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RI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2초

남한 중부지역의 미소지진관측에 의한 지진활동 분석 (Analysis of Seismicity by Observation of micro-earthquakes in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 경재복;정태웅;이덕기;이재구;이은아
    • 지구물리
    • /
    • 제3권3호
    • /
    • pp.201-212
    • /
    • 2000
  • 1991년 12월 이후 약 3년 동안 남한 중서부지역에서 발생할 미소지진을 한국교원대 관측망을 통해 관측하고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월 평균 약 2회의 지진이 발생하여 낮은 지진활동도를 나타내며, 시간적으로 발생빈도에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고 있다. 지난 3년간의 관측자료에 근거한 빈도-규모 관계식에서의 b값은 1.15이다. 진앙은 주로 옥천대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옥천대와 영남육괴의 경계부인 문경지역, 보은-속리산-영동지역, 군산-논산 지역에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는 경향을 보인다.

  • PDF

암반등급 평가를 위한 MT와 시추공 자료의 지구통계학적 복합해석 (Geostatistical Integration of MT and Borehole Data for RMR Evaluation)

  • 오석훈;정호준;이덕기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7권2호
    • /
    • pp.121-129
    • /
    • 2004
  • 터널 등과 같은 대규모의 토목공사에서 암반등급 평가에 이용되는 RMR값의 효율적인 추정을 위해 지구물리 탐사자료인 MT역산결과와 시추공에서 직접 얻어진 자료에 대해 지구통계학적 복합해석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물리탐사를 통해 획득한 전기비저항 정보는 RMR 값과 정성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직접적인 일대일 대응은 부정확한 결과를 내놓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고, RMR값이 공간적 연속성을 갖는 다는 점을 고려하여 지구통계학적 추정 기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T자료에 의한 전기비저항치와 시추공에서 얻어진 RMR값의 상관관계에 대한 평균 분포를 비선형적으로 구하고, RMR의 잔차에 대하여 공간적 해석을 적용하여 보다 실제적인 RMR의 분포를 얻고자 하였다. MT 탐사 결과의 비저항 분포를 2차 자료로 이용하여 1차 자료인 시추공에서 얻은 RMR값을 추정 해석하였다.

남한 중부지역의 지각특성 구명을 위한 토모그라피 역산에 의한 예비적 연구 (Preliminary Tomographic hversion for the Crustal Characteristics in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 이덕기;경재복;정태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0-29
    • /
    • 2001
  • 남한 중남부에 위치하는 한국교원대학교 단주기 지진 관측망에 1997${\sim}$1998년 사이 포착된 원거리 지진들의 종파 초동 시간의 상대적 도달시간차를 분석하고 향후 있을 한반도 전체규모의 종파속도구조대비의 연구를 위하여 예비적인 토모그라피(tomography) 역산을 실시하였다. 각 지진 관측점에서 측정된 종파의 상대적 도달시간차들은 최대 0.7초로 측정되었다. 경기육괴와 옥천대의 경계 근처의 관측점들에서 계산된 종파의 상대적 도달시간차들은 역방위각의 변화에 따라 비교적 큰 값의 변화를 나타내며 그 지역 지각 하부에 속도구조 이상체가 존재할 수 있음을 지시한다. 조사지역 상부 맨틀이 수평적으로 균질하다는 가정하에 지각 전체에 대한 토모그라피 역산 결과는 조사지역 북서쪽에 북동-남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종파 속도를 가지는 구조가 나타난다. 역산된 예비적 성격의 상대적 속도 구조이상체는 경기육괴와 옥천대의 경계를 따라 대비되는 듯한 경향을 나타낸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블록의 크기나 위치 등에대한 입력 파라메터는 차후 자료가 충분히 집적될 경우 정밀분석을 위한 입력 파라메터로서 이용될 것이다.

  • PDF

남한 중부지역에서 발생한 미소지진의 단층면해와 응력장 해석 (Analysis of Fault Plane Solution and Stress Field Using the Micro-ewarthquakes in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 정태웅;이재구;이덕기;이은아;경재복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2-300
    • /
    • 2001
  • 1997년 12월 이후 남한 중부지역에서 방생한 지진 중 13개 지진에 대하여, 지역에 따라 5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P 파 극성을 이용하여 구한 복합단층면해와 P, S파 극성 및 진폭비(SV/P, SH/P, SV/SH)를 이용하여 구한 결과를 비교 해석하였다. 지진원에서의 단층운동은 NNE-SSW와 WNW-ESE 방향의 단층면을 나타내며 주향이동 혹은 역단층성 주향이동운동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단층운동에 작용한 주압축응력방향은 ENE-WSW 방향, 혹은 NE-SW 방향을 나타내며, 이는 남한지역에 발생하는 주요 지진에 대하여 구해진 주압축 응력장 방향과 거의 일치한다.

