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B-1

검색결과 992건 처리시간 0.028초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한 표지염색체의 분자세포유전학적 특성 (Molecular Cytogenetic Characterization of Supernumerary Marker Chromosomes by Chromosomal Microarray)

  • 배미현;유한욱;이진옥;홍마리아;서을주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8권2호
    • /
    • pp.119-124
    • /
    • 2011
  • 목적: 표지염색체(supernumerary marker chromosome, SMC)는 유래한 염색체에 따라서 임상 증상이 다양하다. 본 연구는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하여 SMC의 기원을 밝히고 각 증례마다 분자세포유전학적 특성과 임상 표현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염색체 검사에서 SMC가 검출된 환자들 중에서 15번 염색체 유래를 제외한 4명의 환자에서 CGH 기법의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를 시행하였다. 결과: 3명의 환자에서 유래된 염색체 부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증례1은 1q21.1-q23.3에서 16.1 Mb의 SMC를 가졌고, 증례2는 19p13.11-q13.12에서 21 Mb, 증례3은 22q11.1-q11.21과 22q11.22-q11.23의 두 구간에서 각각 2.5Mb와 2.0Mb로 재배열된 4.5 Mb의 SMC를 나타내었다. 결론: 증례1은 1q21.1 중복증후군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임상표 현형을 나타내었다. 증례2는 아스퍼거 증후군과 유사한 정신행동 이상 소견은 19p12-q13.11, 청력장애와 사시는 19p13.11, 그 외 증상은 19q13.12의 유전자와 연관 가능성이 높다. 증례3은 묘안 증후군 type I 및 22q11.2 미세중복증후군과 비교했을 때 항문폐쇄는 22q11.1-q11.21, 그 외 증상들은 22q11.22-q11.23과 연관성을 시사하였다. 고해상도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은 SMC의 유래를 확인할 수 있고 유전형-표현형 상관성을 이해함으로써 유전상담에 도움이 된다.

기록물에서 분리된 미생물에 대한 훈증소독의 효능검증과 독성조사 (Confirmation of fumigation effect on and toxicity analysis on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records)

  • 조이형;신종순;윤대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31-243
    • /
    • 2001
  • Methyl bromide(MB)와 Ethylene oxide(ETO) 혼합기체를 사용하는 훈증소독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록물에서 분리해 낸 미생물을 이용하여 MB와 ETO 혼합기체의 훈증소독효과를 검증하였고, 또한 미생물들에 대한 독성도 조사하였다. 미생물과 곤충에 대한 훈증소독의 살균 및 살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기록물에서 분리한 미생물 및 해충에 대해 MB와 ETO 혼합기체[86 : 14(Vol.%)를 농도별, 처리시간별로 조건을 설정하여 훈증을 실시하였다. 해충은 모든 조건의 실험에서 전부 살충되었다. 그러나, 미생물의 경우는 MB와 ETO 혼합가스농도 $120g/m^3$에서 24시간 이상을 처리했을 때만 살균효과가 있었다. 기록물에서 분리해 낸 미생물들에 대해 독성을 조사하기 위해 효모, 무씨, 암 세포 주를 대상으로 독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Apergillus oryzae 한 종류만 독성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MB와 ETO 혼합가스에 의한 훈증소독은 해충의 경우는 낮은 농도에서도 효과가 있으나, 미생물은 높은 농도로 훈증을 해야만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록물에서 분리해 낸 대부분의 미생물들은 인체에 유해한 가능성이 낮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었다.

유방암 동물모델에서의 저강도 집속초음파를 이용한 마이크로버블 및 마이크로버블-나노물질 복합체 기반 항암제 전달 효율 검증 (Effects of Anticancer Drug Delivery based on Microbubble and Microbubble-Nanoparticle Complex using Low-Intensity Focused Ultrasound in Breast Cancer Animal Model)

  • 백희규;하신우;허형규;정병진;한문;문형원;김상균;이학종;박주영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9-47
    • /
    • 2019
  • Ultrasound sonication along with microbubble (MB) could enhance drug delivery to promote the absorption of anticancer drugs into cancers in a noninvasive and targeted manners. In this study, we verify the acute drug delivery enhancement (within an hour) of two representative focused ultrasound driven drug delivery enhancement methods (MB and Doxorubicin-coated Nanoparticle complex (MB-NP) based).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in vivo mouse model with MDA-MB-231 breast cancer cell line. Ultrasound generated by single-element 1 MHz focused ultrasound transducer was delivered in pulsed sonication consisted of 0.125 msec bursts at a pulse repetition frequency of 2 Hz for 20 seconds without a significant increase in local temperature (less than $0.1^{\circ}C$) or hemorrhage. Doxorubicin concentrations in tumors were improved by 1.97 times in the case of MB-NP, and 1.98 times by using Doxorubicin and MB separately. These results indicate anticancer drug delivery based on MB and MB-NP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effect of anticancer drugs delivered to tumors in a short time period by using low-intensity focused ultrasound.

