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P90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5초

Mesotrione 함유 제초제에 대한 벼 생태형간 약해반응 차이 (Differential Tolerance of Rice Cultivars to Mesotrione-Contained Herbicides)

  • 김상열;이지윤;여운상;오성환;박성태;이종희;정국현;조준현;송유천;강항원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00-307
    • /
    • 2010
  • 최근에 등록된 mesotrione+pretilachlor(MP) 및 bensulfuron-methyl+mesotrione+pretilachlor+pyriftalid (BMPP)에 대한 벼 생태형간 약해 반응을 조사하기 위해 통일형(장립종) 및 일본형(단립종) 각 3 품종을 표준량과 2배량을 처리하여 온실에서 포트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초제 MP 및 BMPP에 대한 약해 반응은 벼 생태형에 따라 달랐는데 통일형 품종은 모두 감수성을 보였으나 일본형 벼는 약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통일형 벼는 제초제 처리 후 5일부터 백화증상을 보였고 7일에 약해증상이 뚜렷하였으며 처리 후 14일에는 약해증상이 처리 후 7일 보다 약해지는 경향이었다. 약해정도는 처리농도가 증가할 수록 약해 발생이 심하였다. MP 및 BMPP에 대한 통일형 벼 품종의 초장 억제율은 90g a.i. $ha^{-1}$(표준량)에서 18~43%, 배량에서 30~50% 억제되었고 건물중은 초장보다 억제가 더 커 표준량에서는 46~73%, 배량에서는 65~82%가 억제되었고 억제정도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컸다. 하지만 대부분의 일본형 벼는 제초제 2배에서도 약해증상을 보이지 않았으나 초장 및 건물중이 약간 억제 되었다. 벼 생태형별 MP에 대한 50% 생육억제 농도를 조사한 결과, 통일형 벼는 37g a.i. $ha^{-1}$로 일본형 벼의 476g a.i. $ha^{-1}$보다 12.9배나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mesotrione을 함유하고 있는 MP 및 BMPP에 대한 벼 생태형간 반응에 차이가 있고, 초다수형 벼 재배시 초기 잡초 발아전 제초제로서 MP 및 BMPP의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omparison of Ablation Performance between Octopus Multipurpose Electrode and Conventional Octopus Electrode

  • Sae-Jin Park;Jae Hyun Kim;Jeong Hee Yoon;Jeong Min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2호
    • /
    • pp.86-94
    • /
    • 2023
  • Objective: To compare Octopus multipurpose (MP) electrodes, which are capable of saline instillation and direct tissue temperature measurement, and conventional electrodes for radiofrequency ablation (RFA) in porcine livers in vivo. Materials and Methods: Sixteen pigs were used in this study. In the first experiment, RFA was performed in the liver for 6 minutes using Octopus MP electrodes (n = 15 ablation zones) and conventional electrodes (n = 12 ablation zon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line instillation. The ablation energy, electrical impedance, and ablation volume of the two electrodes were compared. In the second experiment, RFA was performed near the gallbladder (GB) and colon using Octopus MP electrodes (n = 12 ablation zones for each) with direct tissue temperature monitoring and conventional electrodes (n = 11 ablation zones for each). RFA was discontinued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d to > 60℃ in the Octopus MP electrode group, whereas RFA was performed for a total of 6 minutes in the conventional electrode group. Thermal injury was assessed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by pathological examination. Results: In the first experiment, the ablation volume and total energy delivered in the Octopus MP electrode group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in the conventional electrode group (15.7 ± 4.26 cm3 vs. 12.5 ± 2.14 cm3, p = 0.027; 5.48 ± 0.49 Kcal vs. 5.04 ± 0.49 Kcal, p = 0.029). In the second experiment, thermal injury to the GB and colon was less frequently noted in the Octopus MP electrode group than that in the conventional electrode group (16.7% [2/12] vs. 90.9% [10/11] for GB and 8.3% [1/12] vs. 90.9% [10/11] for colon, p < 0.001 for all). The total energy delivered around the GB (2.65 ± 1.07 Kcal vs. 5.04 ± 0.66 Kcal) and colon (2.58 ± 0.57 Kcal vs. 5.17 ± 0.90 Kca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ctopus MP electrode group than that in the conventional electrode group (p < 0.001 for all). Conclusion: RFA using the Octopus MP electrodes induced a larger ablation volume and resulted in less thermal injury to the adjacent organs compared with conventional electrodes.

