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CF-7 cell lines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36초

배풍등 분획물의 항균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The Effects on Antimicrobial and Cytotoxicity of Solanum Iyratum Fractions)

  • 신미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48-954
    • /
    • 2005
  • 민간에서 만성간염, 수종, 옹종, 습진, 류마치스성 관절통, 소변분리, 말라리아, 황달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며, 해열 진통제로 약용하고 있는 배풍등을 metanol (SLM)로 먼저 추출하고 이를 hexane (SLMH), ethylether (SLMEE), ethylacetate(SLMEh), butanol (SLMB) 및 수층 (SLMA) 등 다섯가지의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배풍등의 항균 및 항발암 효과를 연구하였다. 먼저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하여 배풍등의 항균효과를 알아보았다. P. mirabilis, S. aureus, S. marcescens 및 B. substilis의 4가지 사용균주에 배풍등의 각 분획물을 처리한 결과, 모든 균주에서 SLMEA층에서 가장 높은 항균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는 SLMEE에서 항균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배풍등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cytotoxicity)를 MTT assay로 실험한 결과, 4종의 암세포주 HeLa, MCF-7, HT-29 및 HepG2 모두 배풍등의 ethylether 분획층인 SLMEE총에서 가장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암예방 QR유도 활성을 HepG2 세포주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에서도, 다른 분획층에 비해 비극성 용매층인 SLMEE층에서 유의적으로 QR유도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극성과 비극성을 둘 다 가지는 SLMEA층에서의 항균활성 물질과 비극성 용매층인 SLMEE 층에서의 암 예방 물질의 단계적인 분리 동정을 통한 생리활성 물질의 개발이 기대되어진다.

씀바귀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원성 및 항암활성 효과 (Effect of Antioxidant,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of Root Extract from Ixeris dentata Nakai)

  • 김명조;김주성;정동명;함승시;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2-229
    • /
    • 2002
  • 씀바귀 뿌리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DPPH free radical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을 검색한 결과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RC_{50}=12{\mu}g/ml)$이 대조구인 BHA$(RC_{50}=14{\mu}g/ml)$${\alpha}-tocopherol(RC_{50}=12{\mu}g/ml)$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미생물 활성을 측정한 결과 곰팡이 균주에 대해서는 물 분획물이 대체적으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Hypocrea nigricans에서는 대조구인 Cyclohexamide$(13{\mu}g/ml)$보다 우수한 활성$(8{\mu}g/ml)$을 나타냈으며, Cladosporium herbarum에서는 부탄올 분획물$(8{\mu}g/ml)$과 메탄올 추출물$(16{\mu}g/ml)$에서 대조구$(25{\mu}g/ml)$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세균 균주중 Bacillus subtilis 균주에 대해서는 물층 분획물$(32{\mu}g/ml)$과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125{\mu}g/ml)$이 우수하였으며, Candida lypolytica 균주에 대해서는 핵산 분획물 $(32{\mu}g/ml)$과 물충 분획물$(63{\mu}g/ml)$이 우수하였고, Escherichia coli 균주에 대해서는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125{\mu}g/ml)$과 메탄올 추출물$(250{\mu}g/ml)$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돌연변이원성 억제작용을 검토하기 위하여 Ames test 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며, 물질 그 자체로서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직접 변이원물질로 MNNG와 4NQO 그리고 대사활성을 필요로 하는 간접 변이원 물질인 B(a)P을 사용하여 각각의 농도에 따른 돌연변이원성 억제활성 결과 MNNG$(0.4{\mu}g/plate)$의 경우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서 시료농도 $(100{\mu}g/plate)$에서 메탄올 추출물이 79.94%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4NQO$(0.15{\mu}g/plate)$에 대한 S. typhimurium TA98 균주에서 메탄올 추출물이 89.99%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TA100 균주의 경우에서도 메탄올 추출물에서 84.56% 로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B(a)P$(10{\mu}g/plate)$에서는 TA98 균주에서 $(100{\mu}g/plate)$의 시료농도에서는 부탄올 분획물이 89.92%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TA100 균주에서는 메탄올 추출물이 77.47%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주(A549, Hep3B, MCF-7)에 대한 씀바귀 뿌리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페암세포주인 A549세포에서는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250{\mu}g/ml)$이 91.67%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간암세포주인 Hep3B에서는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 $(500{\mu}g/ml)$이 75.01%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유방암 세포주인 MCF-7에서도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500{\mu}g/ml)$이 84%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정상 간세포주인 293에 대하여 시료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500{\mu}g/ml)$ 시료 첨가시 암세포에 대하여 대부분 50% 전후(물 분획물 제외)의 억제율을 보이는데 반해 293세포에 대해서는 29% 이하의 생육억제율을 보였다. 이는 암세포주에 대한 높은 억제효과에 비해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독성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광천수의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원성 및 세포독성 효과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the Mineral Water)

