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63 cell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32초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에서 Paclitaxel 매주투여 및 방사선치료 동시요법 (Concurrent Chemoradiation with Weekly Paclitaxel in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배강우;송탁호;양주연;김윤섭;박재석;지영구;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4호
    • /
    • pp.351-357
    • /
    • 2004
  • 연구배경 : 최근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의 병용치료는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있어서 표준치료방법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동시요법이 순차적요법에 비해 치료반응율에 있어서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보이고 방사선감작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paclitaxel (60 $mg/m^2$) 매주투여와 동시 방사선요법의 III병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의 치료효과와 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방 법 : III병기 비소세포폐암 환자 22명 (IIIA:6, IIIB:16)을 대상으로 paclitaxel (60 $mg/m^2$)을 제 1, 8, 15, 22, 29, and 36일째에 매주 투여하고 동시에 54 Gy의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다. 초기 동시치료를 종료하고 paclitaxel (175 $mg/m^2$)/cisplatin (75 $mg/m^2$) 혹은 paclitaxel (175 $mg/m^2$)/carboplatin (6AUC) regimen 으로 보강화학요법을 3주 간격으로 2주기 시행하였다. 결 과 : 전반적 치료반응율은 81.8% (18/22)로서 완전관해가 9.1% (2/22), 부분관해가 72.7% (16/22)의 결과를 보였다. 두명의 (9.1%) 환자가 치료종료 후 방사선폐장염의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3도 이상의 독성 반응은 방사선폐장염 (22.7%), 식도염 (22.7%), 신경병증 (13.6%), 및 백혈구감소증 (13.6%)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중앙생존기간은 15개월이었고 1년 및 2년 생존율은 각각 63.6%와 31.8%였다. 결 론 :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paclitaxel 매주 투여에 의한 동시 방사선요법은 우수한 종양반응율을 나타내지만 치명적인 방사선폐장염의 발생 위험이 있으므로 향후 보완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리쟁이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Antioxidative Activity of Rumex crispus L. Extract)

  • 임태진;최무영;박희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68-57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소리쟁이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소리쟁이 추출물의 농도는 2.15 mg/mL으로 ${\alpha}$-tocopherol의 $IC_{50}$(0.43 mg/mL)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총항산화능은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으로 측정하였다. 소리쟁이 추출물 0.1 및 1 mg/mL의 총항산화능은 각각 0.47 및 2.33 m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으며, ${\alpha}$-tocopherol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소리쟁이 추출물 0.1 및 1 mg/mL의 superoxide 소거활성은 각각 21.5 및 78.9%이었으며, catechin에 비해 차이가 없었다. 소리쟁이 추출물 20 및 100 ${\mu}g/mL$의 pe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은 각각 62.5 및 156.4 ${\mu}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으며, ascorbic acid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소리쟁이 추출물 0.1 및 1 mg/mL의 구리이온 환원력은 각각 0.28 및 1.88 m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으며, ${\alpha}$-tocopherol에 비해 유사하거나 높게 나타났다. 소리쟁이 추출물은 hydroxyl 라디칼 및 peroxyl 라디칼로 유발된 supercoiled DNA strand 절단을 억제시켰다. 소리쟁이 추출물 0.5 및 5 mg/mL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0.58 및 3.85 m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배양에서 소리쟁이 추출물 0.1 및 0.5 mg/mL 농도의 첨가는 0.2 mM tert-butyl hydroperoxide로 유도된 세포독성을 각각 38.5 및 63.5%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소리쟁이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세포독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은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 억제와 높은 총페놀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Rat의 hepatocyte에서 $amyloid-{\beta$}$로 유발된 세포사, 지질과산화 및 세포산화에 대한 귀전우 열수 추출물의 보호효과 (Physiological Activity and Effects on Lipid Peroxidation of Hot Water-Extract Obtained from Euonymus alatus in Cultured Rat Hepatocyte)