  • PDF

한국의 여름철 강수량 변동 - 순별 강수량을 중심으로 - (A Variation of Summer Rainfall in Korea)

  • 이승호;권원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19-83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14개 지점의 여름철 강수량을 분석하여 1941-1970년과 1971-2000년 기간 사이의 변동을 파악하고. 순별 강수량의 경년 변동과 해양변동 및 전구평균기온 변동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두 기간의 순별 강수량 차이에 의하여 중서부지역, 호남지역, 영동 및 영남지역. 제주도지역으로 구분하였다. 강수량은 8월에 증가하였고 9월에 감소하였다. 중서부지역에서 8월 강수량의 증가 폭이 크며, 이는 호우 빈도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순별 강우량의 제 2극대기가 9월 초순에서 8월 하순으로 바뀌거나 출현하지 않는다. 점차 8월의 소우기가 사라지면서 장마가 9월 초순까지 이어지는 경향이다. 8월 중순과 9월 중순(혹은 7월 중순)의 강수량 편차는 1971년을 경계로 음에서 양 혹은 양에서 음으로 바뀌는 경향이며. 그 변동은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 지역에서 강수량 변동은 해양변동 및 전구평균기온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한국의 지역별 이상기온의 분포 특성과 그 지역구분 (The Distribution of Regional Unusual Temperature Korea)

  • 허인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61-474
    • /
    • 2006
  • 우리나라의 여름과 겨울철의 이상기온 출현 분포 특성을 분석한 후 여름과 겨울철의 월별 이상기온 출현 빈도에 의하여 한반도 이상기온 지역을 5개로 구분하였다. 여름철 이상고온의 출현 빈도가 다른 이상기온 지역보다 2배 이상 높은 제 I지역(중부 동안), 겨울철 이상고온 출현은 낮고 이상저온 출현은 높은 제 II지역(경기 서안과 중부 내륙 북부), 다른 지역과 달리 여름과 겨울철 이상기온의 출현이 특정 계절에 집중되지 않는 제 III지역(중 남부의 서부), 여름철 이상고온의 출현 빈도가 가장 낮고 겨울철 이상고온의 출현도 비교적 적은 제 IV지역(산지와 남부 및 남해안 동부), 겨울철 이상고온 빈도가 가장 높은 제 V지역(소백산맥/노령산맥 이남과 남해안 서부 및 제주도)이다.

  • PDF

OCL에 바탕을 둔 메트릭 기술 언어를 이용한 메트릭의 표현 방법 개선 (Method for Improving Description of Software Metrics Using Metric Description Language Based on OCL)

  • 김태연;김윤규;채흥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5호
    • /
    • pp.629-646
    • /
    • 2008
  • 보다 정확한 표현을 위하여 Object Constraint Language(OCL)을 이용하여 메트릭을 기술하는 연구들이 있다. 그러나 OCL은 Unified Modeling Language(UML)에서 구조적 제약사항을 기술하기 위한 언어이기 때문에 메트릭을 표현하기에는 부적절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메트릭을 표현하는 상위 수준의 언어인 Metric Description Language(MDL)을 제안한다. MDL은 복잡한 메트릭의 분할 기술, 집계함수, 대상간의 자동 탐색 기능을 지원하여 OCL의 복잡성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또한 본 논문은 MDL을 기술하고 UML 모델을 대상으로 메트릭의 자동 계산을 지원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사례연구로 기존에 제시된 다양한 유형의 메트릭을 MDL로 기술하였으며 OCL로 표현된 메트릭보다 단순함을 확인하였다.

