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CF7 cell

검색결과 736건 처리시간 0.028초

더덕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종양 효과 (Antimutagenic and Antitumor Effects of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s)

  • 김수현;최현진;정미자;최승필;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295-1301
    • /
    • 2009
  • 본 연구는 더덕의 돌연변이원성, 항돌연변이원성, 세포독성, 항종양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더덕을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용매에 따라 핵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층으로 분획하였다. Ames test assay, SRB assay와 sarcoma-180 세포를 이용한 항종양 실험을 실시하였다. Ames test 결과, 더덕 에탄올 추출물은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더덕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은(200 ${\mu}g$/plate) 4NQO에 대하여 S. Typhimurium TA98과 TA100에서 각각 72.1% 및 67.0%의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MNNG에 대한 S. Typhimurium TA100은 69.6%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의 암세포성장 억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인간 자궁경부암세포(HeLa), 인간 간암세포(HepG2), 인간 유방암세포(MCF-7), 인간 폐암세포(A549) 및 인간 신장정상세포(293)를 사용하였다. 더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1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74.5%(HeLa), 70.7%(MCF-7) 및 80.3%(A549)의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인간 정상 신장세포(293)에서는 2$\sim$31%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In vivo에서 더덕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Balb/c 마우스에 sarcoma-180 종양세포로 고형암을 유발시켰다. 그 결과 더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최고농도 50 mg/kg에서 56.4%의 고형암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는 다른 추출물 및 분획물 중에서 가장 높은 억제율이었다.

군소내장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암세포 성장억제 및 quinone reductase 유도 활성 증가 효과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ng Effects of Internal Organs of Aplysia kurodai Fractions on Cancer Cell Lines In vitro)

  • 신미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77-88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군소내장을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quinone reductase (QR) 유도 활성증가 효과를 알아보았다. 간암 세포인 HepG2, 유방암 세포주인 MCF-7, 대장암 세포주인 HT-29 그리고 피부암 세포주인 B16-F10 를 이용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 모든 세포주에서 AKMM층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다음으로 AKMB층, AKMH층 및 AKMA층의 순이었다. 그리고 4종의 암세포주 중에서 B16-F10 세포주가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특히 피부암에 대한 예방효과가 기대되어진다. 또한 암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4종의 암세포 중 유일하게 quinone reductase를 가지고 있는 인체 간암세포주인 HepG2를 이용하여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측정한 결과,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에 있어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낸 AKMM층에서 가장 높은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다른 분획층에서는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거의 볼 수 없었다. 이상으로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QR 유도 활성 효과에서 모두 methanol 분획층인 AKMM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 분획층에 유효한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추정되어진다. 따라서 폐기되어지는 군소부산물인 내장을 이용한 암 예방 관련 기능성 식품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되어지며, 이를 위한 AKMM분획층에 대한 더욱더 심도 높은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Coffee-like green tea의 인체암세포 및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 (Effect of Coffee-like Green Tea Preparation on Cytotoxicity of Human Cancer and Normal Cells)

  • 문연규;권애경;김종철;박한민;조용운;정관주;하영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4-94
    • /
    • 2013
  • 커피와 유사한 향미기를 갖는 녹차(Coffee-like green tea: CLGT)를 제조하고 이의 인체 유방암세포 주 MCF-7, 인체 전립선암세포 주 PC-3, 인체 신경모세포 주 SK-N-SH 및 쥐 심근세포 주 H9c2에 대한 세포독성을 연구하였다. 녹차엽(GTL)을 $240^{\circ}C$에서 1시간 roasting한 녹차가 커피와 가장 유사한 향미를 나타내었다. CLGT는 GTL과 비교하여 인체 암세포 및 정상세포와 쥐 심근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차이가 없었다. GTL의 roasting은 ECG 등의 catechin 성분과 total protein은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지만, total phenol 및 total sugar는 유의성 있는 감소시키지 않아, 이와 같은 화합물 조성의 변화가 GTL에 커피유사 향미를 제공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이들 결과는 CLGT이 인체에 안전하여 커피 대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잔나비 걸상 버섯 자실체 및 균사체의 생리활성 탐색 (Studies on Screening and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fvom the Fruiting Body and Mycelium of Elfvingia applanata.)