본딩 구조에 따른 광섬유 자왜변환기의 응답특성 (Magnetostrictiv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fiber-optic transducers with different bonding configurations)

  • 박무윤;김태균;이경식
    • 한국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2-76
    • /
    • 1996
  • Metallic glass 1605SC, 2826MB 두 재질에 대해 세 가지 본딩 구조를 가지는 광섬유 자왜변환기를 구성하여 구조에 따른 여러가지 자왜응답특성을 측정해 보았다. 측정결과 두 재질 모두에서 양끝 본딩이 경우 가장 좋은 자왜응답특성을 보였다. 2605SC의 경우 양끝 본딩구조를 가진 자왜변환기의 유효자왜상수 $C_{eff}$, saturation magnetostriction .lambda.$_{s}$ , 최소감지자계 $H_{min}$은 각각 1.2*$10^{-5}$O $e^{-2}$ , 7.4*$10^{-4}$ , 1.6*$10^{-7}$ Oe/.root.Hz로 측정되었고, 2826MB재질의 경우 양끝 본딩구조에서의 유효자왜상수 $C_{eff}$, saturation magnetostriction .lambda.$_{s}$ 는 각각 7.6*$10^{-6}$ O $e^{-2}$ , 3.4*$10^{-4}$ 로 측정되었다.되었다.

  • PDF

Cytotoxic Neoflavonoids and Chalcones from the Heartwood of Dalbergia melanoxylon

  • Chung, Ha Soo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8권3호
    • /
    • pp.115-120
    • /
    • 2022
  • Ten compounds, consisting of neoflavonoids (1-5), isoflavonoids (6 and 7), flavanone (8), and chalcones (9 and 10) were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and n-butanol-soluble fractions of the heartwood of Dalbergia melanoxylon. The chemical structure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evidence and compared to previously reported spectra. Compounds 1-10 were evaluated for cytotoxicity against HCT116 human colorectal cancer, MDA-MB-231 human metastatic breast cancer, and A2058 human melanoma cell lines. Among them, compounds 3 and 10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 activity with IC50 values of 11.92±1.07 μM, 10.83±1.02 μM, and 14.37±1.02 μM, 13.62±1.09 μM against HCT116 and MDA-MB-231 cell lines, respectively. Compounds 9 and 10 also had cytotoxic activity with IC50 values of 13.49±1.18 μM and 9.82±0.91 μM against A2058 cell lines, respectively. To the best our knowledge, compounds 2 and 5-10 were isolated from this source for the first time.

A 150-Mb/s CMOS Monolithic Optical Receiver for Plastic Optical Fiber Link

  • Park, Kang-Yeob;Oh, Won-Seok;Ham, Kyung-Sun;Choi, Woo-Young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6권1호
    • /
    • pp.1-5
    • /
    • 2012
  • This paper describes a 150-Mb/s monolithic optical receiver for plastic optical fiber link using a standard CMOS technology. The receiver integrates a photodiode using an N-well/P-substrate junction, a pre amplifier, a post amplifier, and an output driver. The size, PN-junction type, and the number of metal fingers of the photodiode are optimized to meet the link requirements. The N-well/P-substrate photodiode has a 200-${\mu}m$ by 200-${\mu}m$ optical window, 0.1-A/W responsivity, 7.6-pF junction capacitance and 113-MHz bandwidth. The monolithic receiver can successfully convert 150-Mb/s optical signal into digital data through up to 30-m plastic optical fiber link with -10.4 dBm of optical sensitivity. The receiver occupies 0.56-$mm^2$ area including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iodes and bonding pads. To redu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when the light is not over threshold or not modulating, a simple light detector and a signal detector are introduced. In active mode, the receiver core consumes 5.8-mA DC currents at 150-Mb/s data rate from a single 3.3 V supply, while consumes only $120{\mu}W$ in the sleep mode.

