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CPD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5초

3-Monochloro-1,2-propanediol(3-MCPD)의 안전성 및 위해성 평가 (Safety and Risk Assessment of 3-Monochloro-1,2-propanediol (3-MCPD))

  • 이병무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1-11
    • /
    • 2002
  • 3-Monochloro-1,2-propanediol(3-MCPD) is currently being a matter of concern because of its toxicity. 3-MCPD produced during the acid hydrolysis of soybean products has been reported to be mutagenic, neurotoxic, nephrotoxic and spermatotoxic. Howerer, the carcinogenicity of 3-MCPD is a controversial issue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3-MCPD characteristically showed a variety of toxicities in reproductive system such as, decrease in sperm number and sperm motility, infertility, loss of sperm function, and weight decrease in ovary. Due to the toxicity of 3-MCPD, exposure to 3-MCPD has been proposed to be reduced to as low a level as technologically feasible. 3-MCPD can be detected in soy sauce or non-soy sauce products. The legal limit for 3-MCPD this year has been suggested to be 20 ppb($\mu\textrm{g}$/kg)in the European Community. In Korea, the permissible level of 3-MCPD is expected to be 0.3 ppm. In this study, 3-MCPD was toxicologically evaluated in terms of risk assessment in humans.

식품 중 결합형 3-MCPD 오염실태조사 (Survey of Contaminants of Bound 3-MCPD in Food)

  • 강영운;박성국;서정혁;김동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9-293
    • /
    • 2010
  • 식품을 제조, 가공하는 과정 중 생성되는 3-MCPD (3-Monochloropropane-l,2-diol)는 식품 중 미량 존재하는 유해 물질로 우리나라에서는 산분해간장 빛 혼합간장과 산분해단백질 (HVP)에 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3-MCPD 지방산에스테르라고도 불리는 결합형 3-MCPD는 지방산과 글리세라이드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중간물질로서, 독일 연방위해 평가원(BfR)에서는 3-MCPD 지방산에스테르 자체의 독성이나 위해성에 대한 자료는 부족하지만, 인체내에 식품형태로 들어가서 가수분해될 때 3-MCPD가 생성될 수 있으므로 저감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개발된 결합형 3-MCPD 분석법을 이용하여, 간장 등 장류 식품, 조미식품과 식육가공품 등 209건에 대해 결합형 3-MCPD 함량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209건의 검체 중에서 장류의 경우 44건의 검체 중에서 8건에서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고(0.02~0.28ppm), 스프 12건 종 8건에서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다(0.01~0.96ppm). 소스는 60건 중 22건에서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으며(0.01~0.55ppm), 식육가공품의 경우 총 30건의 검체 중 16건에서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다(0.04~0.l8ppm). 스낵과자에서는 28건 중 20건에서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고(0.09~1.43ppm), 유탕면제품 10건 중 8건에서 검출되었다(0.04~1.22ppm). 견과류가공품 10건 중 6건에서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으며 (0.06~0.25ppm), 식물성크림에서는 15건 중 1건에서 결합형 3-MCPD가 0.05ppm이 검출되었다. 이상의 검출수준은 제외국과 비교할 때 낮은 수준이었다.

3-MCPD 지방산에스테르 분석법 (Analysis Method Development for Bound-MCPD)

  • 우성민;오재호;장영미;김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94-302
    • /
    • 2010
  • 연구에서는 식품 중에 bound-MCPD를 측정하기 위해 지방을 추출하고, 메탄올에 녹인 황산으로 $60^{\circ}C$, 4hr 가수분해하여 모두 3-MCPD로 전환시켜 분석등하는 실험법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논문과 비교하였을때 분석시간이 더 빠르고, 현재 식품공전에 등재된 3-MCPD 시험법에 접목시킨 시험법이다. 분석가능한 선형구간은 3-MCPD로서 10ppb(ug/kg)-2ppm(mg/kg), 이며 반복성이 상대표준편차 5%이내, 재현성의 상대표준편차는 선형구간에서 10%이내이다. 기기적인 LOD는 5.4ppb, LOQ 9.0ppb이며 회수율은 3-MCPD 85.53%, bound-MCPD 82.97%이다.

