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MA compound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3초

PMMA 판재의 제조 및 기계적 특성 (Prepar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MMA Panels)

  • 길기승;김의식;김대수
    • 폴리머
    • /
    • 제27권2호
    • /
    • pp.142-151
    • /
    • 2003
  • PMMA 판재를 생산하기 위한 두 가지 형태의 방법이 있는 데 셀 주형 방법과 벨트 주형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들은 생산성이나 생산 단가 면에서 각각의 단점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고분자 가공연구자들은 플라스틱 필름을 주형으로 이용하여 PMMA 판재를 생산하는 새로운 가공 방법기 개발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새로운 가공 방법이 벨트 주형 방법의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셀 주형 방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새로운 주형 방법의 개발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을 주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MMA 배합물의 조성 및 경화 조건 PMMA 판재의 가공성 및 기계적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필름이 PMMA 판재의 생산을 위한 플라스틱 필름 주형으로 사용되었다. 우수한 가공성 및 경화 후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MMA 배합물을 결정하기 위하여 성분 및 그들의 조성이 단계적으로 최적화 되었다. 결합제 및 개질제로 작용하는 아크릴산이 PMMA 판재의 기계적 특성의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ree Radical 중합에 의한 PEGMA/Na-MMT와 아크릴단량체의 합성 및 물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EGMA/Na-MMT with Acrylic Monomer by Free-Radical Polymerization)

  • 주홍희;박찬영;김태균;천제환;이원기;오상택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3호
    • /
    • pp.106-111
    • /
    • 2010
  • PEGMA macromer를 Na-MMT에 삽입한 후 MMA 및 MA 단량체와의 공중합을 행하여 PEGMA/(Na-MMT)-co-MMA/MA 나노복합재료를 합성하고 이의 특성결정을 행하였다. 제조된 나노복합재료를 XRD로 관찰한 결과, Na-MMT에 PEGMA를 삽입하였을 경우 Na-MMT 양이 증가함에 따라 Na-MMT의 실리케이트 층간거리는 증가하였다. DSC 측정으로부터 Na-MMT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Tg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TGA 측정을 통하여 PEGMA/(Na-MMT)-co-MMA/MA 나노복합재료는 순수한 PEGMA-co-MMA/MA보다 열안정성이 다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Dimensional Stability, Color Change, and Durability of Boron-MMA Treated Red Jabon (Antochephalus macrophyllus) Wood

  • PRIADI, Trisna;ORFIAN, Gema;CAHYONO, Tekat Dwi;ISWANTO, Apri Her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315-325
    • /
    • 2020
  • Boron compound had many advantages as wood preservative, but it was prone to leaching. Improving boron preservation was required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fast growing and low durability red jabon (Antochephalus macrophyllus) hardwoo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dimensional stability, color change and durability of modified red jabon wood by double impregnation with boron and methyl methacrylate (MMA) and heat treatment. Impregnation I used boric acid or borax, and impregnation II used MMA, while heat treatment used temperatures of 90 ℃ or 180 ℃ for 4 hours. The dimensional stability, leachability, water absorption, color change and decay resistance of modified red jabon wood were tested. The results showed that MMA impregnation increased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red jabon wood, while the leaching and water absorption in the wood significantly reduced. Heating at 180 ℃ caused less water absorption and higher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wood than that of heating at 90 ℃. Impregnation with boric acid and MMA followed by heating at 90 ℃ resulted in the highest wood ASE, 89.9%. The color change (∆E*) of wood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MMA impregnation and heating at 180 ℃. Boric acid impregnation caused more resistant wood than borax impregnation against decay fungi and termites. Impregnation with boric acid and MMA followed with heating at 180 ℃ increased significantly the wood resistance against decay fungi and termites.

Identification of a novel frameshift mutation (L345Sfs*15) in a Korean neonate with methylmalonic acidemia

  • Kim, Young A;Kim, Ji-Yong;Kim, Yoo-Mi;Cheon, Chong Kun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4권2호
    • /
    • pp.80-85
    • /
    • 2017
  • Methylmalonic acidemia (MMA) is an autosomal recessive metabolic disorder characterized by an abnormal accumulation of methylmalonyl-CoA and methylmalonate in body fluids without hyperhomocysteinemia. Cardiac disease is a rarely known lethal complication of MMA, herein, we report a Korean neonate diagnosed with MMA on the basis of biochemical and genetic findings, who developed cardiomyopathy, resulting in sudden death. The patient presented vomiting and lethargy at 3 days of age. Initially, the patient had an increased plasma propionylcarnitine/acetylcarnitine concentration ratio of 0.49 in a tandem mass spectrometry analysis and an elevated ammonia level of $537{\mu}mol/L$. Urine organic acid analysis showed increased excretion of methylmalonate. Subsequent sequence analysis of the methylmalonyl-CoA mutase (MUT) gene revealed compound heterozygous mutations c.323G>A (p.Arg108His) in exon 1 and c.1033_1034del (p. Leu345Serfs*15) in exon 4, the latter being a novel mutation. In summary, this is the first case of MMA and cardiomyopathy in Korea that was confirmed by genetic analysis to involve a novel MUT mutation.