  • Soo-Sung, Kim;Jong-Dae, Kim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3-63
    • /
    • 2001
  • 목적 : 귀전우 Euonymus alatus (Thunb.) Sieb로부터 얻은 추출물에 대하여 생리활성(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고, $amyloid-{\beta}{\;}(A{\beta})$가 지니는 Rat의 배양 Hepatocyte 세포독성에 대한 세포보호효과 및 세포막 지질의 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방법 : 귀전우 추출물과 항산화제인 BHT. ascorbic acid 및 ${\alpha}-tocopherol$을 각각 linoleic acid에 소정량 첨가하고 $50^{\circ}C$에서 일정기간 저장하여 linoleic acid의 산화 안정성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또한 유지 자동산화의 촉진인자인 금속이온($Fe^{3+},{\;}Zn^{2+}$) 을 첨가하여 귀전우 추출물의 금속이온봉쇄효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세포성지질의 과산화의 지표인 malondialdehyde(MDA)생성이 A{\beta}처리로 크게 증가하였으나 세포막파괴에 의한 세포파괴의 전형적인 현상이 귀전우 열수 추출물의 전처리와 후처리로 크게 감소되었다. 귀전우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항산화 효과는 전 농도별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시간 경과에 따른 항산화 효과에 있어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각 농도(5mg, 10mg 및 25mg)에서 유도기의 연장효과가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전우 추출물과 항산화제와의 비교에 있어서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 및 ascorbic acid 만큼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며,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 보다는 아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전우 추출물의 금속이온 봉쇄효과에 있어서는 linoleic acid에 귀전우 추출물과 $Fe^{3+}$$Zn^{2+}$을 첨가한 군이 귀전우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군보다 항산화 효과가 아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금속이온 봉쇄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귀전우 열수 추출물은 $A{\beta}$ 의한 세포파괴를 감소시키는 활성을 가지며 예방 및 보호효과를 나타내었고, hepatocyte에 대한 보호효과와 세포막지질 과산화의 저해 및 $A{\beta}$처리와 같은 독성에 대한 적응능력 향상을 통한 세포보호효과를 주는 것으로 간세포 보호 등의 임상적 응용에 그 효과가 기대된다.

  • PDF

해송이버섯(Hypsizigus marmoreus)의 영양성분과 추출용매에 따른 암세포 생장억제 효과 (Nutritional Component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Various Extracts from Haesongi Mushroom (Hypsizigus marmoreus))

  • 정은봉;조진호;조승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395-140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해송이버섯의 영양 가치와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영양성분을 분석하였으며 효과적으로 영양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매를 설정하고 그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상에서 항암활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해송이 버섯은 30.80%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송이버섯의 무기질 중 칼륨의 함량이 3383.3 mg/100 g으로 다른 무기원소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해송이버섯을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을 경우 $\beta$-glucan 9.32 mg/g, 단백질 17.71% 및 총당 39.93%이었으며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할 때보다 더 많은 영양성분들이 추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추출물의 수율 또한 53.34%로 높았다. 각각의 해송이버섯추출물에 의한 암세포 생장억제효과를 사람의 위암세포인 AGS와 간암세포 HepG2, 대장암세포 SW480으로 검토한 결과, 각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암세포 생장억제율이 증가함을 보여주었고, 물추출물이 에탄올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억제율을 보였다. AGS에 대해서는 물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1 mg/mL의 농도에서 모두 50%이상의 생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물추출물의 경우 HepG2에 대해서는 3 mg/mL 이상의 농도에서, SW480에 대해서는 5 mg/mL의 농도에서 50%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에탄올 추출물은 HepG2와 SW480에 대한 생장억제효과는 5 mg/mL의 농도에서도 50%미만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애플망고 잎의 추출물의 항산화 및 대식세포(RAW 264.7)에서 iNOS, COX-2 발현 저해 효과 (Antioxidant effect and iNOS, COX-2 Expression Inhibition on RAW 264.7 Cell of Mangifera indica L. Leafs)

  • 유단희;이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9호
    • /
    • pp.783-790
    • /
    • 2020
  • 본 연구는 애플망고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에 활성을 검증하여 연구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애플망고 잎의 열수와 70%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440.83±1.02, 475.63±1.3 mg/100 g TAE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위해 전자공여능 측정과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라디칼 소거능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모든 추출물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식세포내에서 애플망고 잎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MTT assay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세포의 독성이 나타나지 않은 농도구간에서 이하의 세포실험을 진행하였다. 항염증 활성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시키고 Griess assay를 이용해 nitric oxide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애플망고 잎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NO의 생산을 억제함을 나타내었다. LPS로 유도된 RAW 264.7세포에서 iNOS와 COX-2의 염증인자 생성억제를 mRNA발현 억제를 RT-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애플망고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의 우수한 효과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 천연소재로서의 유용성과 함께 화장품의 기능성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상아모세포의 조건배지를 이용한 백악모세포의 분화와 석회화 조절 (Regulation of cementoblast differentiation and mineralization using conditioned media of odontoblast)

