구형, 고유 추구형으로 5 개 그룹으로 분류된다. 둘째, 편의 추구형은 레스토랑에서 MSG 사용 선호도에 정(+)의 영향력이 있었지만, 건강추구형과 고유추구형은 부(-)의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었다. 셋째, 식품안전태도는 편의추구형과 고유추구형에서 레스토랑 MSG 사용 선호도 간에 유의적인 부(-)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풍화토 및 충적토 지반에 적용된 M.S.G공법의 차수효과 (Effect of water cut-off by M.S.G. method for weathered soil and alluvial soil)

  • 지덕진;우상백;강진기;김태한;박종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5-92
    • /
    • 2003
  • Generally, ordinary portland cement(OPC) is widely used for grouting to reduce permeability of ground under the foundations of structures. But, it is hard to be injected into the microscopic voids, fissures and crevices in soil or rock formation for the OPC material. Therefore new method what is called MSG(Micro Silica Grouting) has been developed recently to improve the weak point of the OPC material. In this case study, in order to verify performance of the MSG's water cut-off, trial injections were performed in rear of CIP(Cast in Place Pile) on the site A(weathered soil) and B(alluvial soil) that are constructed for the subway No. 9 nowadays. To take the proper grouting method of the MSG in the trial injecting, the injections are carried out for grouting types(constant pressure or fixed Quantity) and grouting methods(1.5shot or 2.0shot) and to confirm the effects of water cut-off and the injection range of the MSG, the tests of permeability and indicator(phenolphthalein) response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injection. Through the tests results, we could affirm the effects of water cut-off of the MSG and the injection range for the weathered and alluvial soil layers near the Han River. Finally we could make sure the application of the MSG method in actual construction under the layers.

  • PDF

Attenuated Sympathetic Activity and Its Relation to Obesity in MSG Injected and Sympathectomized Rats

  • Park, So-Young;Kim, Yong-Woon;Dan, Jin-Myoung;Kim, Jong-Ye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1권4호
    • /
    • pp.155-161
    • /
    • 2007
  •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role of sympathetic activity in obesity, we repeatedly assessed sympathetic activity via power spectral analyses of heart rate variability in the same subjects at 7, 11, 25, and 60 weeks, using monosodium glutamate (MSG)-induced obese and control rats. The effects of lower sympathetic activity on obesity were also evaluated. Fat mass in MSG rats was already higher at 7 weeks, but the sympathetic activity did not differ between 7 and 25 weeks. Between 25 and 60 weeks, the increase in fat mass, food efficiency, and body weight gain was higher in MSG rats. The increase in sympathetic activity between 25 and 60 weeks and sympathetic activity at 60 weeks were lower in MSG rats. Fat mass at 60 weeks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sympathetic activity between 25 and 60 weeks. Reduced plasma epinephrine levels by bilateral adrenal demedullation induced increase of fat mass. In, an attenuated increase of sympathetic activity with age may partly be responsible for aggravated obesity in MSG rats. Additionally, reduced sympathetic activity per se induced obesity in ra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wer sympathetic activity contributes to obesity in rats.

사염화탄소-유발지방간에 대한 L-글루탐산 일나트륨의 보호작용 (Protective Effects of Monosodium-L-Glutamate on the Fatty Liver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

  • 김형춘;이왕섭;전완주;최용순;김수희;이현우;주왕기
    • 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3-79
    • /
    • 1992
  • To achiev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monosodium-L-glutamate(MSG) against $CCl_4$ fatty liver in Wister male rats, 5% MSG solution was given as drinking water and $CCl_4$ 0.1 ml/kg was injected subcutaneously twice a week for four weeks. It was showed that increased hepatic phospholipid and hepatic triacylglycerol levels by $CCl_4$ challeng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additionnal MSG, respectively. However, MSG had no apparent effect on the elevated hepatic cholesterol level in the presence of $CCl_4$. Histologically, additional MSG markedly inhibited fatty degeneration, spotty necrosis, inflammation and periportal vascular proliferation manifested by $CCl_4$.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ffects of MSG against $CCl_4$ induced-fatty liver appeared to be involved with partial restoration of altered hepatic lipid composition.

  • PDF

소셜미디어 분석을 통한 소비자들의 L-글루타민산나트륨에 대한 인식 조사 (Consumers Perceptions on Monosodium L-glutamate in Social Media)