비즈니스 인사이드 - 리코코리아, 차세대 흑백 복합기 MP 시리즈 출시

  • 조갑준
    • 프린팅코리아
    • /
    • 제13권9호
    • /
    • pp.90-91
    • /
    • 2014
  • (주)리코코리아(대표이사 사카이 하루히사, www.ricoh-korea.co.kr)는 지난 8월 21일 광화문 나인트리 컨벤션 테러스홀에서 약 90여명의 대리점 담당자 및 파트너들이 참석한 가운데 '리코코리아 2014 신제품 출시회'를 갖고 새로운 흑백 복합기 MP 시리즈를 공개했다.

  • PDF

두유의 마이크로파 고온단시간 살균시 살균효과 및 이화학적 성분 변화 (Pasteurization Efficiency and Physico-chemical Changes of Soymilk HTST Pasteurized Using Microwaves)

  • 김석신;이주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196-1202
    • /
    • 1999
  •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두유의 HTST저온살균시 미생물의 사멸효과와 이화학적 성분 변화를 상법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때 HTST($90^{\circ}C$, 21초)법으로 살균하되 열수만을 이용한 경우(MP0)와 마이크로파로 온도를 올린 후 열수에서 holding한 경우(MP1)와 마이크로파만을 활용한 경우(MP2)의 세가지 경우로 구분하여 살균전후 변화를 비교해 보았다. 총균수의 경우 세가지 HTST살균법 모두 살균후 초기수의 4 log정도 감소하는 살균효과를 보여주었고 살균효과는 MP0>MP1>MP2의 순서를 보였다. 대장균과 저온성세균 및 phosphatase activity의 경우 세가지 HTST살균법 모두 살균후 우유의 배양실험에서 집락이 확인되지 않거나 살균후 음성(negative)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가지 살균방법 모두 80%이상의 trypsin 잔존율을 보여 trypsin inhibitor가 효과적으로 불활성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불활성화 효과는 MP0>MP1>MP2의 순서를 보였다. 두유의 pH와 적정산도, 점도 및 비타민 $B_2$의 경우 살균전후 큰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살균방법별로도 차이가 없었다. 이로부터 마이크로파로 승온시킨 후 holding하는 병용법(MP1)이나 마이크로파 단독처리(MP2)를 활용할 경우 통상적 HTST방법(MP0)보다 우수하거나 대등한 살균효과 및 이화학적 품질보존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른 액상식품의 살균연구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via Somatic Embryogenesis System in Korean fir (Abies koreana Wil.), A Korean Native Conifer

  • Lee, Hyoshin;Moon, Heung-Kyu;Park, So-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2-248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efficient transformation system by using somatic embryogenesis in an important Korean native conifer, Korean fir (Abies koreana). Embryogenic masses were induced from mature zygotic embryos of the Korean fir on Schenk and Hildebrandt medium, which was supplemented with thidiazuron. For genetic transformation, the embryogenic masses were co-cultivated with a disarmed Agrobacterium tumefaciens strain C58/pMP90 containing the plasmid vector pBIV10 or LBA4404 containing the plasmid vector MP90. Both vectors contain the kanamycin resistance and beta-glucuronidase (GUS) reporter genes. A total of 48 lines of embryogenic masses were selected on mLV medium containing $50{\mu}g/mL$ of kanamycin after 4 weeks of culture, following 3 days of co-cultivation with A. tumefaciens strain C58/pMP90 carrying pBIV10 (none of the lines was cultivated with strain LBA4404 carrying MP90). Quantitative real-time PCR was performed, and high levels of GUS transcripts were observed in the 48 putative transgenic lines; however, the control (non-transgenic line) showed negative results. Results of histochemical staining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the GUS reporter gene was observed in somatic embryos that developed from the embryogenic masses of all 48 lines. Stably transformed cultures were successfully produced by co-cultivation with A. tumefaciens strain C58/pMP90 carrying pBIV10 in Korean fir. Here, we have reported an Agrobacterium-mediated gene transfer protocol via somatic embryogenesis that may be helpful in developing breeding and conservation strategies for the Korean fir.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한국고추계통에서 분리한 이동 단백질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Movement Protein Gene from Tobacco Mosaic Virus Korean Pepper (TMV-KP) Strain)

