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AGEMENT GUIDELINE

검색결과 1,566건 처리시간 0.028초

농업용 저수지 CCTV 영상자료 기반 수위 인식 모델 적용성 검토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level recognition model using CCTV image data)

  • 권순호;하창용;이승엽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4호
    • /
    • pp.245-259
    • /
    • 2023
  • 농업용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생산기반시설로, 우리나라 농업용수의 60% 정도를 공급하고 있다. 다만, 여러 문제로 인해 농업용수의 효율적인 공급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공급 및 관리 체계 구현을 위한 정확한 실시간 저수위 혹은 저수량 추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정보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 농업용 저수지 수위 인식 모델을 제안하였다. 개발한 모델은 (1) CCTV 영상정보 자료 수집 및 분석, (2) U-Net 이미지 분할 방법을 통한 입력 자료 생성, 그리고 (3) CNN과 ResNet 모델을 통한 수위 인식 세 단계로 구성된다. 모델은 두 농업용 저수지(G저수지와 M저수지)의 영상자료와 저수위 시계열자료를 활용하여 구현하였다. 적용 결과 이미지 분할 모델의 성능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위 인식 모델의 경우 수위 분류 계급구간에 따라 성능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상자료의 픽셀 변동이 클수록 정확도 80% 이상이 확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 정확도가 5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은 향후 이미지 자료가 추가로 확보될 경우, 그 활용도 및 정확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임상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관련 요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mpowerment Related Variables in Korean Clinical Nur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이유미;정서희;이영주;김선미;정석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529-548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임상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관련 요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이들 변인간의 종합적인 관계를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PRISMA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2020년 7월 26일까지 출간된 총 71편 문헌에 대한 임파워먼트와 관련 변인간의 상관관계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71편 연구의 전체 효과크기는 ESr=0.42로 중간 효과크기였다. 임파워먼트 관련변인은 선행변인과 결과변인으로 구분하고 다시 개인·심리 영역, 직무 영역, 조직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효과크기를 확인하였다. 선행변인의 전체 효과 크기는 ESr=0.38, 결과변인의 전체 효과크기는 ESr=0.45의 중간 효과크기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조직과 직무 그리고 간호사 개인 차원에서 임파워먼트의 다양한 역할과 영향을 구체적이고 종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임파워먼트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방과후학교에서 계약법 적용에 따른 대안 모색 (A Study On The Exploring Alternatives In After-School Program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Contract Law)

  • 정영모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219-228
    • /
    • 2016
  •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민간위탁의 정책 변화과정을 조사하고, 향후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정책관련 연구 자료와 관련 법규를 문헌조사 하였다. 조사결과 2004년부터 2008년은 교육부에서 방과후학교 운영계획을 수립하였으나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자문)를 통해 단위학교의 자율로 민간위탁이 진행되었고, 2008년부터 2015년은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에서 공동으로 제작한 '방과후학교 운영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표준화된 절차를 따르고 있었으며, 2016년 이후에는 방과후학교 민간위탁 시 계약법을 적용하도록 하는 등 정책 변화가 있었다. 2016년 이후의 정책 변화는 방과후학교 민간위탁의 투명성 확보 필요성과 함께 방과후학교 민간위탁 계약규모가 커지면서 계약법을 준수해야 하는 법적 필요성에 기인한다. 하지만 최저가 입찰방식으로 인해 방과후학교 교육의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기초금액에서 일정비율 이상을 인건비로 지급하도록 하여 지나친 가격경쟁을 방지하는 대안을 제시하였지만, 본 논문에서는 보다 근본적인 해결 방안으로 방과후학교 교육활동 및 시도의 특수성을 담아내는 시도의 조례를 제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운전자 인지도를 고려한 연속류 혼잡도 표출기준 (Freeway Congestion Information Display Criteria Considering Drivers' Recognition)

