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K-4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 of Chitosan Acetate on Bacteria Occurring on Neungee Mushrooms, Sarcodon aspratus

  • Park, Bom-Soo;Koo, Chang-Duck;Ka, Kang-Hyeon;Lee, Young-Nam
    • Mycobiology
    • /
    • 제36권4호
    • /
    • pp.249-254
    • /
    • 2008
  • Minimal growth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of chitosan acetate (M.W. 60 kDa) on heterotrophic bacteria (strains MK1, S, and R) isolated from the soft-rotten tissues of Neungee mushroom (Sarcodon aspratus) were measured. The slimy substance produced by the MK1 strain was responsible for the diseased mushroom’s appearance. The S and R strains were members of the Burkholderia cepacia complex. These strains showed different levels of susceptibility toward chitosan acetate. The MIC of chitosan acetate against the MK1 and S strains was 0.06%. The MIC against the R strain was greater than 0.10%. Survival fractions of the MK1 and S strains at the MIC were $3\;{\times}\;10^{-4}$ and $1.4\;{\times}\;10^{-3}$ after 24 h, and $2\;{\times}\;10^{-4}$ and $7\;{\times}\;10^{-4}$ after 48 h, respectively. Survival fractions of the R strain after 24 and 48 hr at 0.1% chitosan acetate were $1\;{\times}\;10^{-2}$ and $6.9\;{\times}\;10^{-3}$,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MK1 and S strains, the low susceptibility of the R stain towards chitosan acetate could be due to the ability of the R strain to utilize chitosan as a carbon source. Thirty-eight percent of Neungee pieces treated in a 0.06% chitosan acetate solution for $2{\sim}3$ second did not show any bacterial growth at 4 days, whereas bacterial growth around untreated mushroom pieces occurred within 2 days. These data suggest that chitosan acetate is highly effective in controlling growth of indigenous microorganisms on Neungee. The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of the MK1 strain treated with chitosan revealed a higher degree of disintegrated and distorted cellular structures.

Bacillus sp. Mk22의 섭취가 Penaeus monodon 새우의 성장증진과 Vibrio parahaemolyticus와 흰반점바이러스(WSSV)의 감염 감소에 미치는 영향 (Growth Enhancement of Shrimp and Reduction of Shrimp Infection by Vibrio parahaemolyticus and White Spot Syndrome Virus with Dietary Administration of Bacillus sp. Mk22)

  • 세카르 아쇼크쿠마;파크얌 마야브;김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61-26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호염성 세균 Bacillus sp. Mk22를 사료에 섞어 투여함으로써 Penaeus monodon 새우의 성장증진과 Vibrio parahaemolyticus 와 흰반점바이러스(WSSV)의 감염 감소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새우는 45일 동안 3가지 먹이를 공급하였 는데, 무첨가(대조구), 시판 프로바이오틱, 그리고 Bacillus sp. Mk22이었다. 호염성세균 Mk22를 투여한 새우들은 다른 그룹들의 새우들보다 성장(7.1 ± 0.21 g), 생존율(94.3 ± 0.58%), 체중증가(178 ± 4.93 g), 그리고 감소된 사료전환효율(0.8 ± 0.03 g)을 보였다. Bacillus sp. Mk22를 투여한 새우들은 다른 그룹의 새우들보다 새우배양 수조안에서 낮은 비브리오 수자(0.02 ± 0.01 × 102 CFU/ml)를 보였다. 이 세 그룹의 새우들을 비브리오나 WSSV로 공격감염을 하였다. 비브리오 감영에서는, 시판 프로바이오틱그룹과 Mk22 그룹에서 배양수조의 물 감염과 경구투여감염에서 치사 새우가 없었다. WSSV 감염에 대해서는, Mk22 그룹의 경우 새우배양 수조 감염에서는 68%의 생존율과 경구투여 감염에서는 20% 생존율이 45일째에 관찰되었고, 대조구와 시판 프로바이오틱 그룹에서는 모두 훨씬 빠른 시간 내에 100% 사망률을 보였다. 산화적 스트레스의 표지인, catalase와 superoxide dismutase와 같은 항산화 효소 활성은 비브리오와 WSSV 감염된 Mk22 그룹 모두에서 다른 그룹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 사실은 Bacillus sp. Mk22는 산화적 스트레스 감소하는데 효과적이었고, 이는 감소된 감염효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ENDF/B-VII기반 MCNP-4C를 이용한 CANDU-6 기포반응도 불확실성 평가(I) (Uncertainty Assessment of CANDU Void Reactivity using MCNP-4C with ENDF/B-VII(I))