  • 김성훈;이주노;김선희;오세종;안상욱;이진하;박영식;정을권;이현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1-337
    • /
    • 1998
  • 잔나비 걸상 버섯 자실체와 균사체를 증류수와 에탄올로 추출하였고 이 중 보다 높은 생리활성을 보인 에탄올 추출물을 디에틸에테르와 크로로포름, 증류수층으로 분획하였다. 암세포 성장은 유방암의 경우 분획물의 활성이 다소 떨어졌으나 간암 세포에 대해서는 증가된 생육 억제율을 보였다. 가장 높은 생육억제율은 유방암세포에 대해 자실체 증류수추출물로 91.2%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세포 독성 실험에서는 증류수추출물보다는 에탄올추출물이 다소 높은 독성을 나타냈고 분획물은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40%의 세포 독성을 보여 주었다. 돌연변이 유발억제 실험 에서는 MNNG의 돌연변이원성을 평가한 결과 크로로포름과 디에틸에테르 분획물이 가장 높은 억제 효능을 나타냈고 증류수 분획물은 상황 버섯 에탄올추출물과 유사한 효능을 보였다. 혈당강하 기능검색과 간기능 회복 검색에서는 분획물쪽에서 그 효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막걸리 분획물에 의한 암세포 성장 억제 및 Quinone Reductase 활성 증가 효과 (Effect of Growth Inhibition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on of Makgeoly Fractions in Various Cancer Cells)

  • 신미옥;강대연;김미향;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88-293
    • /
    • 2008
  • 막걸리의 암 예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막걸리 농축물을 핵산, 메탄올, 부탄올 및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각 분획별로 암세포에 대한 성장 억제효과와 암 예방 지표인 QR활성 증가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메탄올 분획물의 경우 낮은 농도의 시료첨가에도 불구하고 괄목할 만한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4종의 모든 암세포주 HepG2, B16-F10, HT29 및 MCF-7에서 농도 의존적인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epG2에서 측정한 QR활성 증가 효과에 있어서도 메탄올 분획물이 가장 높은 QR활성 증가 효과를 보여 암에 대한 예방효과가 기대된다. 따라서 앞으로 막걸리를 이용하여 항암관련 기능성식품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이며, 이를 위하여 특히 메탄올 분획물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오만둥이(Styela plicata) 추출물의 in vitro 세포독성 효과 (In vitro Cytotoxic Effect of Extracts from Styela plicata)

  • 이보배;차미란;박해룡;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099-1105
    • /
    • 2007
  • 오만둥이의 세포독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신선한 오만둥이를 분쇄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한 후 시료 5 g당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을 각각 100 mL씩 첨가하여 용매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 용매별 추출물을 대장암 세포주인 HT-29 cell에 250 ${\mu}g/mL$ 농도로 각각 처리하여 형태학적인 변화를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아세톤 추출물에서 세포의 수가 감소하고 그 형태가 응축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100, 250, 500 ${\mu}g/mL$ 농도로 MTT reduction assay를 실시한 결과 아세톤 추출물을 500 ${\mu}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6%의 암세포만이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나 형태학적인 실험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아세톤 추출물을 헥산, 디에틸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그리고 물로 분획물을 조제하여 대장암 세포주인 HT-29 cell에 250 ${\mu}g/mL$ 농도로 각각 처리하여 형태학적인 변화를 관찰한 결과 헥산 분획물에서 세포의 형태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250 ${\mu}g/mL$ 농도로 MTT reduction assay를 실시한 결과에서도 5.1%의 암세포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헥산 분획물이 가장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암세포주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헥산 분획물을 SW620, HeLa 및 MCF-7 세포주에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250 ${\mu}g/mL$ 농도에서 10% 내외의 암세포 생존율을 보여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HeLa 세포주에서는 생존율이 5.8%로 나타나 매우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미루어 짐작해 볼 때 오만둥이에 함유된 불포화 지방산 등의 지용성 물질이 암세포주의 성장 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오만둥이 추출물은 다양한 암세포주에 대해 활성을 가지는 해양생물로서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on-Polar Myxococcus fulvus KYC4048 Metabolites Exert Anti-Proliferative Effects via Inhibition of Wnt/β-Catenin Signaling in MCF-7 Breast Cancer Cells

  • Park, Juha;Yoo, Hee-Jin;Yu, Ah-Ran;Kim, Hye Ok;Park, Sang Cheol;Jang, Young Pyo;Lee, Chayul;Choe, Wonchae;Kim, Sung Soo;Kang, Insug;Yoon, Kyung-S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540-549
    • /
    • 2021
  • The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is involved in breast cancer and Myxococcus fulvus KYC4048 is a myxobacterial strain that can produce a variety of bioactive secondary metabolites. Although a previous study revealed that KYC4048 metabolites exhibit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breast cancer, the biochemical mechanism involved in their effects remains unclear. In the present study, KYC4048 metabolites were separated into polar and non-polar (ethyl acetate and n-hexane) fractions via liquid-liquid extraction. The effects of these polar and non-polar KYC4048 metabolites on the viability of breast cancer cells were then determined by MTT assay. Expression levels of Wnt/β-catenin pathway proteins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Cell cycle and apoptosis were measured via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FACS). The results revealed that non-polar KYC4048 metabolites induced cell death of breast cancer cells and decreased expression levels of WNT2B, β-catenin, and Wnt target genes (c-Myc and cyclin D1). Moreover, the n-hexane fraction of non-polar KYC4048 metabolites was found most effective in inducing apoptosis, necrosis, and cell cycle arrest, leading us to conclude that it can induce apoptosis of breast cancer cells through the Wnt/β-catenin pathway. These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the n-hexane fraction of non-polar KYC4048 metabolites can be developed as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breast cancer via inhibition of the Wnt/β-catenin pathway.