  • 이재열;정동수;장무웅;최장경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7-90
    • /
    • 1995
  • Complementary DNA of the movement protein (MP) gene of tobacco mosaic virus Korean pepper strain (TMV-KP) was synthesized from purified TMV-KP RNA by using the reverse transcrip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system. The synthesized double stranded cDNA was cloned into the plasmid pUC9 and transformed into Escherichia coli JM110. The movement protein gene of TMV-KP of the selected clones was subjected to sequence analysis by Sanger's dideoxy chain termination method. The complete sequence of viral MP gene from TMV-KP strain was 807 nucleotides long. The nucleotide of MP gene from TMV-KP has thirteen and two nucleotide differences from TMV vulgarae (TMV-OM) and Korean (TMV-K) strains, respectively. Thus, the nucleotide sequence of TMV-KP MP gene showed higher homology of 99% with that of TMV-K MP gene.

  • PDF

양식산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식품학적 품질 개선에 버섯추출물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shroom Extract as a Dietary Additive on the Nutritive Quality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심길보;김지회;윤호동;최혜승;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85-790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utritive qualit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either moist pellet (MP) or moist pellet mixed with mushroom extract (MPME) for 6 month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ude protein or extractive nitrogen in the muscle of flounder fed MP versus MPME (P > 0.05).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in the muscle of flounder fed MP was $15.22{\pm}5.24$ g/100 g, compared to $19.90{\pm}2.90$ g/100 g for flounder fed MPM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was $7.04{\pm}2.21$ g/100 g in the muscle of flounder fed MP versus $8.94{\pm}2.50$ g/100 g for MPME. Total amino acid content was higher in the muscle of olive flounder fed MPME, whil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was higher in flounder fed MP. The ratio of non-essential amino acids to essential amino acids was $0.86{\pm}0.07$ for flounder fed MP and $0.81{\pm}0.08$ for flounder fed MP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e amino ac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breaking strength of muscle of olive flounder fed MP was higher ($1.44{\pm}0.51\;kg/cm^2$) than in flounder fed MPME ($1.29{\pm}0.30\;kg/cm^2$). There was no evidence that dietary additives, such as mushroom extract, increase growth rate or nutritive quality of olive flound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oasted yakgwa according to the addition ratio of mealworm

  • Ji Eun Kim;Shin Youn Joo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45-255
    • /
    • 2024
  • The proximate composition,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scores of yakgwa added with mealworm powder (MP) were examined. MP contained 5.83 wt% moisture, 55.70 wt% crude protein, 35.96 wt% crude fat, 3.70 wt% crude ash, and 2.43 wt% carbohydrate and featur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406.52 mg GAE/100 g and 21.18 mg NE/100 g, respectively.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the reducing power of MP were determined as 90.25%, 44.06%, and 1.74, respectively. Except for moisture and carbohydrate content,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mealworm yakgwa (MY)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MP increased. The pH of the dough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MP, whereas the expansion degree tended to decrease. Sugar content was highest at MP contents of 0 wt% and 12 wt% (FM4 group), and hardness was lowest in the FM4 group. With the increasing MP content, the L, b values and antioxidant activity increased, whereas a value decreased. The sensory evaluation scores for the overall preference, appearance, color, and taste were lowest in the FM4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P contents of 6-9 wt% were optimal for mealworm-based yakgwa.