  • 홍성택;권태안;이영준;오세기;이상규;김만웅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 발표회
    • /
    • pp.69-75
    • /
    • 2008
  • 기포반응도는 월성발전소를 비롯한 CANDU형 원자로의 주된 안전성 쟁점사안으로 끊임없이 논의되어 왔다. 이는 설계기준사고가 노심에서 열에너지 불균형이 원인이 되어 기준이상의 핵연료 파손과 방사성물질 누출로 발전할 위험이 있는 사건들로 정의될 때, 사건 진행 과정에 기포반응도 증가는 조기에 운전중단을 실패할 경우 출력폭주로 이어지므로 사건의 결말이 중대사고로 전환될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공개된 최신 핵자료인 ENDF/B-VII.0를 NJOY.99로 처리한 연속에너지 반응단면적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MCNP-4C에 접속하여 37봉 천연우라늄 핵연료다발의 표준노심격자에 대한 기포반응도를 시뮬레이션하여, 지금까지 각종문헌에 제시된 값들과 비교, 종합하므로 내제된 불확실성을 추정하는 내용이다. ENDF/B-VII.0 기반 MCNP-4C의 CANDU 노심격자 모델은 동일한 핵자료와 핵종농도를 사용한 WIMS-IAEA 모델과 비교할 때, 초기 노심의 임계도 오차 약 3.51mk가 연소 진행에 따라 $7.5\times10^{-4}mk$/MWD/teU의 비율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CNP-4C 예측기포반응도는 초기노심에서 기포율 50% 및 100%에 대해 각각 8.38 및 15.96mk, 평형노심에서 7.68 및 14.72mk로 계산된다. 이는 월성 2, 3, 4 FSAR의 초기노심 및 평형노심에서 100% 기포상태에 대한 값, 약15.0 및 10.6mk와 비교할 때, 초기노심은 약 1.0mk 평형노심은 약4, 1mk 보수적이지만, 다른 연구결과들과는 최대오차 ${\pm}1{\sim}2mk$ 이내에서 잘 일치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CANDU 노심의 기포반응도 불확실성 요인의 규명 및 영향평가를 위한 노력의 일부로서 앞으로 감속재의 붕산농도 변화, 감속재 및 냉각재의 중수 순도 변화, 기기노화에 의한 격자 구조 및 물성 변화, 중성자속 및 출력 분포 불균형, 반응도조절장치의 위치, 등 주요 설계변수의 변화에 대한 반응도영향 분석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다.

  • PDF

Characteristic Intracelluar Response to Lidocaine And MK-801 of Hippocampal Neurons: An In Vivo Intracellular Neuron Recording Study

  • Choi, Byung-Ju;Cho, Jin-Hwa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권3호
    • /
    • pp.297-305
    • /
    • 1998
  • This study used in vivo intracellular recording in rat hippocampus to evaluate the effect of lidocaine and MK-801 on the membrane properties and the synaptic responses of individual neurons to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commissural pathway. Cells in control group typically fired in a tonic discharge mode with an average firing frequency of $2.4{\pm}0.9$ Hz. Neuron in MK-801 treated group (0.2 mg/kg, i.p.) had an average input resistance of $3.28{\pm}5.7\;M{\Omega}$ and a membrane time constant of $7.4{\pm}1.8$ ms. These neurons exhibited $2.4{\pm}0.2$ ms spike durations, which were similar to the average spike duration recorded in the neurons of the control group. Slightly less than half of these neurons were firing spontaneously with an average discharge rate of $2.4{\pm}1.1$ Hz. The average peak amplitude of the AHP following the spikes in these groups was $7.4{\pm}0.6$ mV with respect to the resting membrane potential. Cells in MK-801 and lidocaine treated group (5 mg/kg, i.c.v.) had an average input resistance of $3.45{\pm}6.0\;M{\Omega}$ and an average time constant of $8.0{\pm}1.4$ ms. The cells were firing spontaneously at an average discharge rate of $0.6{\pm}0.4$ Hz. Upon depolarization of the membrane by 0.8 nA for 400 ms, all of the tested cells exhibited accommodation of spike discharge. The most common synaptic response contained an EPSP followed by early-IPSP and late-IPSP. Analysis of the voltage dependence revealed that the early-IPSP and late-IPSP were putative $Cl^--and\;K^+-dependent$, respectively. Systemic injection of the NMDA receptor blocker, MK-801, did not block synaptic responses to the stimulation of the commissural pathway. No significant modifications of EPSP, early-IPSP, or late-IPSP components were detected in the MK-801 and/or lidocaine trea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MK-801 and lidocaine manifest their CNS effects through firing pattern of hippocampal pyramidal cells and neural network pattern by changing the synaptic efficacy and cellular membrane properties.