  • 함승시;김수현;문선영;전미선;오덕환;최필승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3-57
    • /
    • 2005
  • 지하 943 m(3호공)로부터 취수한 경산 광천수의 유$\cdot$무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17종류의 성분 중 무기물은 11 종류가 검출되었으며 무기성분 중에서는 나트륨과 칼슘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그리고 구리와 납과 같은 중금속과 탄산가스 및 유화수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항산화 활성, 항돌연변이원성 및 인간암세포 성장억제 실험 결과 항산화 활성에서는 비교적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MNNG, 4NQO, Trp-P-1및 $B({\alpha})P$와 같은 돌연변이원을 이용한 미생물 수준에서의 항돌연변이원성 실험 결과 S. typhimurium TA98에 대해서 간접변이원인 Trp-P-1은 시료 농도 $200{\mu}g/plate$ 첨가 시 $54\%$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서 4NQO 및 MNNG는 각각 $65.8\%$$58.6\%$의 억제활성을 보였으며 $B({\alpha})P$ 및 Trp-P-1에 대해서도 각각 67%와 63%의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광천수의 항암활성을 규명하기 위한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에서는 시료농도 $50{\mu}g/well$ 첨가 시 A549, Hela, AGS 및 MCF-7에 대해서 각각 $66\%,\;45.6\%,\;37.7\%$$47.6\%$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인간 정상 신세포 293에 대한 온천수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효과는 $20\%$ 이하의 낮은 생육 억제율을 보였으며 이것은 광천수가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독성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Nano-Micelle of Moringa Oleifera Seed Oil Triggers Mitochondrial Cancer Cell Apoptosis

  • Abd-Rabou, Ahmed A;Zoheir, Khairy M A;Kishta, Mohamed S;Shalby, Aziza B;Ezzo, Mohamed 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1호
    • /
    • pp.4929-4934
    • /
    • 2016
  • Cancer, a worldwide epidemic disease with diverse origins, involves abnormal cell growth with the potential to invade other parts of the body. Globally, it is the main cause of mortality and morbidity.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chemotherapies, natural products-loaded nano-composites are recommended to improve cancer targetability and decrease the harmful impact on normal cells.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anti-cancer impacts of Moringa oleifera seed oil in its free- (MO) and nano-formulations (MOn) through studying whether it mechanistically promotes mitochondrial apoptosis-mediating cell death. Mitochondrial-based cytotoxicity and flow cytometric-based apoptosis analyses were performed on cancer HepG2, MCF7, HCT 116, and Caco-2 cell lines against normal kidney BHK-21 cell line. The present study resulted that MOn triggered colorectal cancer Caco-2 and HCT 116 cytotoxicity via mitochondrial dysfunction more powerful than its free counterpart (MO). On the other side, MOn and MO remarkably induces HCT 116 mitochondrial apoptosis, while sparing normal BHK-21 cells with minimal cytotoxic effect. The present results concluded that nano-micelle of Moringa oleifera seed oil (MOn) can provide a novel therapeutic approach for colorectal and breast cancers via mitochondrial-mediated apoptosis, while sparing normal and even liver cancer cells a bit healthy or with minimal harmful effect. Intriguingly, MOn induced breast cancer not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death.