전송로의 오율 조건하의 D3/PCM 신호의 프레임 동기회로의 실현

  • 김광조;장영식;박용호;백창현
    • ETRI Journal
    • /
    • 제9권2호
    • /
    • pp.96-105
    • /
    • 1987
  • 1.544Mb/s 속도의 D3/PCM 신호를 수신할때 프레임 동기를 위한 확률적인 방법으로 BER 조건 및 es, em에 의한 동기회로의 성능을 계산하였으며, 이론적인 분석이 가능한 실제 하드웨어로 실현하였다. 실현된 회로에 의하면 전송로의 BER이 최악인 $10^-2$이고 es=0, em=2인 경우, 초기 탐색시간, 동기 유지시간, 재동기 시간은 각각 2.87ms, 9.9시간, 2.69ms가 된다. 또한 실제 전송로의 환경 조건에 따라 쉽게 하드웨어를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544Mb/s 속도를 새로운 신호형태에도 간단히 개조하여 적용할 수 있다.

  • PDF

MLS계 항생물질 유도내성 유전자의 크로닝과 유전자의 발현조절 기전 - Staphylococus aureus TR-1균주의 프라스미드 pMB4에 존재하는 MLS 내성 유전자 ermC-4 (Cloning of Inducible MLS Antibiotics Resistance Genes and their Expression Control Mechanism - ermC-4, a macrolide-lincosamide-streptogramin B resistance determinant on pMB4 from Staphylococcus aureus TR-1)

  • 김수환;최응칠;김병각;심미자
    • 약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2-29
    • /
    • 1991
  • pMB4 is a 2.4-kilobase plasmid of Staphylococcus aureus TR-1 that confers inducible resistance to the macrolide-lincosamide-streptogramin B(MLS) antibiotics. By subcloning studies, it was found that the MLS resistance determinant was located at 1.0Kb fragment between Sau3AI and TaqI sites. DNA sequence of the MLS resistant determinant, named ermC-4 was determined, and found to be highly homologous with that of ermC. Because the leader peptide sequence of ermC-4 was identical with that of ermC, the expression of the resistance gene is thought to be controlled by posttranscriptional attenuation in S. aureus TR-1.

  • PDF

MB-OFDM UWB 시스템에서 DAA 기술 기준 적용을 위한 피 간섭 신호 검출 방안 연구 (A Detection Algorithm Study of the Victim Signal for the DAA Regulation in MB-OFDM UWB System)

  • 신철호;최상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1297-1307
    • /
    • 2009
  • 본 논문의 목적은 3.1~4.8 GHz 대역에서 UWB를 허용하기 위해 MB-OFDM UWB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 silent time 동안 MB-OFDM UWB 시스템 수신 구조를 이용하여 국내 DAA 기술 기준에서 정한 -80 dBm/MHz 이상의 피 간섭 신호를 검출하고 피 간섭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는 것이다. 국내 DAA 기술 기준에서는 UWB 기기에서 -80 dBm/MHz 이상의 피 간섭 신호를 검출할 경우, 2초 이내에 회피 동작을 수행하도록 정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UWB 통신 채널 변경을 통한 간섭 회피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80 dBm/MHz 이상의 피 간섭 신호를 시간 영역 수신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피 간섭 신호 검출 알고리즘과 UWB 통신 대역을 유지하면서 피 간섭 신호가 존재하는 대역에서만 송신 출력을 -70 dBm/MHz 이하로 낮추는 tone-nulling 회피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주파수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피 간섭 신호의 subcarrier 위치를 추적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였다.

황칠나무 줄기 추출물의 MCF-7과 MDA-MB-231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증식억제 효과 (Anti-cancer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in MCF-7 and MDA-MB-231 Cells)

  • 임규정;장새별;유동열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6-39
    • /
    • 2015
  • Objectives : Dendropanax morbifera is known as a tree that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for various diseases. However, its biological activities in cancer have not yet been clearly elucidat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cancer effects of water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DP) on 2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estrogen dependent MCF-7 and estrogen independent MDA-MB-231). Methods : The MTT assay and flow cytometry were used to assess cell proliferation, along with cell cycle analysis. Nitric oxide production was detected by Griess assay. The expression of apoptosis related gene was assessed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Results : Our data revealed that DP inhibits the cell growth in a dose dependent manner (0, 50, 100, 250, and 500 μg/ml) of both estrogen independent MDA-MB-231 and estrogen dependent MCF-7 breast cancer cells. Also, LPS 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DP. Cell cycle analysis showed an increased G1 phase in the MCF-7 cell and G2/M phase in the MDA-MB-231 cell. DP decreased mRNA expression of apoptotic suppressor gene Bcl-xL, and increased mRNA expression of pro-apoptotic genes. DP increased mRNA expression of p21, and Rip1 in both cell. And DP decreased mRNA expression of survivin in the MCF-7 cell. Conclusions :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P extract are source of anti-cancer potential and could be developed botanical dru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