  • 조순기;김형수;이청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D호
    • /
    • pp.611-617
    • /
    • 2009
  • 다양한 첨단장비의 도입과 함께 도로의 실시간 소통 정보는 운전자뿐만 아니라 도로의 관리자에게도 필수적인 정보로 자리 잡고 있다. 혼잡정도를 표현하는 기존의 방법은 소통원활/서행/정체 등 3단계로 관리자 측면의 판단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각 단계를 구분하는 값들이 달라 운전자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상황을 표현하는 기존의 3단계 혼잡기준에 대한 운전자 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운전자 설문으로부터 적정 교통상황 표현 단계수 및 기준 통행속도를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연속류인 고속도로를 대상으로 운전자에게 다양한 소통상황에 대한 녹화 동영상을 보여주고 혼잡판정 단계와 통행속도 기준 값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결과, 운전자들은 고속도로의 현 3단계 혼잡판정보다 세분화된 4단계 혼잡판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 단계별 표현 용어는 정체, 지체, 서행, 원활이 선정되었다. 4단계 혼잡판정에 대한 통행속도 경계는 22km/h, 48km/h, 74km/h로 분석되었고, 현실적인 운영을 위해 20km/h, 50km/h, 75km/h를 단계별 경계 기준 값으로 제안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고속도로 교통정보 제공기관들에게 보다 세분화된 혼잡판정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교통정보 제공시 운전자 중심으로 개선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철도노선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환경항목 정량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Major Environmental Effecting Factors for Selecting the Railway Route)

  • 김동기;박용걸;정우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6D호
    • /
    • pp.761-770
    • /
    • 2009
  • 철도는 다른 육상교통수단보다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환경 친화적인 교통수단이다. 예비타당성조사와 철도노선 선정 과정에서 에너지 효율성과 환경에 관한 문제들이 일반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철도노선 선정에서는 지형적인 특성 그리고 시설물의 관리와 운영을 중심으로 선정되고 있다. 철도노선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관련 문제에 대해서 본 연구는 집중적으로 검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철도 및 환경전문가 그리고 철도 노선선정에 관련된 전문가 의견을 검토 분석하여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항목의 가중치를 선정하였다. 환경 친화적인 철도노선을 선정하기 위하여 여러 대안이 비교되어야 하고 각 대안의 평가는 환경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계층구조를 이용하여 복잡한 문제를 간단하고 객관적으로 결론 내리는데 용이한 AHP 기법을 이용하였다. 이에 따라 전문가에 의한 환경평가항목의 가중치를 기본값으로 정하고 GUI를 활용한 정량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해상환경에서 안전한 통신을 위한 보안체계 연구 (Research on Security System for Safe Communication in Maritime Environment)

  • 홍승표;이훈재;이영실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21-27
    • /
    • 2023
  • 선박이 안전한 항해를 하기 위해 도움을 주는 수단으로서 해상환경에서 운용 중인 항로표지는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환경 특성상 정확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항로 안전 및 운항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스마트 항로표지 시스템은 일반적인 항로표지와 다르게 센서, 통신 및 정보 기술을 포함한 전문적인 기술을 활용한다. 선박 안전과 선박을 운항하는 항해자들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 목적인 스마트 항로표지 시스템의 통신 환경은 해상환경에 맞게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게 된다. 선박은 육상에서 해상환경에 필요한 정보들을 수집하며 운항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무선 통신 보안 지침에 대한 부분도 고려해야할 필요가 존재한다. 기본적으로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표준 IHO S-100과 안전한 통신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SECOM을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는 해상환경에서 안전한 통신을 위한 보안체계를 연구하였다. 문서에 기반한 기본적인 보안 체계를 제시하였으며 해상환경의 무선 통신 특성상 데이터 교환에 대한 취약점도 다소 존재하였으며 비인가된 사용자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취약점을 고려하여 사용자 인증에 대한 부분을 추가하였다.

딥러닝 효율화를 위한 다중 객체 데이터 분할 학습 기법 (A Study on Multi-Object Data Split Technique for Deep Learning Model Efficiency)

  • 나종호;공준호;신휴성;윤일동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4권3호
    • /
    • pp.218-230
    • /
    • 2024
  • 최근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 비전 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를 많이 수행하고 있다. 최근 딥러닝 기반 객체 인식 및 영역 분할 연구에서 앵커 박스 파라미터를 사용하고 있다. 일관적인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학습 과정에서 앵커 박스 파라미터의 최적화가 중요하다. 앵커 박스 관련 파라미터는 일반적으로 학습자의 휴리스틱 방법으로 모양과 크기를 고정하여 학습을 수행하고 있고, 파라미터는 단일로 구성된다. 하지만 파라미터는 객체 종류와 객체 크기에 따라 민감하고 수가 증가하면 단일 파라미터로 데이터의 모든 특성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분할 학습을 통해 최적화된 다중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단일 파라미터로 모든 객체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통합 데이터를 객체 크기, 객체 수, 객체의 형상에 따라 효율적으로 분할하는 기준을 정립하였으며, 최종으로 통합 학습과 분할 학습 방법의 성능 비교를 통해 제안한 학습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Protein Requirement Changes According to the Treatment Application in Neurocritical Patients

