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 PARSIMONY ANALYSIS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6초

ITS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담배풀속(Carpesium L.)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Carpesium L. Based on nrDNA ITS Sequences)

  • 유광필;박선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6-104
    • /
    • 2012
  • 한국산 담배풀속(Carpesium L.) 7분류군과 3개의 외군(Inula britannica L., Inula germanica L., Rhanteriopsis lannginosa(DC.) Rauschert)을 대상으로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nuclear ribosomal DNA(nrDNA) 중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 지역의 계통분류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계통분류학적 연구방법은 maximum parsimony, neighbor-joining와 maximum likelihood 방법을 사용하였다. 정렬된 계통분의 총 길이는 731 bp이며, ITS1, ITS2와 5.8S 부위의 길이는 각각 284~297 bp, 264~266 bp와 164 bp로 나타났다. 계통분류학 변이를 보이는 site는 111개로 확인 되었으며, 그 중 64개의 site가 계통학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고, ITS1 지역이 ITS2 지역보다 염기 변이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 한국산 담배풀속은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며, 담배풀(C. abrotanoides L.)이 가장 기저부에 위치하였다. 여우오줌(C. macrocephalum Franch. & Sav.)와 두메담배풀(C. triste Maxim.)은 가까운 유연관계를 나타냈으며, 애기담배풀(C. rosulatum Miq.)와 천일담배풀(C. glossophyllum Maxim.) 그리고 좀담배풀(C. cernuum L.)와 긴담배풀(C. divaricatum Siebold & Zucc.)도 유연관계가 가깝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담배풀속 nrDNA의 ITS 지역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 계통학적 연구는 계통분류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오징어과의 Kinesin Superfamily Proteins (KIFs)의 유전자분석 및 계통분석 (Sequences and Phylogenic Analysis of Squid New Kinesin Superfamily Proteins (KIFs))

  • 김상진;석대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3-297
    • /
    • 2012
  • 분자 운동 단백질은 신경세포 내의 세포체에서 특정 목적지까지 소포를 이동시키는데 관여한다. 오징어의 거대 축삭은 간단한 제거조작으로 축삭을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신경세포내 물질이동기전 연구의 좋은 모텔로 활용 가능하다. 이전연구에서 오징어 거대축삭의 소포들은 미세소관을 따라 이동하는 키네신 항체에 의하여 운반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오징어 뇌에 존재하는 키네신들을 크로닝하고, 분리된 유전자의 분석을 행하기 위하여 키네신 운동 도메인에서 잘 보존된 아미노산 배열에 해당되는 영역에 DNA primer을 이용하여 새로운 6종류의 키네신을 분리하였다. 오징어의 키네신들과 생쥐의 키네신들의 motor 영역의 아미노산분석에서 보존된 영역이 존재하며, Maximum Parsimony (MP) 방법, Neighbor-Joining (NJ) 방법, Minimum Evolution (ME) 방법, 그리고 Maximum likelihood (ML) 방법을 기초로 한 계통분석에서 생쥐의 키네신과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계통수에서도 높은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Molecular Systematics of Tephritidae (Insecta : Diptera): Testing Phylogenetic Position of Korean Acidiella spp. (Trypetini) Using Mitochondrial 16S rDNA Sequences

  • Han, Ho-Yeon;Ro, Kyung-Eui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6권1호
    • /
    • pp.13-18
    • /
    • 2002
  •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Korean Acidiella species were tested using mitochondrial 16S ribosomal RNA gene sequences. We used 16 published sequences as outgroup, and 10 new sequences for nine Korean Acidiella species as ingroup. The number of aligned sites was 1,281 bp, but 1,135 bp were used for the analysis after excluding sites with missing data or gaps. Among these 1,135 sites, 464 sites were variable and 340 were informative for parsimony analysis. Phylogenetic information was extracted from this data set using neighbor-joining, maximum likelihood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and compared to a morphology-based phylogenetic hypothesis. Our molecular data suggest that: (1) the tribe Trypetini appears to be monophyletic even when the nine additional Acidiella species are added to our previous phylogenetic analysis; (2) all the Korean Acidiella species belong to the Trypeta group, but the genus Acidiella is not supported as monophyletic; (3) the close relationship of A. circumvaga, A. issikii, and A. sapporensis is supported; (4) the close relationship of A. pachypogon and two additional new Acidiella species is strongly supported; and (5) the possible presence of two or more cryptic species among the specimens previously identified as A. obscuripennis is suggested. Sequence data from the mitochondrial 16S rDNA allowed us to better understand the systematic status of Korean Acidiella species. They indicated that the current concept about the genus Acidiella is insufficient and needs to be refined further. This study also showed a few interesting relationships, that had not been recognized by morphological study alone. Based on this study, we were able to plan further experiments to analyze relationships within the Trypeta Group.