  • 문상원;김혜선;송혜정;최홍규;박종태;김흥중;장현선;박주철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2호
    • /
    • pp.385-396
    • /
    • 2006
  • For the regeneration of periodontal tissues, the microenvironment for new attachment of connective tissue fibers should be provided, At this point of view, cementum formation in root surface plays a key role for this new attachmen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gure out which factor promotes differentiation of cementoblast Considering anatomical structure of tooth, we selected the cells which may affect the differentiation of cementoblast - Ameloblast, OD11&MDPC23 for odontoblasts, NIH3T3 for fibroblsts and MG63 for osteoblasts. And OCCM30 was selected for cementoblast cell line. Then, the cell lines were cultured respectively and transferred the conditioned media to OCCM30. To evaluate the result, Alizarin red S stain was proceeded for evaluation of mineralization. The subjected mRNA genes are bone sialoprotein(BSP), alkaline phosphate(ALP) , osteocalcin(OC), type I collagen(Col I), osteonectin(SPARC ; secreted protein acidic and rich in cysteine). Expression of the gene were analysed by RT-PC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alizarin red S staining, control OCCM30 didn't show any mineralized red nodules until 14 days. But red nodules started to appear from about 4 days in MDPC-OCCM30 & OD11-OCCM30. 2. For results of RT-PCR, ESP mRNAs of control-OCCM30 and others were expressed from 14 days, but in MDPC23-OCCM30 & OD11-OCCM30 from 4 days. Like this, the gene expression of MDPC23-OCCM30 & OD11-OCCM30 were detected much earlier than others. 3. For confirmation of odontoblast effect on cementoblast, conditioned media of osteoblasts(MG63) which is mineralized by producing matrix vesicles didn't affect on the mineralized nodule formation of cementoblasts(OCCM30). Thi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cementoblast mineralization is regulated by specific factor in dentin matrix protein rather than matrix vesicles. Therefore, we proved that the dentin/odontoblast promotes differentiation/mineralization of cementoblasts. This new approach might hole promise as diverse possibilities for the regeneration of tissues after periodontal disease.

젖소 유방염에 대한 국내산 봉독의 치료 효과 (Therapeutic effects of honeybee (Apis Mellifera L.) venom injection on bovine mastitis)

  • 한상미;이광길;여주홍;권해용;우순옥;오백영;이윤근;김봉순;백하주;김순태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5-123
    • /
    • 2007
  • The therapeutic effect of honeybee venom collected using be venom collector on bovine mastitis was investigated. Mastitic cows from four farms were selected in the Yang-pyeong areas. Chronic mastitic cows were injected with the various concentrations of honey-bee venom per da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duction rates of somatic cell counts (SCC) according to treatment concentration and method of bee venom. The milk SCC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concentrations of bee venom 3 days after treatment. The reduction rates of SCC in treatment of 3, 6, 12 and 24mg honeybee venom were 20, 43, 63.3 and 65.8% respectively. Honeybee venom treatment consisted of two methods, a syringeful and a Bovivet Spenstift. The treatment with Bovivet Spenstift was more effective in the reduction rates of SCC compared with the syringeful. Thirty two out of 53 quarters were cured by Bovivet Spenstift with 12mg bee venom per day for 14 days. The venom cure rates of bovine mastitis by Escherichia coli, Stapylococcus aureus, Gram positive bacteria and Gram negative bacteria were 33.3, 75, 75 and 43.8%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ee venom treatment (by Bovivet Spenstift with 12mg) might be effective for treatment of bovine mastitis.

오자연종환(五子衍宗丸)이 노화유발(老化誘發) 흰주의 항산화능(抗酸化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Ojayeonjonghwan(五子衍宗丸) on Antioxidant Capacity in D-galactose Induced Aging Rats)

  • 김기홍;정국훈;김광호;고성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9-63
    • /
    • 2005
  • Objectives : Ojayeonjonghwan(五子衍宗丸) is composed of Polygonum multiflorum THUNB, and some medical herbs that are known as formula of senescence delay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 effect of Ojayeonjonghwan on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such a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CAT), Glutathione preoxidase (GSH-px) in rat erythrocytes and blood plasma. Methods :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Normal group (supplied enough water and feeds only, Normal Group), D-galatose administered group(injected D-galatose 50mg/kg, 1time/day for 6 weeks, Control Group) and Ojayeonjonghwan administered group (D-galactose 50mg/kg and Ojayeonjonghwan extracts 245.0mg/200g 1time/day for 6 weeks, OJY Group). Rats were sacrificed and TBARS, SOD, CAT, GSH-px, Plasma total lipid, Plasma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were measured in rat erythrocytes and blood plasma. Results : TBARS in plasma concentration of OJY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Red blood cell(RBC) SOD activity of OJ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F=16.057, p=0.0001, ANOVA test), RBC GSH-px activity of OJY group was increased(F=4.271, p=0.034, ANOVA test). RBC catalase activities of all experimental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 in plasma of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plasma of OJY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F=4.387, p=0.032, ANOVA test).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Ojayeonjonghwan is effective in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and increasing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D-galactose induced aging rat.