  • PDF

수정된 한글 연명의료계획서(Modified Korean Physician Order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MK-POLST) 분석을 통한 호스피스 병동 환자의 의료 중재 항목별 선호도 및 충실도 조사 (Preference and Performance Fidelity of Modified Korean Physician Order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MK-POLST) Items in Hospice Patients with Cancer)

  • 한지희;천혜숙;김태희;김록범;김정훈;강정훈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2권4호
    • /
    • pp.198-206
    • /
    • 2019
  • 목적: 호스피스 및 완화치료 환자 또는 임종단계 환자를 위한 연명 치료 결정에 관한 법안은 2016년에 제정되어 2018년 2월부터 시행 되었다. 이 법안의 취지와 내용은 미국의 POLST에 근거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POLST를 변형하여 만든 MK-POLST를 호스피스 병동 환자들에게 적용을 한 뒤 각 항목에 대한 선호도 및 시행 일치율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2017년 2월 1일부터 2019년 4월 30일까지 경상대학교병원의 부속 호스피스 병동의 모든 입원 환자의 MK-POLST에 대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387명의 연구대상자 중 295명의 환자가 MK-POLST를 작성했다. MK-POLST는 환자 자신이 133건(44.1%), 배우자가 84건(28.5 %), 자녀가 75건(25.4%) 작성했다. MK-POLST가 작성된 295 명의 환자 중 단 13명(4.4%)이 주사 영양제를 거부하였으며, 5명(1.7%)은 완화적 진정을 거부하였지만, 대다수인 288명(97.6%)이 심폐소생술 및 인공호흡기 치료를 원하지 않았고, 226명(76.9%)이 승압제 사용을 원하지 않았다. 인공호흡기, 심폐소생술 및 완화적 진정을 제외한 모든 MK-POLST 항목의 시행 일치율에 대한 Kappa 값은 낮았다. 결론: 호스피스 환자들은 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및 승압제 사용은 거부 했지만, 대조적으로 항생제, 주사 영양제 및 완화적 진정은 대다수 또는 절대적인 경우에 선호했다.

Calcium/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s Involved in the Release of High Mobility Group Box 1 Via the Interferon-${\beta}$ Signaling Pathway

  • Ma, Lijuan;Kim, Seon-Ju;Oh, Kwon-Ik
    • IMMUNE NETWORK
    • /
    • 제12권4호
    • /
    • pp.148-154
    • /
    • 2012
  • Previously, we have reported that high mobility group box 1 (HMGB1), a proinflammatory mediator in sepsis, is released via the IFN-${\beta}$-mediated JAK/STAT pathway. However, detailed mechanisms are still unclear. In this study, we dissected upstream signaling pathways of HMGB1 release using various molecular biology methods. Here, we found that calcium/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CaM kinase, CaMK) is involved in HMGB1 release by regulating IFN-${\beta}$ production. CaMK inhibitor, STO609, treatment inhibits LPS-induced IFN-${\beta}$ production, which is correlated with the phosphorylation of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3 (IRF3). Additionally, we show that CaMK-I plays a major role in IFN-${\beta}$ production although other CaMK members also seem to contribute to this event. Furthermore, the CaMK inhibitor treatment reduced IFN-${\beta}$ production in a murine endotoxemia. Our results suggest CaMKs contribute to HMGB1 release by enhancing IFN-${\beta}$ production in sepsis.