Gas Chromatography-Electron Capture Detector를 이용한 산분해간장중의 3-Monochloro-1, 2-propanediol 분석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3-Monochloro-1, 2-propanediol in Acid Hydrolyzed Soysauce(Ganjang) by Gas-Chromatography with Electron Capture Detector)

  • 최종동;문귀임;오현숙;김동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1-65
    • /
    • 2001
  • Electron capture deteotor가 장착된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간장에서 3-monochloro-1, 2-propanediol(MCPD)의 효율적인 분석조건을 조사하였다. MCPD를 직접 분석하는 것 보다 MCPD를 phenylboric acid로 유도체화하여 분석하는 경우가 sharp한 peak를 얻을 수 있었으며, 감도도 우수하였다. 유도체화 방법을 실온에서 5분간 vortex혹은 9$0^{\circ}C$에서 20분 반응시켜 분석한 결과, R값이 각각 0.9997과 0.9977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MCPD의 추출방법은 Extrelut 3 column을 사용하는 것이 ethyl acetate로 직접 추출하는 것보다 회수율이 월등히 높았으며, MCPD의 농노가 높을수록 회수율이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MCPD를 정성적으로 분석하고자 할 경우 ethyl acetate로 직접 추출하는 방법도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에 MCPD를 spiking 하고 gas chromatography-electron capture detector 및 gas chromatography-mass selective detector로 분석한 결과 sharp한 모양의 peak를 얻을 수 있었으며, mass spectrum으로 MCPD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국내 시판 간장에서의 3-Monochloro-1,2-propanediol(3-MCPD) 분석 평가 (Analysis of 3-Monochloro-1,2-Propanediol (3-MCPD) in Soy Sauce Products in Korea)

  • 송현수;이병무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191-194
    • /
    • 2002
  • 3-Monochloro-1,2-propanediol(3-MCPD) was analyzed in soy sauce products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 A total of 24 samples were collected and 3-MCPD was determined by GC/MS. Sources of 24 samples were classified by manufacturing methods as naturally brewed(NB), acid hydrolyzed (AH) and mixed (M = NB + AH) soy sauces. 3-MCPD was not detected in NB soy sauce products (< 0.01 ppm, mg/kg) whereas AH and M soy sauce products showed a wide range of 3-MCPD contamination (0.0l ∼ 2.038 ppm). The contaminated levels of 3-MCPD in soy sauce products were higher than the permissible or tentative permissible level of 3-MCPD in both European Community (0.02 ppm) and Korea (0.3 ppm). These data suggest that 3-MCPD levels contaminated in soy sauce products in Korea were shown to be too high and should be reduced to as low a level technologically feasible to protect Korean from the exposure to toxic chemical, 3-MCPD.

소스류 및 라면 스프에 의한 3-Monochloropropane-1,2-diol의 식이 노출 (Dietary Exposure to 3-Monochloropropane-1,2-diol from Sauces and Instant Fried Noodle (Ramyun) Seasoning)

  • 김현정;전향숙;하재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6-310
    • /
    • 2007
  • 가공식품 섭취에 의한 3-MCPD 위해평가를 위하여 시판 소스류와 라면 스프 중 3-MCPD 오염도를 분석하고 식이 노출량을 산출하였다. 2005년 8월에서 9월 사이 서울에서 유통되고 있는 소스류와 라면 제품을 각 25개씩 수집하고 GC/MS를 이용하여 3-MCPD 잔존량을 분석하였다. 6개 소스 시료에서 3-MCPD가 검출되었고 최대검출 수준은 0.045 mg/kg이었으며 3-MCPD 치대허용치인 0.3 mg/kg을 초과하는 제품은 없었다. 생산량 기준 1인당 소스 소비량을 이용하여 추정한 3-MCPD의 식이노출량은 $0.094{\mu}g/person/day$이었다. 분석된 라면 스프에서 3-MCPD가 검출되지 않아 3-MCPD 식이노출에 라면 스프의 섭취는 기여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탕 과자 모델에서 결합형 3-monochloropropane-1,2-diol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formation of bound 3-monochloropropane-1,2-diol in a fried snack model)