SSU 부위의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한국연안에서 분리한 Cochi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와 Gyrodinium aurelum Hulburt 적조생물의 분자생물학적 연구 (Genetic Study of the Class Dinophyceae Including Red Tide Microalgae Based on a Partial Sequence of SSU Region : Molecular Position of Korean Isolate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and Gyrodinium aureolum Hulburt)

  • Cho, Eun-Seob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93-607
    • /
    • 2004
  • 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Gyrodinium aurelum을 포함한 43 종류의 와편조류를 대상으로 SSU 부위 유전자를 분석했다. 유전자 염기서열에 의거한 상호 계통수는 parisomny, distance, maxium 방법으로 실행했다. Noctilura scintillans, Gonyaulax spinifera와 Crythecodinium cohnii 종들은 와편모조류 중 가장 유전적으로 먼 것으로 보였다. Alexandrium과 Symbiodinium 종간의 bootstrap는 70% 이상의 상호 단일 계통도를 보인 반면에, Gymnodinium과 Gyrodinium은 근립절약계수와 최대 유사도 방법에서 다형 계통도를 나타내었다. Gyroddinium aurelum과 G. dorsum/G. galathenum의 유전적 분화율은 7.4% (45 bp) 였고, G. aurelum과 G. mikimotoi 상호간에는 0.9% (5bp) 밖에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C. polykrikoides와 G. aurelum도 5.2% (31bp)로 낮은 유전적 분화율을 보였다. 계통도를 분석한 결과 G. aureolum과 C. polykrikoides는 Gyrodinium 보다 Gymnodinim 속에 훨씬 더 근접하게 나타났다.

형태학적 분계분석에 의한 한국산 꿩의다리속(Thalictrum L.) 식물의 계통학적 연구 (Systematics of Korean Thalictrum L. based on a morphological cladistic analysis)

  • 박성준;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89-99
    • /
    • 2009
  • 한국산 꿩의다리속 식물의 계통 및 유연관계를 밝히기 위해 39개의 형태 형질을 바탕으로 Maximum parsimony와 Neighbor-joining을 분석하였다. 식물재료는 한국 고유종을 포함해 내군 21분류군과 외군 1분류군이 사용되었다. 좀꿩의다리절과 금꿩의다리절은 각각 100% 부트츠랩 값과 83% 부트츠랩 값으로 단계통군을 형성하였고, 금꿩의다리절은 좀꿩의다리절의 자매군으로 나타났다. 꽃꿩의다리절과 산꿩의다리절은 측계통군을 형성하였다. 그늘꿩의다리를 제외한 산꿩의다리절은 방사상분지로 나타났다. 꿩의다리절과 발톱꿩의다리절은 각각 독립적인 분계군를 형성하였다. 꿩의다리속 식물에서 주요한 형질인 수술의 모양은 곤봉형이 가장 원시적이며, 원시적인 곤봉형에서 봉형, 그리고 실형으로 파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의 형태는 수분방법(충매, 풍매), 개화시 꽃받침의 존재유무 등 꿩의다리속 식물의 꽃 진화에도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18S Ribosomal DNA Sequences Provide Insight into the Phylogeny of Patellogastropod Limpets (Mollusca: Gastropoda)

  • Yoon, Sook Hee;Kim, W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3권1호
    • /
    • pp.64-71
    • /
    • 2007
  • To investigate the phylogeny of Patellogastropoda, the complete 18S rDNA sequences of nine patellogastropod limpets Cymbula canescens (Gmelin, 1791), Helcion dunkeri (Krauss, 1848), Patella rustica Linnaeus, 1758, Cellana toreuma (Reeve, 1855), Cellana nigrolineata (Reeve, 1854), Nacella magellanica Gmelin, 1791, Nipponacmea concinna (Lischke, 1870), Niveotectura pallida (Gould, 1859), and Lottia dorsuosa Gould, 1859 were determined. These sequences were then analyzed along with the published 18S rDNA sequences of 35 gastropods, one bivalve, and one chiton species. Phylogenetic trees were constructed by maximum parsimony, maximum likelihood, and Bayesian inference. The results of our 18S rDNA sequence analysis strongly support the monophyly of Patellogastropoda and the existence of three subgroups. Of these, two subgroups, the Patelloidea and Acmaeoidea, are closely related, with branching patterns that can be summarized as [(Cymbula + Helcion) + Patella] and [(Nipponacmea + Lottia) + Niveotectura]. The remaining subgroup, Nacelloidea, emerges as basal and paraphyletic, while its genus Cellana is monophyletic. Our analysis also indicates that the Patellogastropoda have a sister relationship with the order Cocculiniformia within the Gastropoda.

