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ICU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간호중재분류체계 (NIC)를 이용한 내외과계 중환자실 간호중재 분석 (Analysis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done by MICU and SICU nurses using NIC)

  • 류은정;최경숙;권영미;주숙남;윤숙례;최화숙;권성복;이정희;김복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457-467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MICU and SICU nurses.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used the taxonomy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 433 nursing interventions) which was modified by McCloskey and Bulecheck(1996). Each of the 433 interventions were identified as used by MICU and SICU nurses. More than 50% of the ICU nurses performed 280 nursing interventions at least monthly. Rarely used interventions included 26 nursing interventions in the childbearing care class. Overall, both MICU and SICU nurses used interventions in the Physiological : Complex domain most often on a daily basis and the interventions in the Family domain least often.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interventions as being used daily in the MICU were chest physiotherapy, airway suctioning and coughing enhancement and, in the SICU, documentation and airway suction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ICU and SICU nurses in 17 nursing interventions childbearing care, cognitive therapy, communication enhancement, coping assistance, elimination management, lifespan care, health system mediation, immobility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neurologic management, patient education, psychological comfort promotion, physical comfort promotion, respiratory management, risk managem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The SICU nurses performed there interventions more frequently than the MICU nurses. These findings will help in building of a standardized language for the MICU and SICU and enhanc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 PDF

APACHE Ⅲ를 이용한 중환자 분류도구의 타당도 검증 (Patient Severity Classification in a Medical ICU using APACHE Ⅲ and Patient Severity Classification Tool)

  • 이경옥;신현주;박현애;정현명;이미혜;최은하;이정미;김유자;심윤경;박귀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243-125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atient Severity Classification Tool by examin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PACHE Ⅲ and the Patient Severity Classification Tool and to propose admission criteria to the ICU.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APACHE Ⅲ developed by Knaus and the Patient Severity Classification Tool developed by Korean Clinical Nurses Association.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56 Medical ICU patients during their first 24 hours of admission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y three trained Medical ICU nurses from April 20 to August 31 1999.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x^2$, Wilcoxon rank sum test, and Spearman rho.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cores of the APACHE III and the Patient Severity Classification Tool. Mortality rate was increased as patients classification of severity in both the APACHE III and the Patient Severity Classification Tool scored higher. The Patient Severity Classification Tool was proved to be a valid and reliable tool, and a useful tool as one of the severity predicting factors, ICU admission criteria, information sharing between ICUs, quality evaluations of ICUs, and ICU nurse staffing.

  • PDF

한 대학병원 내과계 중환자실로 입원한 폐암 환자들의 임상 특성 및 예후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Lung Cancer Patients Admitted to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at a University Hospital)

  • 문경민;한민수;이성규;전호석;이양덕;조용선;나동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1호
    • /
    • pp.27-32
    • /
    • 2009
  • 연구배경: 최근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기계환기 등의 적극적인 치료를 받는 폐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폐암 환자의 임상적인 특성과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4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폐암 환자 88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는 88명(평균 나이, 66세)이었으며 비소세포폐암이 71명(80.7%), 소세포폐암이 17명(19.3%)이었다. 79명(89.8%)에서 전이가 있었으며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주된 이유로는 급성호흡부전(77.3%), 패혈증(11.4%), 중추신경계 기능장애(4.5%) 순이었다. 54명(61.4%)이 기계환기 치료를 받았다. APACHE II 점수, 중환자실 입원기간, 입원 경로, 기계환기 등과 중환자실 사망률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조직형, 전이 여부 등은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결 론: 중환자실 사망률은 65.9%이었으며, 중환자실 사망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인자는 APACHE II 점수, 중환자실 입원 기간, 입원 경로, 기계환기 등이었다.

돼지 mitochondrial calcium uptake 1 (MICU1) 유전자의 3'UTR 내 SNP가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morphisms in the 3' Untranslated Region of the Porcine Mitochondrial calcium uptake 1 (MICU1) Gene on Meat Quality Traits)