Methanolic Extract Isolated from Root of Lycoris aurea Inhibits Cancer Cell Growth and Endothelial Cell Tube Formation In Vitro

  • Kang, Moo-Rim;Lee, Chang-Woo;Yun, Ji-Eun;Oh, Soo-Jin;Park, Song-Kyu;Lee, Ki-Ho;Kim, Hwan-Mook;Han, Sang-Bae;Kim, Hyoung-Chin;Kang, Jong-Soo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33-38
    • /
    • 201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isolated from the root of Lycoris aurea (LA) on the growth of cancer cells and the tube formation activity of endothelial cells. Various cancer cells were treated with LA at doses of 0.3, 1, 3, 10 or 30 ${\mu}g/ml$ and LA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growth of several cancer cell lines, including ACHN, HCT-15, K-562, MCF-7, PC-3 and SK-OV-3, in a dose-dependent manner. We also found that LA induced cell cycle arrest at G2/M phase in ACHN renal cell adenocarcinoma cells. Further study demonstrated that LA concentration-dependently inhibited the tube formation, which is a widely used in vitro model of reorganization stage of angiogenesi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LA inhibits the growth of cancer cells and tube formation of endothelial cells and the growth-inhibitory effect of LA might be mediated, at least in part, by blocking cell cycle progression.

해양심층수염 및 다시마분말을 첨가한 개량식 된장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암세포성장억제에 미치는 영향 (Antimutagenicity and Cytotox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 from Deep Sea Water Salt and Sea Tangle Added Soybean Paste (Doenjang))

  • 함승시;김수현;유수정;오현택;최현진;정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16-421
    • /
    • 2008
  • 다시마분말과 해양심층수염을 첨가하여 제조한 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과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S. Typhimurium TA98과 TA100 균주를 이용한 실험에서 모든 된장의 시료에서 돌연변이성이 없었으며, 항돌연변이 원성 실험에서는 직접변이원인 MNNG($0.4{\mu}g$/plate)의 경우 TA100 균주에서 다시마분말을 첨가한 해양심층수된장(된장C)의 시료농도 $200{\mu}g$/plate에서 89.1%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4NQO($0.15{\mu}g$/plate)에 대해서는 같은 시료 농도에서 7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4NQO에서 TA98 균주에 대해서 다시마분말을 첨가한 해양심층수된장(된장C)은 84.4%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모든 시료는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독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HeLa, Hep3B, AGS, A549와 MCF-7을 사용하였으며 다시마분말을 첨가한 해양심층수된장(된장C)이 1 mg/mL의 농도에서 위암세포를 제외한 자궁암세포, 간암세포, 폐암세포 및 유방암세포에서 모두 70% 이상의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도 폐암세포에서 77.3%의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다시마분말을 첨가한 해양심층수된장(된장C)은 고 형암 성장억제실험에서 대조군에 비해서 32.5%의 고형암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로부터 분리된 flavonoid의 인체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Cytotoxic Effect of Flavonoids from the Roots of Glycyrrhiza uralensis on Human Cancer Cell Lines)

  • 박지해;우치엔;유기현;용혜임;조승목;정인식;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1호
    • /
    • pp.67-70
    • /
    • 2011
  • The roots of Glycyrrhiza uralensis Fisch. were extracted with 30% aqueous ethanol (Et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n-hexane, chloroform ($CHCl_3$), ethyl acetate (EtOAc), n-butanol (n-BuOH), and $H_2O$, successively. From the $CHCl_3$ fraction, four flavonoids were isolated through the repeated silica gel ($SiO_2$), octadecyl silica gel (ODS),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ies (c.c.).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pectroscopic data includ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ry (NMR), electron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EI/MS), and infrared spectroscopy (IR),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determined as glabrol (1), abyssinone II (2), glabridin (3), and isoliquiritigenin (4). The flavonoids were evaluated for cytotoxic effect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s, HCT-116, HepG2, HeLa, SK-OV-3, SK-BR-3, MCF-7, and SK-MEL-5. Especially, glabrol (1) and glabridin (2) showed $IC_{50}$ values of lower than $25{\mu}M$.