A DEEPLY BRANCHED NOVEL PHYLOTYPE FOUND IN PADDY SOIL

  • Kim, Hong-Ik;Kazunori Nakamura;Hiroshi Oyaizu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0년도 Proceedings of 2000 KSAM International Symposium and Spring Meeting
    • /
    • pp.128-134
    • /
    • 2000
  • In the course of flora analysis of soil Archaea, we found very strange 16S rDNA clones, which could possibly constitute a sister clade from known two archael, Crenarchaeota and Euryarchaeota, lineages. Overall signature sequences showed that the clones were closely related to domains Archaea and Eucarya. However, at least nine nucleotides distinguished the novel clones from domains Archaea and Eucarya. Phylogenetic trees drawn by maximum parsimony, neighbor joining and maximum likelihood methods also showed unique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clones. A very specific primer set was synthesized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novel group of organisms in terrestrial environments. A specific DNA fragment was amplified from all of paddy soil DNAs, and this fact suggests that the novel organisms inhabit paddy soils.

  • PDF

Molecular Phylogeny of Silk Producing Insects Based o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DNA1

  • Mahendran, Botlagunta;Ghosh, Sudip K.;Kundu, Subhas C.
    • BMB Reports
    • /
    • 제39권5호
    • /
    • pp.522-529
    • /
    • 2006
  • Silk moths are the best studied silk secreting insects and belong to the families Bombycidae and Saturniida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between eleven silk producing insects was analyzed using the complete DNA sequence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DNA 1 locus. The PCR amplification and sequence analysis showed variation in length ranging from 138 bp (Antheraea polyphemus) to 911 bp (Hyalopora cecropia). Microsatellite sequences were found and was be used to distinguish Saturniidae and Bombycidae members. The nucleotide sequences were aligned manually and used for construction of phylogenetic trees based on Maximum parsimony and Maximum likelihood methods. The topology in both the approaches yielded a similar tree that supports the ancestral position of the Antheraea assama.

ITS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괭이눈속(Chrysosplenium)의 계통학적 연구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Chrysosplenium Based on nrDNA ITS Sequences)

  • 한종원;양선규;김현준;장창기;박정미;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58-369
    • /
    • 2011
  • 괭이눈속 식물에 대한 계통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핵 rDNA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지역에 대한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5.8s를 포함한 ITS 염기서열은 647-653 bp로 그중 219개의 염기에서 유전적 다양성을 나타내었다. 정렬된 염기서열은 bootstrap을 포함한 parsimony 방법과 neighbor-joining 방법을 통하여 계통수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C. pseudofauriei(선괭이눈)이 군내군의 가장 기부에 분계조를 형성하였고, Ser. Pilosa and Ser. Oppositifolia와 Ser. Alternifolia and Ser. Flagellifera가 높은 bootstrap 값으로 두 개의 분계조를 각각 형성하였다. Neighbor-joining 분석의 결과도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핵 rDNA의 ITS 염기서열 분석은 괭이눈속의 계통학적 연구에 유용한 마커로 확인되었으며, 최종적으로 ITS 염기서열과 종자 형태형질을 바탕으로 C. sphaerospermum Maxim. and C. valdepilosum (Ohwi) S.H. Kang & J.W. Han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를 하였다.

털개구리미나리(Ranunculus cantoniensis)의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 및 종분화 (Molecular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speciation of Ranunculus cantoniensis (Ranunculaceae))

  • 이창숙;이남숙;여성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35-358
    • /
    • 2004
  • 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의 털개구리미나리(R. cantonienesis)의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조사하고 잡종화 가설을 추정하기 위하여, 군외군을 포함한 8분류군의 25개 DNA재료를 대상으로 핵 DNA와 엽록체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털개구리미나리와 근연종에 대하여 maximum parsimony와 maximum likelihood방법으로 분석한 핵 DNA의 ITS 계통수와 psbA-trnH, rps16, trnL 유전자 구간의 염기서열을 조합한 엽록체 DNA 계통수에서, 털개구리미나리는 젓가락나물과 가장 가깝고, 개구리미나리, 왜젓가락나물 순으로 유연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는 털개구리미나리가 왜젓가락나물과 가장 가깝다는 기존의 외부형태학적 보고와 일치하지 않았다. 염기서열 분석에서 털개구리미나라는 조사된 분류군 중 유일하게 다형성을 나타냄으로서, 염색체수와 핵형에 의하여 보고된 털개구리미나라의 다형성을 지지하였다. 털개구리미나리는 ITS 에서 젓가락나물과 왜젓가락나물의 표지 유전자를 공유하고, 엽록체 DNA에서 왜젓가락나물의 표지 유전자를 공유하였다. 이 결과는 염색체수와 핵형에 의하여 제시되었던 털개구리미나리가 젓가락나물과 왜젓가락나물의 잡종화에 의하여 종분화되었다는 가설을 지지하였으며, 왜젓가락나물이 모계이며, 젓가락나물이 부계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