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 Process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3초

규칙충전물을 적용한 화학흡수법에 의한 이산화탄소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2 Removal by Chemical Absorption Using Structured Packing)

  • 김재홍;김형호;김장호
    • 청정기술
    • /
    • 제9권1호
    • /
    • pp.43-48
    • /
    • 2003
  • As a result of study on factor affecting absorption efficiency using the structured packing, Mellapak N. 250Y for the chemical absorption of $CO_2$ that cause global warming due to development of industry, it is shown that Mellapak N. 250Y has lower pressure drop and superior efficiency of mass transfer than 25mm Pall ring. Also, in the absorption process, it produces high efficiency in the increase of load and concentration of absorption liquid and produces low efficiency in the increase of temperature. In the effect of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for 15% MEA on the temperature variation of absorbent, when absorbent temperature for 15% MEA varied as 25, 50, $80^{\circ}C$,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s were shown as 0.83, 1.00, $0.90kmol/m^3-h-kPa$.

  • PDF

MEA 용액을 이용한 CO2 흡수공정 모사 연구 (SIMULATION STUDYOF CO2 ABSORPTION PROCESS WITH MEA SOLUTION)

  • 김석;김형택;최병철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73-677
    • /
    • 2003
  • $CO_2$ 의 배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 진행을 막기 위하여 국제사회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일련의 기후변화 협약에 대한 기술적 대응수단으로써 $CO_2$ 저감 기술 확보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향후 예상되는 $CO_2$ 배출 저감의무 부과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며 발전부문과 같은 대규모 $CO_2$ 배출시설에서의 개선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중략)

  • PDF

Purification of Biohydrogen Produced From Palm Oil Mill Effluent Fermentation for Fuel Cell Application

  • Rohani, Rosiah;Chung, Ying Tao;Mohamad, Izzati Nadia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4호
    • /
    • pp.469-474
    • /
    • 2019
  • Fermentation of palm oil mill effluent (POME) produces biohydrogen in a mixture at a specific set condi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urify the produced mixed biohydrogen via absorption and membrane techniques. Three different solvents, methyl ethanolamine (MEA), ammonia ($NH_3$) and potassium hydroxide (KOH) solutions, were used in absorption technique. The highest $H_2$ purity was found using 1M MEA solution with 5.0 ml/s feed mixed gas flow rate at 60 minutes absorption time. Meanwhile, the purified biohydrogen using a polysulfone membrane had the highest $H_2$ purity at 2~3 bar operating pressure. Upon testing with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 the highest current and power produced at 100% $H_2$ were 1.66 A and 8.1 W, while the lowest were produced at 50/50 vol% $H_2/CO_2$ (0.32 A and 0.49 W). These results proved that both purification techniques have significant potential for $H_2$ purification efficiency.

MEA 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 모사 (Simulation on CO2 capture process using an Aqueous MEA solution)

  • 우대식;남성찬;정순관;윤여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31-438
    • /
    • 2012
  • 아민 수용액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은 현재 가장 넓게 연구되는 분야이다. 전체 공정은 선택적 이산화탄소 흡수를 위한 흡수탑과 흡수제를 재생하고 고순도 이산화탄소를 얻기 위한 재생탑으로 이루어져있다. 공정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설계 변수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신뢰할만한 공정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모델링을 통한 공정 해석과 최적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의 수렴문제를 고려하여 분해방법을 사용하였고, 아민계 흡수제를 이용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의 변수들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현실적인 설계 결과를 얻기 위해 비평형 모델을 사용하였고 95% 이상의 순도로 90%의 이산화탄소를 회수할 수 있는 최적화된 공정을 설계할 수 있었다.

수분거동 패턴에 따른 차폐막 설정을 통한 모발단백질 소실방지 (Prevention of Protein Loss Using A Shield Coating According to Moisture Behavior in Human Hair)

  • 송상훈;임병택;손성길;강내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7-65
    • /
    • 2020
  • 세정 과정에서 물에 의한 단백질 소실을 차폐막을 통해서 방지 하고자 먼저 모발 내부의 물 거동 경로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서 소수성을 가지는 건강한 모발과, 모발 내부는 정상이지만 표면의 최외곽 지질층에서 18-methyleicosanoic acid (18-MEA)만 소실시켜 친수성이 된 모발과, 다시 표면에 18-MEA를 결합시킨 회복모를 이용해서 모발 수분의 거동을 파악하였다. 모발에 열을 가할 때 일어나는 수분 증발에 따른 질량 변화를 관찰한 결과 표면이 소수성인 모발들은 39 s와 151 s의 두개의 시간 상수로 감소하였다. 이에 반해 표면이 친수성으로 변한 손상 모발에서는 83 s의 하나의 빠른 시간 상수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모발 내부에 있는 비결합과 결합 수분들이 외곽으로 빠져나올때 모발 표면에 소수성 막이 없음으로써 바로 용출됨을 반증한다. 따라서 세정과정에서 모발 내부의 단백질 용출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모발 표면을 소수성 코팅하여 물분자의 거동을 저지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한 결과 친수성 polyethylene glycol (PEG)를 코팅한 경우 179 ㎍/mL의 단백질이 용출한데 반해서 소수성 polydimethylsiloxane (PDMS)를 코팅한 모발은 보다 적은 148 ㎍/mL를 용출하였으며, 표면을 소수성 및 친수성으로 코팅하여 모발 내부 단백질을 검량하여 비교하였다. 마침내 소수성 차폐막이 세정 과정에서 모발 단백질 소실을 방어하는 방법이 됨을 확인하였고, 이 소수성 지표를 lateral force microscopy (LFM) 값으로 환산하여 정리하였다. 마침내 이 연구 결과물은 세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단백질 소실을 소수성 코팅막을 부여함으로써 막을 수 있는 모발 세정제품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서 전기화학반응 열생성에 의한 열전달특성 (Heat Transfer by Heat Generation in Electrochemical Reaction of PEMFC)