Synthesis and Antitumor Activity of New Anthracycline Analogues

  • ;김완중;유동진;강현수;장순량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2권9호
    • /
    • pp.963-968
    • /
    • 2001
  • New anthracycline analogues 2-9 as potential anticancer agents have been synthesized from daunomycin (1a) and doxorubicin (1b). Compounds 2 and 6 were prepared by the nucleophilic displacement type esterification of 14-bromodaunomycin (1c) with N-benzoyl-(2R,3S)-phenylisoserine and L-pyroglutamic acid in triethyl-amine, respectively. Compounds 3, 7 and 4, 8 were prepared by the reaction of either daunomycin (1a) or doxorubicin (1b) with one equivalent of the corresponding acids in the presence of EDCI/PP. Compounds 5, 9 were obtained from 1b by reaction with 2.2 equivalents of the corresponding acids in the same manner. The cytotoxic activities of the analogues in comparison with adrimycin on cultured SNU-16 and MCF7 cell were described.

Compounds from the Seeds of Myristica fragrans and Their Cytotoxic Activity

  • Cuong, To Dao;Lim, Chae-Jin;Trang, Tran Thi Thu;Bae, Yoon-Ho;Thu, Nguyen Van;Tung, Nguyen The;Hung, Tran Manh;Woo, Mi-Hee;Choi, Jae-Sue;Min, Byung-S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8권2호
    • /
    • pp.97-101
    • /
    • 2012
  • Six lignan compounds, 1-(17,21-dihydroxyphenyl)-9-(12,13-dihydroxyphenyl)-1-nonanone (malabaricone C) (1), 7'-(3',4'-methylenedioxyphenyl)-8,8'-dimethyl-7-(3,4-dihydroxyphenyl)-butane (2), 7'-(3',4'-dimethoxyphenyl)-8,8'-dimethyl-7-(3-methoxy-4-hydroxyphenyl)-butane (3), 7-(4-hydroxy-3-methoxyphenyl)-7'-(3',4'-methylenedioxyphenyl)-8,8'-lignan-7-methyl ether (4), (+)-erythro-(7S,8R)-${\Delta}^{8^'}$-7-hydroxy-3,4,3',5'-tetramethoxy-8-O-4'-neolignan (5), and (+)-erythro-(7S,8R)-${\Delta}^{8^'}$-7-acetoxy-3,4,3',5'-tetramethoxy-8-O-4'-neolignan (6), were isolated from the seeds of Myristica fragrans.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analyses including 2D NMR. Compounds 1 - 6 were evaluated for their cytotoxic activity against the HL-60, MCF-7, and A549 cancer cell lines in in vitro.

Ethanol but not Aqueous Extracts of Tubers of Sauromatum Giganteum(Engl.) Cusimano and Hett Inhibit Cancer Cell Proliferation

  • Gao, Shi-Yong;Li, Jun;Wang, Long;Sun, Qiu-Jia;Gong, Yun-Fei;Gang, Jian;Su, Yi-Jun;Ji, Yu-B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4호
    • /
    • pp.10613-10619
    • /
    • 2015
  • Background: Both alcohol and aqueous extracts of Sauromatum giganteum(Engl.) Cusimano and Hett, the dried root tuber of which is named Baifuzi in Chinese, have been used for folklore treatment of cancer in Northeast of China.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which is most suitable to the cancer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Serum pharmacology and MTT assays were adopted to detect the effects of ethanol and aqueous extracts of Sauromatum giganteum(Engl.) Cusimano and Hett, prepared by heat reflux methods, on proliferation of different cancer cells. Results: Cancer cells treated with medium supplemented with 10%, 20%, 40% serum(v/v) containing ethanol extract had a decline in viability, with inhibition rates of 7.69%, 21.8%, 41.9% in MCF-7 cells, 42.8%, 48.1%, 51.8% in SGC-7901 cells, 44.1%, 49.2%, 53.7% in SMMC-7721 cells, 6.8%, 15.2%, 39.8% in HepG2 cells, 7.57%, 16.3%, 36.2% in HeLa cells, 6.24%, 12.5%, 27.4% in A549 cells, and 7.20%, 17.5%, 31.3% in MDA-MB-231 cells, respectively. Viability in the aqueous extract groups was no different with that of controls. Conclusions: An ethanol extract of Sauromatum giganteum(Engl.) Cusimano and Hett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SMMC-7721, SGC-7901 and MCF-7 cells, which supports the use of alcoholic but not aqueous extracts for control of sensive cancers, which might include hepatocarcinoma, gastric cancer and breast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