  • 이수연;이원성;문일철;권훈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53-16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콘텐츠를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정성적으로 분석함으로써 L-글루타민산나트륨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1년 (2013.7~2014.6)의 기간 동안 네이버와 카페에서 작성된 글들을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문서들을 무료 텍스트 분석 소프트웨어인 TONK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블로그와 카페에서 작성된 글들은 주로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사용과 관련된 음식점 후기 및 MSG (L-글루타민산나트륨)-무첨가 제품에 대한 홍보 내용을 담은 글들로 파악되었으며, 기타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안전성 또는 식품첨가물 제거법에 대한 내용으로 파악되었다. 두 번째로, 네이버 트렌드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L-글루타민산나트륨에 대한 검색량 증가 구간에 발생한 언론보도 사건을 조사하였다. PC 검색량의 경우 총 5개 증가 구간 중 3개의 구간에서, 모바일 검색량의 총 9개 증가 구간 중 6개의 구간에서 시사 프로그램에서 L-글루타민산나트륨에 대해 보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구간에서는 일간지나 TV 뉴스로 기사를 보도한 구간들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안전성 발표를 보도한 연합뉴스의 댓글을 분석하였다. 공감수 100개 이상인 댓글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안전성, 질 낮은 재료의 사용 지적, MSG (L-글루타민산나트륨) 과다사용에 대한 우려, 정부 불신을 표현하는 댓글들이 파악되었다. 시판 제품들의 표시사항을 분석한 결과, 일일섭취허용량을 설정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안전한 식품첨가물임에도 불구하고 L-글루타민산나트륨을 첨가하지 않은 제품들은 L-글루타민산나트륨 무첨가라는 표시를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국가기관,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에서 MSG 미사용을 원칙으로 제도를 운용하고 있어 이러한 정책이 산업계와 소비자 인식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고려해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대체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여 검색하거나 관련 제품을 구매하고자 할 때 L-글루타민산나트륨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인식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과다 사용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V 시사 프로그램에서 방송하거나 일간지 또는 TV 뉴스에서 기사를 보도할 경우 네이버 검색량이 증가하였으며, 검색량 증가구간은 PC 환경에서보다는 모바일 환경에서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글루타민산나트륨과 관련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소비자들이 관심있어 하는 방송프로그램, 뉴스 프로그램 등 언론을 활용하고, PC보다는 모바일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접근한다면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글루탐산나트륨 첨가배지에서 재배된 새송이버섯의 특성 및 생리활성 연구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Pleurotus eryngii grown on Monosodium Glutamate-enriched Media)

  • 윤동연;박기문;이재흥
    • KSBB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77-282
    • /
    • 2010
  • 새송이 버섯 (Pleurotus eryngii) 재배배지에 글루탐산나트륨 (monosodium glutamate, MSG)을 혼합 첨가하여 재배한 자실체의 아미노산 및 $\gamma$-aminobutyric acid (GABA)함량 변화, 그리고 항산화 작용 등의 생리활성을 분석하여 새송이버섯의 기능성 향상 가능 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MSG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arginine, glutamic acid, alanine, glycine 등 아미노산은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histidine, ser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등은 함량 변화는 거의 없었다. 한편 MSG 첨가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자실체의 GABA함량은 전체적으로 증가되었으며 MSG 6 g/bottle 첨가군에서 자실체내에 가장 높은 GABA함량 (1.18 mg/g)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배지에 MSG첨가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자실체 추출물의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소거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nitrite scavenging activity)도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새송이버섯을 재배할 때 배지에 소량의 저렴한 MSG (~US $1/kg)를 첨가하면 아미노산 조성 및 항산화 작용 등 생리활성이 개선되는 고 기능성 새송이버섯 식품소재가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Monosodium Glutamate on In Vitro Oocyte Matur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after Parthenogenesis in Pigs

  • Kim, Minji;Shin, Hyeji;Lee, Joohyeong;Lee, Seung Tae;Lee, Eunsong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97-304
    • /
    • 201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monosodium glutamate (MSG) on in vitro maturation (IVM) of oocytes and early development of parthenogenesis (PA) embryos in pigs. Each IVM and IVC medium was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0, 0.1, 0.5 and 5 mM) of MSG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NEAA) depending on the experimental design. Immature pig oocytes were matured for 44 h and then oocytes reached metaphase II (MII) stage were electrically activated to induce parthenogenesis (PA). When immature oocytes were treated with MSG in the absence of NEAA during IVM, nuclear maturation (83.1-87.1%), intra-oocyte glutathione content, cumulus expansion, and cleavage (91.4-93.4%) of PA embryos were not influenced by MSG treatment at all concentrations. However, blastocyst formation of PA embryo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5.0 mM MSG ($45.3{\pm}6.2%$) compared to control ($25.6{\pm}3.4%$). MSG treatment during IVM in the presence of NEAA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 on nuclear maturation of oocytes and blastocyst formation after PA while 0.5 mM MSG ($89.3{\pm}1.9%$) decreased (P < 0.05) cleavage of PA embryos compared to 0.1 mM MSG ($94.6{\pm}1.1%$). When PA embryos were treated for 7 days with MSG during IVC, 5.0 mM MSG significantly decreased blastocyst formation ($27.8{\pm}4.9%$) compared to no treatment ($41.4{\pm}1.9%$) while no decrease in blastocyst formation was observed in 0.1 and 0.5 mM ($37.4{\pm}3.4%$ and $34.4{\pm}2.6%$, respectively).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5 mM MSG in a NEAA-free chemically defined maturation medium showed positive effect on PA embryonic development while 5 mM MSG treatment during IVC was deleterious to PA embryonic development in pi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