Effect of Organic Photosensitizers on the Antimicrobial Property of Polyurethane coated Leather

  • Oh, Kyung Wha;Lim, Ki Sub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30-634
    • /
    • 2013
  • Cow leather coated with polyurethane film that contains various organic photosensitizers was investigated to demonstrate the antimicrobial properties in the application of the material to protective clothing and home appliances. To prepare the antimicrobial coating on leather surfaces with high potency against microbes, photoactive agents, such as benzophenone (BP), 4,4'-bis(dimethylamino) benzophenone (MK), 4,4'-dihydroxybenzophenone (DHBP) and methylene blue (MB), were incorporated into polyurethane-based coating solutions. The photoactive antimicrobial agent treated leather samples were characterized by SEM, color appearance, color fastness against abrasion, and antimicrobial tests. The optical properties of organic photosensitizers indicated that active UV absorbance ranges were different: BP (around 250 nm), MK (around 360 nm), DHBP (around 305 nm) and MB (around 295 nm &570 nm-685 nm). The intensity of the UV absorbance curve at the UVA light wavelength for the antimicrobial test showed the highest value with MK; subsequently, this was followed by MB, DHBP and BP in decreasing order. The treated-leather samples demonstrated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under UVA light. The antimicrobial effects for the Staphylococcus aureus were superior to Escherichia coli. Moreover, the polyurethane finishing showed an effective durability to abrasion. The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DHBP is the most suitable PU coating additive to provide antimicrobial properties to leather as well as color and surface appearance than MK, MB, and BP.

Effects of Olanzapine on Gene Expression Changes in MK-801-induced Neurotoxicity Using a High-density DNA Microarray

  • Jo, Jae-Hoon;Kim, Seung-Jun;Yeon, Jong-Pil;Oh, Moon-Ju;Seo, Hye-Myung;Hwang, Seung-Yong;Kim, Sang-Kyum;Kim, Bong-Hee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3권4호
    • /
    • pp.282-291
    • /
    • 2007
  • Although the etiology of schizophrenia is known to be linked with the disturbance of glutamatergic and dopaminergic neurotransmission, little i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 expression and the disease process. To identify genes related to abnormalities in glutamatergic and dopaminergic func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lanzapine in the changes of mRNA levels in the animal model of schizophrenia, using a high-density DNA microarray. Olanzapine (3.0 mg/kg, i.p.) significantly reduced hyperlocomotive activities, which was induced by MK-801 (1.0 mg/kg, i.p.). We identified that the expression of 719 genes were significantly altered more than two folds in the prefrontal cortex of the rats treated with MK-801. We selected 15 genes out of them by the changes of the expression pattern in the treatment of Olanzapine and/or MK801 for the further confirmation in RT-PCR. The administration of MK-801 increased the expression of 7 genes (NOS3, Hspb1, Hspa1a, CRH, Serpine1, Igfbp6, Snf1lk) and decreased the expression of 1 gene (Aldh1a2), which was attenuated by olanzapine. One gene (Prss12) was up-regulated after olanzapine treatment although it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changes after MK-801 treatment. These results showed that antipsychotic drug, such as olanzapine, may alter the gene expression patterns, which were accompanied by MK-801-induced psychosis. Our results also provide us high-density DNA microarray technology could be potential approaches to find the candidate molecules for the therapeutics and also for the early diagnosis of psychiatric diseases.

낮은 C/N비 하수의 외부 탄소원 주입에 따른 생물학적 질소제거에서 미생물 군집 구조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Population Community Structure by an Addition of External Carbon Source in BNR Process for Low C/N Ratio Sewage Treatment)