  • 강준혁;정우영;노회진;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565-57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유탕 과자 모델에서 4가지 요인(유화제 종류, 유탕 온도, 소금 함량, 유지 함량)이 결합형 3-MCPD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3-MCPD 분석법 검증을 위해 검출한계, 정량한계, 직선성, 정밀성 및 정확성을 구하였고, 분석 시 흡착 컬럼으로 사용한 aluminum oxide와 Extrelut® NT-3 컬럼을 비교하였다. Aluminum oxide에 비해 Extrelut® NT-3 컬럼으로 추출하였을 때 피크 면적이 약 5배 더 높아, 흡착 컬럼으로 Extrelut® NT-3를 사용하는 방법이 3-MCPD 분석에 더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직선성은 3-MCPD 표준용액 검량선의 상관계수가 0.9997 이상의 양호한 직선성을 보였다. 기기의 검출한계는 0.86 ng/mL, 정량 한계는 2.61 ng/mL이었다. 분석법의 정밀성 및 정확성은 과자 반죽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3-MCPD 분석법의 일내 정확성은 81.3-94.0%, 일간 정확성은 82.1-89.0% 수준이었으며, 결합형 3-MCPD 분석법의 일내 정확성은 84.1-99.3%, 일간 정확성은 87.7-91.1% 수준이었다. 3-MCPD 분석법의 일내 정밀성은 1.5-7.8% RSD, 일간 정밀성은 1.1-5.6% RSD 수준이었으며, 결합형 3-MCPD 분석법의 일내 정밀성은 2.8-8.9% RSD, 일간 정밀성은 5.0-6.8% RSD 수준이었다. 유탕 과자 모델에서 유화제 종류는 결합형 3-MCPD 생성에 영향을 주어 유화제 6종 중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를 첨가한 시료에서 가장 많은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다. 유탕 온도에 따른 결합형 3-MCPD 생성량을 분석한 결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결합형 3-MCPD의 함량도 증가하였다. 190℃로 가열하였을때 145℃에 비해 결합형 3-MCPD 함량은 약 24배 높았다. 소금 함량 또한 결합형 3-MCPD 생성에 영향을 주어 소금 함량에 비례하여 결합형 3-MCPD의 생성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유지 함량에 따른 결합형 3-MCPD 생성량을 분석한 결과 유지 함량이 증가하여도 결합형 3-MCPD의 생성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탕 과자에서 유화제 종류, 유탕 온도와 소금 함량이 결합형 3-MCPD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Monochloropropane-1,2-diol(3-MCPD) 저감화를 위한 아미노산 간장의 제조조건 (Preparation Conditions of Hydrolyzed Vegetable Protein Soy Sauce for the Reduction of 3-Monochloropropane-1,2-Diol (3-MCPD))

  • 정용일;이지수;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22-52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3-MCPD의 함량을 신뢰할 수 있는 결과값의 도출을 위하여 HFBI 유도체화 방법을 이용하였다. 3-MCPD가 검출되지 않은 양조간장에 3-MCPD를 0.020과 $0.200{\mu}g/mL$의 농도로 spiking하여 그 결과 값을 측정한 결과, 회수율이 95% 이상으로 우수하였으며 분석의 재현성 및 정밀성 또한 우수하였다. 아미노산 간장의 제조 조건 중 3-MCPD의 함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는 조건 즉, 알칼리 처리시의 pH와 온도, 그리고 유지 시의 온도와 시간을 다양하게 하여 시료를 제조 한 후, 3-MCPD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처리시의 pH와 온도가 높고, 유지 온도와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3-MCPD의 함량이 감소되는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알칼리 처리 온도와 유지 온도에 대한 영향보다는 알칼리 처리시의 pH가 3-MCPD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큰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특히 pH 10.0 이상에서 알칼리 처리를 하였을 경우는 알칼리 처리 온도나 유지시간 및 유지온도 등의 다른 조건들에 상관없이 3-MCPD의 함량이 $0.020{\mu}g/g$ 이하로 현저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일반적인 아미노산 간장의 제조 공정 조건에 변화를 줌으로써 실질적으로 생성되는 3-MCPD의 함량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아미노산 간장의 3-MCPD 저감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MCPD의 생식ㆍ발생독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ity of 3-MCPD)