  • 한상석;이필형;이재영;박창수;황상순
    • 전기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73-283
    • /
    • 2008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구성요소인 기체 확산층(Gas Diffusion Layer)은 반응물을 채널에서 MEA로 전달하며 동시에 생성물을 MEA에서 채널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기체 확산층의 기체 투과도가 클수록 기체 확산층을 통과하는 반응기체의 양이 증가하여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성능이 향상되며 물질전달과 함께 열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성열에 의한 MEA의 온도상승을 억제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기체 확산층의 기체투과도를 달리하여 전기화학 반응과 열 생성을 고려한 3차원 수치해석 모델을 통해 동일 반응면적을 가지는 직선형 채널과 곡사형 채널에 대해 열전달 및 물질전달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직선형 채널의 경우 곡사형 채널에 비해 기체 확산층의 기체투과도에 따른 성능 변화가 크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는 직선형 채널에서 주된 물질전달은 확산에 의해 이뤄지기 때문이다. 곡사형 채널의 경우 기체투과도가 높을수록 대류에 의한 물질전달로 원활한 물질전달이 이뤄졌기 때문에 연료전지 성능이 증가 되었으며 원활한 물질전달이 열전달을 촉진하여 MEA의 온도를 낮추었다. 또한 곡사형 채널에서는 기체투과도가 작아질수록 확산에 의한 물질 및 열전달 특성을 보여주었다.

$CO_{2}$$CO_{2}-O_{2}$ 시스템에서 알카놀아민류 흡수제를 이용한 $CO_{2}$ 흡수 및 흡수제 열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CO_{2}$ Absorption and Degradation of Aqueous Alkanolamine Solutions in $CO_{2}$ and $CO_{2}-O_{2}$ System)

  • 최원준;이종섭;한근희;민병무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2호
    • /
    • pp.256-262
    • /
    • 2011
  • 아민 흡수 공정에서 아민은 $O_{2}$ 및 고온에 의해 비가역반응을 일으키며, 이러한 현상을 열화반응이라 한다. 열화반응은 아민의 가치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부식, fouling과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화학흡수제(MEA; monoethanolamine, AMP; 2-amino-2-methyl-propanol, DAM; 1,8-diamino-p-menthane)를 이용하여 i) 50, $120^{\circ}C$에서의 흡수평형, ii) $CO_{2}$$CO_{2}/O_{2}$ 계에서 흡수제의 열화에 따른 농도변화 및 초기열화속도상수, iii) 산소 $(O_{2})$에 의한 열화 영향을 살펴보았다. DAM은 흡수영역에서 MEA와 AMP에 비해 400~270% 높은 흡수평형부하를 보이며, MEA나 AMP에 비해 흡수/재생영역에서 흡수평형부하가 커 흡수능이 우수하였다. $CO_{2}$계에서 DAM의 초기열화속도상수는 $2.254{\times}10^{-4}$ $cycle^{-1}$로 MEA와 AMP의 $2.761{\times}10^{-4}$ $cycle^{-1}$, $2.416{\times}10^{-4}cycle^{-1}$에 비해 작아 열화가 늦게 진행되며, $O_{2}$ 주입시 초기열화속도상수는 1.3배 증가하여 2배 증가한 MEA보다 열화 영향이 적었다. 이러한, 일련의 열화반응은 GC chromatogram에서 새로운 peak의 생성과 FT-IR spectrum 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Catalyst-aided Regeneration of Amine Solvents for Efficient CO2 Capture Process