  • 지예솔;조은석;전현정;이시우;임규상;김태헌;이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232-1236
    • /
    • 2016
  • Mitochondrial calcium uptake 1 (MICU1)은 2개의 canonical EF hands를 가지고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위치하여, 미토콘드리아의 칼슘 섭취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육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칼슘 섭취는 사후에 급속냉각 또는 냉장 시, 근육 내 칼슘 방출로 인한 강직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궁극적으로는 육질 형성에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돼지 MICU1 유전자의 exon영역의 변이를 탐색하고, 발굴된 변이에 대해 육질 형질과의 연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버크셔 667두(암퇘지 347두, 거세수퇘지 320두)가 이용되었으며, MICU1 유전자의 cDNA를 염기서열 해독하여 비교함으로써 exon 영역의 변이를 발굴하였다. 그 결과 MICU1의 3' 비해독 영역(untranslated region, UTR)에서 3개의 단일염기다형성(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SNP)를 발견했다. 그리고 이들 SNP에 대해 공시돈의 육질형질(근육 pH, 육즙 손실, 육색, 근내지방함량)과 연관성 분석을 실시했다. SNP1 (c.*136G>A)에서는 육즙 손실(p=0.017), 근내지방함량(p=0.039)과 연관되어 있었고, SNP2 (c.*222G>A)와 SNP3 (c.*485G>A)에서는 각각 육즙 손실(p=0.018)과 근내지방함량(p<0.001)과 연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결과를 바탕으로, 돼지에서 육질과 관련된 후보 유전자로 추정된 MICU1 유전자로부터 3' 비해독 영역의 변이가 유의적으로 육질 형질과 관련되어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향후 MICU1 유전자의 3' 비해독 영역의 변이들에 기능적 역할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분자생물학적 특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내과 및 외과계 중환자실 환자 균혈증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spects of Bacteremia in Medical and Surgical Intensive Care Units)

  • 김은옥;임채만;이재균;명승재;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동순;김원동;박평환;최종무;배직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4호
    • /
    • pp.535-547
    • /
    • 1995
  • 연구배경: 균혈증은 중환자실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로 일반 병실에서 보다 그 빈도가 더 높고 중환자의 사망률을 높이는 원인이 되며, 중환자실의 종류에 따라 감염의 선행요인, 원발부위, 원인 균주, 예후에 차이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저자 등은 본원의 내과계와 외과계 중환자들에서 발생한 균혈증의 임상적, 세균학적 양상과 예후 등에 있어서, 양 중환자 군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90년 2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균혈증이 증명되었던 내과계 중환자 189예와 외과계 중환자 67예를 대상으로 병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임상적, 세균학적 특징과 예후를 비교하였다. 결과: 1) 균혈증이 확인된 내과계 중환자는 전체 내과계 중환자에 비해 평균 연령이 높았으나, 외과계 중환자에서는 균혈증이 있었던 환자와 전체 외과계 중환자 간의 평균 연령의 차이는 없었다. 균혈증이 확인된 중환자는 전체 중환자에 비해 중환자실내 평균 재실 일수가 길었으며, 균혈증은 전체 평균 재실 기간을 초과한 상태에서 발생하였다. 2) 중환자의 균혈증 발생률은 내과계(7.9%)가 외과계(2.4%)보다 많았으나, 균혈증 환자의 평균 연령, 남녀비, 중환자실 재실 기간은 양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3) 외과계 균혈증 중환자는 내과계에 비해 균혈증 전 전신적 항생제나 부신피질 호르몬 사용, 감염과 연관된 경피적 장치, 침습적 조직이 선행되었던 경우가 많았다(전신적 항생제 사용: 내과계 45%, 외과계 63%, p<0.05; 부신피질 호르몬 사용: 내과계 14%, 외과계 36%, p<0.01; 기계장치: 내과계 19%, 외과계 39%, p<0.01; 침습적 조작: 내과계 19%, 외과계 61%, p<0.01). 4) 균혈증 획득 장소의 분포는 내과계의 경우 원외 균혈증 빈도(42%)가 외과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고, 외과계는 중환자실내 획득 균혈증 빈도(78%)가 높았다(p<0.01). 5) 양 중환자실에서 균혈증의 원인 균주, 원발병소는 차이가 없었으며, 중환자실내 획득 균혈증의 경우 균혈증 발생 병일에도 차이가 없었다. 6) 균혈증의 원인 균주나 원발병소에 따른 예후의 차이는 없었다. 7) 균혈증 중환자의 사망률은 내과계(72.5%)가 외과(40.3%)보다 높았으며, 균혈증이 없었던 환자의 사망률에 비해 양 중환자군 모두 균혈증을 동반한 경우 사망률이 높았다(p<0.05). 결론: 균혈증을 가진 중환지는 일반 중환자에 비해 사망률이 더 높았으며, 평균 재실 기간을 초과한 상태에서 감염에 이환되고, 이는 다시 중환자실 재실 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내과 및 외과계 중환자에 따른 비교에서 내과계 균혈증 증환자는 선행 요인에 있어 간질환과 급성 호흡부전이 많았고 지역사회 획득 균혈증이 많았으며 사망율이 더 높았던 반면, 외과계 균혈증 중환자는 선행 요인으로 외상, 항생제나 면역억제제 시용 및 침습적 조작의 빈도가 많았으며 중환자질내 획득 균혈증의 빈도가 높았으나 사망률은 내과계보다 낮았다 양 균혈증군에서 균혈증의 원발 병소, 원인 균주 및 이에 따른 사망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내과계 중환자 섬망발생 선별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Delirium Occurrence Screening Model for Patients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s)