  • PDF

생약으로부터 조제된 수증기 증류물의 면역활성 (Effect of Steam Distillates Prepared from Herbal Medicines on Immunostimulating Activity)

  • 이창호;김인호;김영언;김용조;황종현;유광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26-632
    • /
    • 2004
  • 30종의 생약으로부터 조제된 열수추출물 중, 가시오가피 (대조군의 75.6% 억제), 백출(71.3%), 인삼(70.0%), 감초 (66.3%) 및 당귀 (63.1%)는 2.5 mg/kg body weight의 농도에서 colon 26-M3.1 lung carcinoma에 대한 매우 높은 종양전이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나, 갈근(58.6%)과 진피(54.9%)를 제외한 다른 생약의 열수추출물은 그다지 높은 활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또한 진피(대조군의 1.80배),백출(1.73배), 가시오가피와 감초(1.64배) 등은 100$\mu\textrm{g}$/mL의 농도에서 Peyer's patch 세포를 매개로 한 조혈작용도 증강시킴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음료로서의 식품학적인 물성을 개선하고 비활성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열수추출물에서 활성을 나타낸 생약을 수증기 증류물로 조제하여 면역활성을 비교한 결과, 백출, 감초와 가시오가피가 2.5 mg/kg body weight에서 유의적인 종양전이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각각 58.7%, 50.3%와 41.9%), 백출은 0.25 mg/kg body weight의 저농도에서도 높은 종양전이 억제활성을 보여주었다(49.7%). 또한 수증기 증류물을 Peyer's patch 세포와 처리한 결과, 백출과 가시오가피는 10 $\mu\textrm{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골수세포의 증식작용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고 있음을 나타내었다(각각 1.49배와 1.28배). 수증기 증류물이 열수추출물보다 다소 낮은 면역 활성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백출 및 가시오가피 등과 같은 전통 생약은 열수추출물 뿐만 아니라 수증기 증류물에서도 높은 면역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과는 생약으로부터 조제된 수증기 증류물이 기능성 음료로서 식품산업에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개똥쑥에서 분리 확인된 endoperoxide ring 구조를 갖는 1,5-bis(4-methoxyphenyl)-6,7-dioxa-bicyclo[3.2.2]nonane의 항톡소포자충 효과 (1, 5 - bis (4 - methoxyphenyls) - 6, 7 - Dioxa-bicyclo [3.2.2] nonane's Anti-toxoplasmosis Effect that was Separated in Artemisin annula)

  • 강경화;김화경;김혜숙;카마타;와타야;박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2-85
    • /
    • 2007
  • The Chinese medicinal plant Artemisia annua is the source of the antimalarial compound artemisinin. By the way, Artemisin annula was known have endoperoxide ring structure is included and has anti-malarial effect. Malaria and Toxoplasma gondii (T. gondii) is belong to Apicomplexa genera. So, confirmed whether we go compound 1,5-bis(4-methoxyphenyl)-6,7-dioxa-bicyclo[3.2.2]nonane that have endoperoxide ring structure and there is anti-toxoplasmosis effect. The efficacy of 1,5-bis(4-methoxyphenyl)-6,7-dioxa-bicyclo[3.2.2] nonane alone was examined in vitro and in a murine model of acute toxoplasmosis. In vitro studies were peformed with HeLa cell cultures, with quantification of Toxoplasma growth by a cell proliferation assay. Selectivity of 1,5-bis(4-methoxyphenyl)-6,7-dioxa-bicyclo[3.2.2]nonane was 4.9 in vitro cell proliferation assay, this is higher than sulfadiazine (selectivity was 1.63). For in vivo studies, mice were acutely infected intraperitoneally with 10$^5$ tachyzoites of the virulent RH strain and then treated perorally for 4 days from 6 hours postinfection. Efficacy was assessed by sequential determination of parasite burdens in peritoneal cavity. in vitro, 1,5-bis(4-methoxyphenyl)-6,7-dioxa-bicyclo[3.2.2]nonane inhibited Toxoplasma growth at a concentration of 150mg/kg of body weight per day, the inhibition ratio was estimated to be 8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