  • 곽승준;김순준;최요우;이규식;손경희;이이다;채수영;정용현;유일재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31-136
    • /
    • 2004
  • 3-Monochloro-1,2-propanediol(3-MCPD) is a toxic compound, often present in different foods containing acid hydrolyzed(AH) protein, like seasonings and savory food produc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3-MCPD on male fertility, sperm and testosterone secretion. In vivo male fertility test was performed for observing the adverse effects of 3-MCPD on the function of male reproductive system and pregnancy outcome. 0.01, 0.05, 0.25, 1 and 5 mg/kg b.w. of 3-MCPD was given daily by gavage to groups of 15 adult male SD rats for 4 weeks. At the end of pre-treatment period, males were mated overnight with normal females. Following morning, males demonstrating successful induction of pregnancy were sacrificed on that day to assess sperm parameters and histopathology of reproductive organs. The resulting pregnant females were sacrificed on day 20 of gestation to evaluate pregnancy outcome. As a result, four-week paternal administration with 3-MCPD resulted in adverse effects on male fertility and pregnancy outcome without remarkable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testes and epididymides; sperm motility, copulation index and fertility index were markedly decreased in the treated group and numbers of live fetuses showed steep dose-response curves. Also, spermatogenesis was investigated in this experiment. However, no effect was observed on production of sperm in testes treated with 3-MCPD for 4 weeks. Hormone assay was performed for observing the effects of 3-MCPD on testosterone and luteinizing hormone (LH) in blood and testes of male SD rats and cultured primary Leydig cell. In result, significant changes of related hormones did not observed by treatment of 3-MCP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aternal treatment with 3-MCPD induced spermatotoxic effect, which caused an antifertility on male.

GC/MSD를 이용한 간장 중 3-MCPD와 1,3-DCP의 오염도 조사 (Survey of Contaminants of 3-MCPD and 1,3-DCP in Soy Sauce Using GC/MSD)

  • 김명길;김영숙;이명진;김재관;김경아;박은미;고환욱;손진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3-158
    • /
    • 2006
  • 2005년 6월부터 9월까지 경기도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간장류 105개에 대하여 CC-MSD을 이용하여 3-MCPD와 1,3-DCP의 오염도를 살펴보았다. 간장에 대한 3-MCPD의 검출률을 살펴보면 17.1%로 나타났고 검출수준은 최저 0.02mg/kg에서 최고 0.27mg/kg이였다. 식품공전에 고시된 잠정허용기준(0.3mg/kg)을 초과하는 검체는 없었고 1,3-DCP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도체화 방법으로 정량성 있는 BSA를 이용한 Silylation방법을 이용하였는데 이는 유도체 반응 후에 후 처리할 필요가 없어 비교적 간편하게 이용되는 방법이다. BSA-MCPD와 BSA-DCP의 머무름 시간은 11.30min, 10.12min이며 BSA-MCPD와 BSA-DCP의 mass spectra상에서 각각 m/z 147, 219, 239, 103, 116, m/z 93, 165, 95, 151, 185, 149들이 특징적인 이온으로 나타났다. BSA-MCPD의 주된 이온인 m/z 147은 $(CH_3)_3Si-O+=Si(CH_3)_2$로 TMS유도체의 특징적인 이온이다. 또한 TMS유도체의 구조 규명에 손쉽게 사용될 수 있는 $(M-15)^+$ 이온이 BSA-MCPD와 BSA-DCP에서 각각 m/z 239, 185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