  • 윤조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831-838
    • /
    • 2008
  • 본 연구는 호기조에 유동상 접촉여재를 충전한 실험실 규모의 A$_2$O 공법을 이용하여 낮은 C/N비(COD$_{Cr}$/T-N = 1.24) 하수처리시에 외부 탄소원 주입량 여부에 따른 탈질 및 미생물 군집구조 변화특성을 검토하였다. 미생물 군집구조 특성 분석은 퀴논분석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C/N비가 낮은 유입하수의 미생물 군집특성은 유비퀴논(UQ) 동족체 비율이 UQ-8 > UQ-10 > UQ-9 > 기타의 순으로 감소하고 메나퀴논(MK) 동족체는 UQ 동족체에 비해 존재비(f)가 적고 단순하였다. MK/UQ비는 0.41 이하, 비유사도(D)는 0.26 이하이었다. 외부탄소원 미주입 경우, 각 공정에서의 미생물 군집 특성은 혐기조에서는 퀴논종이 3종으로 MK-8이 우점이고 DQ와 EQ값이 작았다. 무산소조에서는 UQ/MK비가 2.3으로 호기성 미생물의 존재비가 높았다. 호기조에서는 부유성인 경우 우점퀴논이 UQ-7이며, 접촉여재 부착성인 경우 우점 퀴논이 UQ-8이었다. 외부탄소원을 주입한 경우, 미생물 군집 구조특성은 미주입시보다 혐기조에서 MK-8 비가 감소하고 UQ-8비, 퀴논종수, DQ값과 EQ값는 증가하였다. 외부탄소원 주입시 탈질향상은 주로 무산소조에서 일어났으며 UQ/MK비가 2.3에서 1.4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주로 UQ-8의 감소와 MK-7 및 MK-8의 증가에 의한 요인으로 미생물군집구조가 Pseudomonas sp.에서 Bacillus 및 Micrococcus sp. 같은 종의 구조로 변화함을 의미한다. 호기조에서 부유성인 경우 우점퀴논이 UQ-7에서 UQ-8으로, 부착성인 경우 UQ-8에서 UQ-10으로 변하였는데 이는 부유성에서 Nitrosomonas가 부착성에서 Nitrobactor의 존재비가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뇌허혈 손상에 있어서 해마-세포외액내 Glutamate와 Polyamine 농도의 변동에 관한 연구 (Changes of Glutamate and Polyamine Levels of Hippocampal Microdialysates in Response to Occlusion of Both Carotid Arteries in Mongolian Gerbils)

  • 신경호;김형건;최상현;조소현;천연숙;전보권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3-289
    • /
    • 1994
  • 뇌-허혈후 나타나는 신경세포의 손상에 glutamate의 과다한 유리와 그의 N-methyl-D-aspartate (NMDA) 수용체: calcium 통로 활성작용 및 polyamine중 putrescine의 증가로 인한 신경세포내 $[Ca^{2+}]$의 상승과 관련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Mongolian gerbil에서 5분간 경동맥을 차단하여 뇌-허혈을 가한후 재관류시 해마의 세포외액내 polyamine, glutamate, acetylcholine농도, 해마의 $[^3H]MK-801$ 결합능의 변동 및 해마조직소견의 변동에 미치는 비가역성 ornithine decarboxylase (ODC) 억제제인 difluoromethylornithine (DFMO), diamine oxidase (DAO) 억제제인 aminoguanidine (AG), NMDA 수용체 길항제인 MK-801 및 calcium 통로 차단제인 nimodipine (NM)의 효과를 비교-검색하였다. 해마 세포외액내 polyamine, glutamate 및 acetylcholine은 microdialysis probe를 해마의 CA1부위에 위치시킨 후 나온 분취액을 HPLC와 lumin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해마조직에서 신경세포의 손상은 cresyl-violet 염색법으로 관찰하였다. 허혈후 해마 세포외액내 putrescine농도는 5분이내에 급속히 증가하여 뇌-허혈후 96시간까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AG과 MK-801 처치시 saline 처치군에 비하여 증가정도가 상승되었으나 NM과 DFMO 처치로 putrescine의 증가는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해마 세포외액내 glutamate의 농도는 허혈후 5분 이내에 9배이상 유의하게 증가한 후 급격히 감소되어 25분후에는 정상치로 회복되었으나, 이같은 변동은 AG, DFMO 및 MK-801 처치로 영향을 받지 않았고 NM 처치로는 glutamate의 증가가 둔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해마 세포외액내 acetylcholine 농도는 허혈에 의하여 큰변동이 없었으나 허혈전 acetylcholine농도는 DFMO나 MK-801처치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해마-synaptosome막의 $[^3H]MK-801$ 결합능은 saline 처치군에 비하여 AG과 MK-801 처치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해마의 조직소견상 AG과 NM은 허혈후의 신경세포손상을 억제하고, MK-801은 손상의 예방에 별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DFMO는 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의 손상을 더욱 악화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NM과 다른기전으로 AG은 해마신경세포의 손상을 NMDA-수용체: calcium 통로의 활성화를 조절하여 허혈성 뇌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