  • 이현심;김소선
    • 임상간호연구
    • /
    • 제19권3호
    • /
    • pp.357-368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isk factors related to delirium and to develop screening model on delirium occurrence in MICU (Medic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Methods: For developing a preliminary tool for delirium, the data of 166 pati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estimate the accuracy and discriminating power for the developed screening model, 98 patients were enrolle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review from January to September in 201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PC Win 18.0 program. Results: Screening model on delirium in MICU patients was developed using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The total score of screening model was 24 point and measuring point was 10 point. When the measuring point is over 10 point, it means that the risk of delirium occurrence is high. The discriminating power and the validity of screening model showed AUC .908 (p <.001) and .935 (p <.001) respectively. This result showed that the screening model on delirium which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n appropriate model for screening the delirium risk group in MICU. The sensitivity of the screening model was 83%, specificity 89% and accuracy 84%. Conclusion: The developed screening model on delirium occurrence in MICU should be combined with EMR for screening and preventing delirium in a high risk group.

내과계 중환자실 재원 성인 환자의 Clostridium difficile associated Diarrhea에 대한 Metronidazole과 Vancomycin의 치료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Vancomycin and Metronidazole for the Treatment of 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Diarrhea (CDAD)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 (MICU))

  • 조은애;이경아;김재송;김수현;손은선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7-82
    • /
    • 2017
  • Background: Clostridium difficile associated diarrhea (CDAD) is a leading cause of hospital-associated gastrointestinal illness. Risk factors for CDAD include advanced age, long-term admission, antibiotics, proton-pump inhibitor or $H_2$ blocker use and immunosuppression. The practice guideline of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3) suggests metronidazole for the first-line therapy of mild-moderate CDAD as well as vancomycin for severe CDAD. MICU inpatients receiving stress ulcer prophylaxis and antibiotics are susceptible to nosocomial CDA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occurrence and treatment of CDAD in MICU. Methods: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MICU and had CDAD from August 2012 to August 2015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Of the 90 patients with CDAD, 20 patients (2.22%) had mild-moderate CDAD (16 received metronidazole and 4 received vancomycin therapy) and 70 patients (77.8%) had severe CDAD(54 received metronidazole and 16 received vancomycin therapy). Among the patients with mild- moderate CDAD, treatment with metronidazole or vancomycin resulted in same clinical cure in 50% of the patients (p=1.00). Among the patients with severe CDAD, treatment with metronidazole or vancomycin resulted in clinical cure in 40.7% and 50.0% of the patients, respectively (p=0.511). Clinical symptoms recurred in 7.4% of the severe CDAD patients treated with metronidazole and 6.3% of those treated with vancomycin(p=0.875).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metronidazole and vancomycin are equally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mild-moderate CDAD; however, vancomycin demonstrated higher clinical cure rate and lower recurrence rate for severe CDAD,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etter clinical outcomes, appropriate medication use by disease severity is needed.