  • Bhatti, Umair H.;Sultan, Haider;Cho, Jin Soo;Nam, Sungchan;Park, Sung Youl;Baek, Il Hyun
    • 에너지공학
    • /
    • 제28권4호
    • /
    • pp.8-12
    • /
    • 2019
  • Thermal amine scrubbing is the most advanced CO2 capture technique but its largescale application is hindered due to the large heat requirement during solvent regeneration step. The addition of a solid metal oxide catalysts can optimize the CO2 desorption rate and thus minimize the energy consumption. Herein, we evaluate the solvent regeneration performance of Monoethanolamine (MEA) and Diethanolamine (DEA) solvents without and with two metal oxide catalysts (TiO2 and V2O5) within a temperature range of 40-86℃. The solvent regeneration performance was evaluated in terms of CO2 desorption rate and overall amount of CO2 desorbed during the experiments. Both catalysts improved the solvent regeneration performance by desorbing greater amounts of CO2 with higher CO2 desorption rates at low temperature. Improvements of 86% and 50% in the CO2 desorption rate were made by the catalysts for MEA and DEA solvents, respectively. The total amount of the desorbed CO2 also improved by 17% and 13% from MEA and DEA solvents, respectively. The metal oxide catalyst-aided regeneration of amine solutions can be a new approach to minimize the heat requirement during solvent regeneration and thus can remove a primary shortfall of this technology.

Transformation of Mouse Liver Cells by Methylcholanthrene Leads to Phenotypic Changes Associated with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 Oh, Jiyun;Kwak, Jae-Hwan;Kwon, Do-Young;Kim, A-Young;Oh, Dal-Seok;Je, Nam Kyung;Lee, Jaewon;Jung, Young-Suk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261-266
    • /
    • 2014
  • Environmental pollutants such a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have been implicated in cancer development and progression. However, the effects of PAHs on carcinogenesis are still poorly understood. Here, we characterized a mouse cancer cell line BNL 1ME A. 7R.1 (1MEA) derived by transformation of non-tumorigenic liver cell line BNL CL.2 (BNL) using 3-methylcholanthrene (3MC), a carcinogenic PAH. RT-PCR and immunoblot analysi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xpression level of mRNA and proteins, respectively. To determine functionality, cell motility was assessed in vitro using a transwell migration assay. Both mRNA and protein levels of E-cadheri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1MEA cells in comparison with BNL cells. While the expression levels of mesenchymal markers and related transcription factors were enhanced in 1MEA cells, which could lead to increase in cell motility. Indeed, we found that 7-day exposure of BNL cells to 3-MC reduced the level of the adhesion molecule and epithelial marker E-cadherin and increased reciprocally the level of the mesenchymal marker vimentin in a dose-dependent manner.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cess of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may be activated during premalignant transformation induced by 3-MC. A mechanism study to elucidate the relation between 3-MC exposure and EMT is underway in our laboratory.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토끼 망막 신경절세포의 활동전위 파형 분류 (PCA­based Waveform Classification of Rabbit Retinal Ganglion Cell Activity)

  • 진계환;조현숙;이태수;구용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4권4호
    • /
    • pp.211-217
    • /
    • 2003
  • 주성분분석은 잘 알려진 데이터 분석 방법으로써 높은 차원의 데이터를 낮은 차원의 데이터로 표현하는데 효과적이어서 얼굴인식, 데이터 압축 등에 이용되고 있다. 주성분분석을 하게 되면 원 데이터의 공분산 행렬로부터 정규직교한 고유벡터와 해당하는 고유치를 얻게 되고 그 중 큰 값을 가지는 고유벡터 들을 선택하여 선형 변환함으로써 데이터의 차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망막에 빛 자극이 인가되면 시세포 층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 후 복잡한 신경회로를 거쳐 최종적으로 신경절세포 층에서 활동전위의 형태로 출력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채널전극을 사용하여 여러 개 망막 신경절세포로부터 유래되는 활동전위를 기록한 후 개개의 신호를 구분하는 과정을 거치고, 이어서 그 신호를 만들어 내는 각 뉴론들끼리의 시간적, 공간적 흥분발사 패턴을 이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시각정보 인코딩 기전을 밝히려는 연구 목표하에 그 첫 단계로서 망막 신경절세포의 활동전위를 기록한 후 분류하는 과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기에 그 내용을 서술하고자 한다. 망막에서 기록되는 신경절세포 활동전위는 불규칙하고 확률적이기 때문에 주성분분석을 통하여 그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다. 토끼 눈으로부터 망막을 박리하여 망막조각을 얻은 후 신경절세포 층이 전극표면을 향하도록 전극에 부착하였다. 8${\times}$8의 microelectrode array (MEA)를 전극으로 사용하였고, 증폭기는 MEA 60 system을 사용하여 신경절세포 활동전위를 기록하였다. 활동전위 기록 후 파형 분류를 하였다. 잡음이 섞여있는 기록으로부터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잡음역치($\pm$3$\sigma$)를 설정하였다. 역치를 넘는 파형 만을 획득한 후 주성분분석을 통해 각 파형의 첫 번째 주성분, 두 번째 주성분을 계산하여 2차원 평면에 투사함으로써 몇 개의 의미있는 클러스터를 얻었다. 이 클러스터는 곧 각 신경절세포에서 유래되는 파형을 반영하므로 주성분분석을 통하여 망막 신경절세포의 활동전위를 각 세포별로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