솔잎 추출물의 in vitro계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Cytotoxic Effect of the Pine needle extracts)

  • 김은정;정성원;최근표;함승시;강하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13-217
    • /
    • 1998
  • 곰솔, 리기다, 잣나무, 적송잎의 에탄올 추출물들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폐암, 간암, 위암, 유방암 세포에 대한 성장억제율이 증가함을 보여 주였고 각각의 디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수층 분획물 또한 농도 증가에 따라 성장 억제율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0.25 mg/mL 처리시 각각의 비교 결과 잣나무의 디에틸에테르 분획물은 위암세포에 대해서는 억제효과가 보여지지 않았다. 현미경의 관찰하에서 암세포의 변화는 세포막의 경계가 흐트러지는 사멸 현상을 보였다.

  • PDF

Synergistic Induction of Apoptosis by the Combination of an Axl Inhibitor and Auranofin in Human Breast Cancer Cells

  • Ryu, Yeon-Sang;Shin, Sangyun;An, Hong-Gyu;Kwon, Tae-Uk;Baek, Hyoung-Seok;Kwon, Yeo-Jung;Chun, Young-Ji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8권5호
    • /
    • pp.473-481
    • /
    • 2020
  • Axl receptor tyrosine kinase has been implicated in cancer progression, invasion, and metastasis in various cancer types. Axl overexpression has been observed in many cancers, and selective inhibitors of Axl, including R428, may be promising therapeutic agents for several human cancers, such as breast, lung, and pancreatic cancers. Here, we examined the cell growth inhibition mediated by R428 and auranofin individually as well as in combination in the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MCF-7 and MDA-MB-231 to identify new advanced combination treatments for human breast cancer. Our data showed that combination therapy with R428 and auranofin markedly inhibited cancer cell proliferation. Isobologram analyses of these cells indicated a clear synergism between R428 and auranofin with a combination index value of 0.73. The combination treatment promoted apoptosis as indicated by caspase 3 activation and poly (ADP-ribose) polymerase cleavage. Cancer cell migration was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is combination treatment. Moreover, we found that combination therap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level of Bax, a mitochondrial proapoptotic factor, but decreased that of the X-linked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 Furthermore, the suppression of cell viability and induction of Bax expression by the combination treatment were recovered by treatment with N-acetylcysteine. In conclusion, our data demonstrated that combined treatment with R428 and auranofin synergistically induced apoptosis in human breast cancer cells and may thus serve as a novel and valuable approach for cancer therapy.

Cytotoxic and Antioxidant Compounds Isolated from the Cork of Euonymus alatus Sieb.

  • Jeong, Su Yang;Zhao, Bing Tian;Kim, Young Ho;Min, Byung Sun;Woo, Mi He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9권4호
    • /
    • pp.366-371
    • /
    • 2013
  • Seventeen compounds (1 - 17), ${\beta}$-sitosterone (1), lupenone (2), arborinone (3), ${\beta}$-sitosterol (4), lupeol (5), epi-lupeol (6), taraxerol (7), betulinic acid (8), 24R-methyllophenol (9), germanicol (10), hexatriacontane (11), nonacosan-1-ol (12), benzoic acid (13), tetradecyl(E)-ferulate (14), di(2-ethylhexyl) phthalate (15), trilinolein (16) and monopalmitin (17), were isolated from the methylene chloride-soluble fraction of the cork of Euonymus alatus Sieb.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elucidate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evidence. Compounds 6, 11, 13 and 14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Compound 4 showed moderate cytotoxic activity with an $IC_{50}$ value of 6.22 ${\mu}M$ in HL-60 cell line. Compound 9 exhibited moderate cytotoxic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63.31, 15.45, 15.14 and 21.72 ${\mu}M$ in four kinds of human cancer cell lines, Jurkat T, HeLa, HL-60 and MCF-7, respectively. Compound 17 showed moderate cytotoxic activity with an $IC_{50}$ value of 70.71 ${\mu}M$ in Jurkat T cell line. In addition, compounds 2, 3, 14 and 16 exhibited weak antioxidant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151.76, 170.79, 137.46 and 139.37 ${\mu}M$,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