간호수가 누락률 감소활동 (Activity to reduce the record missing for nursing care charge)

  • 김난자;이용교;김혜진;정옥주;송남경;전미순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3-78
    • /
    • 2009
  • 문제: 오늘날 간호사는 과거와 달리 현대적 보건의료 요구를 해결할 수 있는 체계적인 이론과 기술을 습득하도록 훈련된 고급 전문 인력이고, 간호행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생산원가 뿐만 아니라 전문 인력으로서의 훈련 및 유지비용 등도 투입되어야만 가능하게 함으로서 2008년 7월부터 시행한 중환자실 간호등급에 따른 간호수가 책정으로 인해 중환자실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많은 간호행위 중 수가를 받을 수 있는 부분이 생기게 되었고 간호행위의 중요성과 더불어 간호를 시행 후 받을 수 있는 수가에 대한 간호사들의 입력에 대한 의무도 늘어나게 되었다. 이에 빈번히 누락되고 있는 간호수가 관리를 통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해야 할 필요성을 느껴 개선활동을 하고자 한다. 목적: 2008년 7월부터 시행한 중환자실 간호등급에 따른 간호수가 책정으로 인해 중환자실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간호 행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구체적인 문제 분석과 간호 현장에서의 개선안을 도출함으로써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간호수가 누락률을 감소시키고자 함이다. 의료기관: 대구파티마병원 내과 중환자실. 질 향상 활동: 업무개선의 방법으로 환자 개인별 간호수가 입력 누락 방지 체크 리스트 사용 및 처방 전달 시스템의 간호수가 재입력 화면을 이용하여 입력의 용이성 도모하였고 입력된 간호수가를 처방 전달 시스템 간호수가 조회 프로그램을 이용해 익일 누락여부를 매일 모니터링 하였다. 교육 및 홍보활동으로는 간호수가 입력누락 방지를 위한 간호수가 입력 지침을 제작하여 전체간호사는 년 2회, 신규간호사는 개별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월별 간호수가 누락통계를 실명 공고 하여 간호수가 다 빈도 누락 간호사는 추가 개별교육을 실시하였다. 개선효과: 간호수가 입력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간호수가 평균 누락률이 개선 전 6.5%, 개선 후 1.2%로 5.3%의 누락 감소율을 보였으며 역치 5%를 달성하였고 간호수가 누락금액은 개선 전 2,992,752원, 개선 후 590,787원으로 2,401,965원의 누락 효과 비용을 구할 수 있었다. 본 QA활동으로 중환자실 간호수가 전산입력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부재와 신규간호사들의 잦은 전산누락이 있어왔으나 표준화 된 체크리스트 지침과 입력확인 작업으로 전산입력 누락률이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추후 심평원 청구 작업을 하는 부서와 연계되어 실제 청구 누락률에 대한 비교와 간호사 근무연수와 간호수가 입력 누락률에 대한 상관관계 조사를 제언 해 본다.

  • PDF

손마사지가 허혈성 심질환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and Massage Program on Anxiety in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ease)

  • 현경선;이향련;공송심;윤경자;김현섭;김효남;최지원;김운정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40-34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hand massage program on anxiety, vital sign and pain in cl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The design utilized for this study was quasi-experimental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subjects were fifty-four patients, twenty-eight for the experimental and twenty-six for the control group, who were admitted with ischemic heart diease at a cardiac intensive care unit in K medical center of K universi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May, 1999 to March, 2000. The level of anxiety and pain measured by Visual Analogue Scal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hand massage, the state of Anxiety was measured by the Spielberger (1970) scale at admission and after hand massage for three days.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the SPSS PC program and analyzed using $\chi^2$-test and t-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scores of VAS anxiety and State of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2. The degree of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3. The score of VAS pai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uggested that hand massage can decrease VAS anxiety, State of anxiety, vital signs and VAS pain of patients who were admitted with ischemic heart disease at cardiac intensive care unit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hand massage is an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 to relieve anxiety of the patients who were admitted with ischemic heart disease at a cardiac intensive care unit.

  • PDF

중환자실 간호대상자의 설사발생 및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Related to Diarrhea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 정효지;권시내;김진숙;차은지;강윤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18권1호
    • /
    • pp.149-158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cidence and factors related to diarrhea in an intensive care unit (ICU). Methods: Retrospective correlational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reviewing medical records of 210 patients stayed at an ICU in one university hospital, Seoul.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if they 1) had no gastrointestinal disorders or fecal incontinence before coming to the ICU, 2) stayed longer than 5 days at the ICU, 3) were not on stool softners, 4) were without abdominal surgery, and 5) were 20-year-old or older. Results: The incidence of diarrhea was 27.1%. Durations of ICU stay, antibiotics administration, and enteral feeding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correlated with diarrhea. The enteral feeding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diarrhea in ICU. Conclusion: Since characteristics of diarrhea in ICU patients is shown to be multifactorial, nursing strategies for evaluating and managing related factors are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