Retrieval of Rain-Rate Using the Advanced Microwave Sounding Unit(AMSU)

  • Byon, Jae-Young;Ahn, Myoung-Hwan;Sohn, Eun-Ha;Nam, Jae-Cheol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361-365
    • /
    • 2002
  • Rain-rate retrieval using the NOAA/AMSU (Advanced Microwave Sounding Unit) (Zaho et al., 2001) has been implemented at METRI/KMA since 2001. Here, we present the results of the AMSU derived rain-rate and validation result, especially for the rainfall associated with the tropical cyclone for 2001. For the validation, we use rain-rate derived from the ground based radar and/or rainfall observation from the rain gauge in Korea. We estimate the bias score, threat score, bias, RMSE and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otal of 16 tropical cyclone cases. Bias score shows around 1.3 and it increases with the increasing threshold value of rain-rate, while the threat score extends from 0.4 to 0.6 with the increasing threshold value of precipitation. The averaged rain-rate for at all 16 cases is 3.96mm/hr and 1.41mm/hr for the retrieved from AMSU and the ground observation,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AMSU rain-rate shows a much better agreement with the ground based observation over inner part of tropical cyclone than over the outer part (Correlation coefficient for convective region is about 0.7, while it is only about 0.3 over the stratiform region). The larger discrepancy of til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he different part of the tropical cyclone is partly due to the time difference in between ice water path and surface rainfall. This results indicates that it might be better to develop the algorithm for different rain classes such as convective and stratiform.

  • PDF

Fog Sensing over the Korean Peninsula Derived from Satellite Observation of MODIS and GOES-9

  • Yoo, Jung-Moon;Jeong, Myeong-Jae;Yoo, Hye-Lim;Rhee, Ju-Eun;Hur, Young-Min;Ahn, Myoung-Hwa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73-377
    • /
    • 2006
  • Seasonal threshold values for fog detection over the ten airport areas in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derived, using the satellite-observed data of polar-orbit (Aqua/Terra MODIS) and geostationary (GOES-9) during two years. The values are obtained from reflectance at $0.65{\mu}m\;(R_{0.65})$ and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temperature between $3.7{\mu}m\;and\;11{\mu}m\;(T_{3.7-11})$. In order to examine the discrepancy between the threshold values of two kinds of satellites, the following parameters have been analyzed under the condition of daytime/nighttime and fog/clear-sky, utilizing their simultaneous observations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parameters are the brightness temperature at $3.7{\mu}m\;(T_{3.7})$, the temperature at $11{\mu}m\;(T_{11}$, and $T_{3.7-11}$ for day and night. The $R_{0.65}$ data ar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daytime. The GOES-9 thresholds over the seven airport areas except the Cheongju airport have revealed the accuracy of 50% in the daytime and 70% in the nighttime, based on statistical verification for the independent samples as follows; FAR, POD and CSI. However, the accuracy decreases in the foggy cases with twilight, precipitation, short persistence, or the higher cloud above fog.

스펙트로레디오메터를 이용한 벼 생장시기의 분광반사 특성 변화 분석 (Analysis of Spectral Reflectance Characteristic Change during Growing Status of Rice Plants using Spectroradiometer)

  • 장세진;서애숙;김판기;윤진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2-19
    • /
    • 2000
  • 관심있는 농작물의 반사 특성에 대한 지식은 우리에게 농업 분야에서의 원격탐사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품벼의 이앙기에서 수확기까지의 성장 단계에 따른 반사 특성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벼는 1999년 5월 20일에 경기도 수원시 서둔동 수원기상대($37^{\circ}$16' N, $126^{\circ}$59' E, 39m Alt.) 뒤에 위치한 3개의 실험 포장에 이앙되었다. 반사 특성 측정은 구름과 바람이 없는 맑은 날을 선택하여 300nm에서 1100nm까지 관측할 수 있는 휴대용 스펙트로레디오메터(Portable spectroradiometer, Li-1800, 미국 Li Cor Inc.)를 사용하였고 관측 시간은 태양 고도 변화에 따른 반사율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태양 고도 변화가 가장 적은 오전 11시에서 오후 1시까지 수행하였다. 관측 높이는 벼 군락으로부터 30cm였고 측정 회수는 1일 3개 포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각각 3회 관측하였다. 결과적으로, 벼의 경우 가시 영역의 평균 반사율이 청색 영역(400nm~498nm)에서 약 2.34%~2.55%, 녹색 영역(500nm~598nm)에서 약 5.05%~6.01% 그리고 적색 영역(600nm~698nm)에서 약 4.21%~5.24%이며, 벼의 성장 단계에 따라 가시 영역의 경우는 반사율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근적외 영역의 경우는 관측 결과에 따라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분석을 하였는데, 첫 번째는 700nm~800nm까지 파장의 증가에 따라 반사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영역과 800nm~1100nm까지 파장에 따라 반사율이 거의 일정한 영역이다. 이 영역들의 평균 반사율은 700nm~800nm에서 약 22.3%~23.0%, 800nm~1100nm에서는 약 29.4%~33.1%이다. 특히 이 영역은 8월 23일까지 벼의 성장에 따라 반사율이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