가상 호 발생기를 이용한 Switching System 분석 및 시험 (Test & Analyze Switching System Using Virtual Call Generator)

  • 유현상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5-69
    • /
    • 1999
  • Switching System(이하 교환 시스템)이 QoS(Quality of Service)를 유지하면서 처리 가능한 최대 동시 호처리 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학적 분석을 이용한 해석적 방법, 실제 호를 사용한 통계적 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해석적 방법을 이용해 산출한 교환 시스템의 최번시 동시 호 처리능력(BHCA, Busy Hour Call Attempt)은 단지 수학적인 예측일 뿐이므로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가상 호 발생기가 제안되었다. 이 가상호 발생기는 가입자의 행동을 시스템 하위 프로세서(가입자 정합 Device 제어 프로세서)에서 Simulation하여 가상의 호를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교환기 최대 동시 호 처리 용량을 시험하기 위한 SW이다. 이 가상호 발생기는 동일한 형태의 호를 동시에 다량으로 발생시킴으로써 교환 시스템의 주 프로세서(Main Processor, MP)의 동시 호 처리 용량을 시험하기 위한 SW이다. ITU-T 권고에 의하면 시스템부하가 90~95%를 넘어 서는 경우는 예외적인 처리(과부하 제어 등)를 권고하고 있으므로 MP 부하 90~95%에서 BHCA를 계산하면 최대 호 처리 용량이라 할 수 있다. 가상 호 발생기는 시스템 개발 초기에 실제 가입자 정합 Device 와 호 발생기 없이도 MP 과부하 지점까지 호를 발생시킴으로써 개발의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고, 계획된 시스템 용량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교환 시스템 개발 초기에 취할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과부하 지점에서 MP가 정상 동작하는지 검증하는 도구로 사용 가능하다. 앞으로 이를 더 발전시키면 가상호 발생기를 이용한 다양한 시스템 검증 및 분석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가상호 발생기의 구조와 최대 용량 시험 방법을 소개하고, 더 나아가 호 Traffic에 대한 최대 용량 시험뿐 아니라 QoS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환 시스템의 제반 성능 시험 및 분석에 이를 이용하기 위해 개선이 필요함을 서술하고자 한다.

  • PDF

젖소의 우유 중 단백질과 요소태질소 측정에 의한 사료의 에너지와 단백질 균형 상태 예측 (Prediction of Dietary Protein-Energy Balance by Milk Urea Nitrogen and Protein Contents in Dairy Cow)

  • 문진산;주이석;강현미;장금찬;김종만;이보균;박용호;손창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573-584
    • /
    • 2002
  • 젖소의 에너지 및 단백질 영양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MP와 MUN을 측정하여 농장의 사료급여 실태를 평가하기 위해서 1999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전국 4,856개 목장, 132,636두를 대상으로 유성분을 측정하였다. 조사된 개체유의 평균 MP와 MUN 수준은 각각 3.30${\pm}$0.35%와 16.0${\pm}$5.2mg/dl였으며, MP에 있어서는 3.10${\sim}$3.20%를 중심으로, MUN은 15.0mg/dl을 중심으로 하는 정규곡선을 나타내었다. 계절별 MP와 MUN의 수준은 외기 온도가 높은 하절기에는 MP의 함량이 3.2% 이하로 감소한 반면, MUN 수준은 16.5mg/dl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반대로 동절기에는 MP가 3.35% 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MUN 수준은 15.0mg/ dl 이하로 가장 낮았다. MP 함량과 MUN 농도와의 관계에서는 MP가 정상 기준보다 낮은 2.90% 미만에서는 MUN 농도가 전체 평균보다도 높았고(17.3${\pm}$5.2mg/dl), MP가 정상 기준보다도 높은 3.70% 이상에서는 전체 평균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개체유 및 집합유를 대상으로 MP 및 MUN 측정에 의한 사료내 에너지와 단백질 균형상태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단백질은 부족보다는 과다가, 그리고 에너지는 과다보다는 부족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비유초기에는 에너지 부족이, 비유말기에는 단백질 과다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국내의 경우 무엇보다도 에너지 및 단백질의 균형적인 사료공급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