Poly(3,4-ethylenedioxythiophene)을 이용한 Core/shell 나노입자와 원자이동 라디칼중합 공정에 의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제조 (Preparation of Core/Shell Nanoparticles Using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and Multi-Walled Carbon Nanotube Nanocomposites via an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 주영태;진선미;김양수
    • 폴리머
    • /
    • 제33권5호
    • /
    • pp.452-457
    • /
    • 2009
  •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및 전도성 고분자인 PEDOT으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나노재료를 제조하였다.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처리반응을 수행함으로써 -Br 특성기를 갖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중합반응의 개시제로 사용하였다. 이와 함께 MMA를 사용하여 촉매와 리간드 존재 하에서 원자이동 라디칼중합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PMMA가 공유결합된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미니에멀젼 중합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PS 수용성 에멀젼에 EDOT과 산화가를 투입하여 산화중합을 수행함으로써 core-shell 구조를 갖는 PEDOT/PS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란화합물로 표면 처리한 silica 입자를 PEDOT:poly(styrene sulfonate) (PSS) 수용성 분산액에 투입한 후 표면화학 반응과정을 수행함으로써 silica 외벽에 PEDOT:PSS가 코팅된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하이브리드 나노재료들은 TEM, FE-SEM, TGA, EDX, UV 그리고 FT-IR 등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표면개질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분말의 표면과 화학적 특성 및 이를 함유하는 상온 경화용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뼈 시멘트의 기계적 특성 I.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자일렌 함량에 따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표면 개질 효과 (Surface and Chemical Properties of Surface-modified UHMWPE Powde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elf Curing PMMA Bone Cement Containing UHMWPE Powder I. Effect of MMA/Xylene Contents on Surface Modification of UHMWPE)

  • 양대혁;윤관희;김순희;이종문;강길선
    • 폴리머
    • /
    • 제28권1호
    • /
    • pp.77-85
    • /
    • 2004
  •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생체 적합성으로 인해 생체 재료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다른 생체 고분자 재료와의 접착 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분말의 표면 불활성으로 인해 접착력이 현저히 감소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상온 경화형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뼈 시멘트의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자일렌의 혼합 용액으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분말의 표면 개질을 시도하였다. 개질 후, 표면 처리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분말은 적외선 분광기, 주사전자 현미경, 인장압축 시험기, 및 디지털 온도계로 특성을 결정하였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자일렌의 함량을 달리하여 표면 개질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분말을 함유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뼈 시멘트의 기계적 특성을 측정해 본 결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자일렌을 1 : 1 (부피 비율)로 표면 개질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분말을 첨가시킨 새로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뼈 시멘트의 기계적 강도가 최대였으며, 중합 열은 103 $^{\circ}C$에서 58∼73 $^{\circ}C$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분말의 표면 개질방법의 메카니즘을 제안하였다.

실란계 사슬 이동제를 사용한 아크릴 바인더의 제조 (Preparation of Acryl Binder with Silane Type Chain Transfer Agent)

  • 김진곤;신민재;신재섭
    • 폴리머
    • /
    • 제36권3호
    • /
    • pp.351-356
    • /
    • 2012
  •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의 제작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유기물첨가제는 아크릴 바인더이다. 이 아크릴 바인더는 라디칼 중합으로 제조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glycidyl methacrylate(GMA), methyl methacrylate(MMA), methacrylic acid(MAA)를 이용하여 공중합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이 공중합체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서 실란계 mercaptane 화합물을 사슬 이동제(CTA)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CTA는 (3-mercaptopropyl) trimethoxysilane(MPTMS)이며, 제조된 공중합체들의 분자량, 코팅의 두께, 투과도, 접착력 등의 물성 등을 살펴보았다. 사용된 MPTMS 함량에 따라 분자량이 조절되었고, MPTMS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접착력이 향상되었다.

필름 성형법에 의한 PMMA 인조석의 제조 (Preparation of PMMA Marbles by Film Molding Method)

  • 길기승;김의식;김대수
    • 폴리머
    • /
    • 제27권2호
    • /
    • pp.152-158
    • /
    • 2003
  • 상업적으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U) 인조석을 생산하기 위한 두 가지 성형 방법으로 셀 성형법과 벨트 성형법이 있다. 그렇지만 셀 성형법은 생산성 면에서, 벨트 성형법은 설비비 및 생산단가 면에서 각각 단점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플라스틱 필름을 주형으로 이용하여 PMMA 인조석을 생산하는 새로운 성형 가공 방법에 대한 연구를 통해 벨트 성형법 및 셀 성형법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PMMA 인조석의 생산을 위한 주형용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필름을 사용하였다. 우수한 필름 성형 가공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경화 후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배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필름 성형법에 의해 PMMA 인조석을 제조하였다. 필름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PMMA 인조석의 성능은 셀 성형법과 벨트 성형법에 의해 각각 제조된 상업용 PMMA 인조석의 성능에 비해 동등 이상의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필름 성형법은 PMMA 인조석의 생산을 위해 상업적으로도 적용 가능성이 큰 것으로 사료된다.

비소 중독 (Arsenic Poisoning)

  • 김양호;이지호;심창선;정경숙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7-71
    • /
    • 2004
  • Arsenic poisoning has three types of poisoning. First, acute arsenic poisoning is usually caused by oral intake of large amount of arsenic compound with purpose of homicide or suicide. Second, chronic arsenic poisoning is caused by inhalation of arsenic in the occupational setting or by long-term oral intake of arsenic-contaminated well water. Third, arsine poisoning occurs acutely when impurities of arsenic in non-ferrous metal react with acid. Clinical manifestation of acute arsenic poisoning is mainly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cardiovascular collapse. Those of chronic poisoning are skin disorder and cancer. Arsine poisoning shows massive intravascular hemolysis and hemoglobinuria with acute renal failure. Exposure evaluation is done by analysis of arsenic in urine, blood, hair and nail. Species analysis of arsenic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inorganic arsenic acid and mono methyl arsenic acid (MMA) separated from dimethyl arsenic acid (DMA) and trimethyl arsenic acid (TMA) which originate from sea weed and sea food. Treatment with dimercaprol (BAL) is effective in acute arsenic poisoning on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