  • Jungook Kim;Youngbo Shim;Yoon-Hee Choo; Hye Seon Kim; Young ran Kim; Eun Jin Ha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7권4호
    • /
    • pp.451-457
    • /
    • 2024
  • Objective : Exploring protein requirements for critically ill patients has become prominent.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significant impact of coma therapy and targeted temperature management (TTM) on the brain as well as systemic metabolisms, protein requirements may plausibly be changed by treatment application. However, there is currently no research on protein requirements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these treatment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changes in patients' protein requirements during the application of TTM and coma therapy. Methods :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prospectively collected data from March 2019 to May 2022. Among the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those receiving coma therapy and TTM were included. The patient's treatment period was divided into two phases (phase 1, application and maintenance of coma therapy and TTM; phase 2, tapering and cessation of treatment). In assessing protein requirements, the urine urea nitrogen (UUN) method was employed to estimate the nitrogen balance, offering insight into protein utilization within the body. The patient's protein requirement for each phase was defined as the amount of protein required to achieve a nitrogen balance within ±5, based on the 24-hour collection of UUN. Changes in protein requirements between phases were analyzed. Results : Out of 195 patients, 107 patients with a total of 214 UUN values were included. The mean protein requirement for the entire treatment period was 1.84±0.62 g/kg/day, which is higher than the generally recommended protein supply of 1.2 g/kg/day. As the treatment was taper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otein requirement from 1.49±0.42 to 2.18±0.60 in phase 2 (p<0.001). Conclusion : Our study revealed a total average protein requirement of 1.84±0.62 g during the treatment period, which falls within the upper range of the preexisting guidelines. Nevertheless, a notable deviation emerged when analyzing the treatment application period separately. Hence, it is recommended to incorporate considerations for the type and timing of treatment, extending beyond the current guideline, which solely accounts for the severity by disease.

Korean guidelines for postpolypectomy colonoscopic surveillance: 2022 revised edition

  • Su Young Kim;Min Seob Kwak;Soon Man Yoon;Yunho Jung;Jong Wook Kim;Sun-Jin Boo;Eun Hye Oh;Seong Ran Jeon;Seung-Joo Nam;Seon-Young Park;Soo-Kyung Park;Jaeyoung Chun;Dong Hoon Baek;Mi-Young Choi;Suyeon Park;Jeong-Sik Byeon;Hyung Kil Kim;Joo Young Cho;Moon Sung Lee;Oh Young Lee;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Intestinal Diseases
    • Clinical Endoscopy
    • /
    • 제55권6호
    • /
    • pp.703-725
    • /
    • 2022
  • Colonoscopic polypectomy i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incidence and mortality of colorectal cancer (CRC). Premalignant polyps discovered during colonoscopy ar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etachronous advanced neoplasia. Postpolypectomy surveillance is the most important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advanced metachronous neoplasia. A more efficient and evidence-based guideline for postpolypectomy surveillance is required because of limited medical resources and concerns regarding colonoscopy complications. In these consensus guidelines, an analytic approach was used to address all reliable evidence to interpret the predictors of CRC or advanced neoplasia during surveillance colonoscopy. The key recommendations state that the high-risk findings for metachronous CRC following polypectomy are as follows: (1) adenoma ≥10 mm in size; (2) 3 to 5 (or more) adenomas; (3) tubulovillous or villous adenoma; (4) adenoma containing high-grade dysplasia; (5) traditional serrated adenoma; (6) sessile serrated lesion (SSL) containing any grade of dysplasia; (7) serrated polyp of at least 10 mm in size; and (8) 3 to 5 (or more) SSLs. More studies are needed to fully comprehend the patients most likely to benefit from surveillance colonoscopy and the ideal surveillance interval to prevent metachronous CRC.

CRISPR/Cas9에 의한 유전자교정 토마토의 유전독성평가 (A Genotoxicity Study of Transgenic Tomatoes using CRISPR/Cas9)

  • 강동민;정우진;바슈 데브 네우파네;정유진;김종미;강권규;안미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12-321
    • /
    • 2024
  • 최근 전세계적으로 기능성 성분이 강화된 유전자교정 작물의 생산 및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유전자교정작물의 유전독성에 관한 소비자의 우려도 증가하고 있어 과학적인 자료 확보 및 정보 공유에 대한 인프라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CRISPR/Cas9 시스템을 활용한 유전자교정 토마토 동결건조물(LTT)이 DNA나 염색체에 직접적인 손상을 일으키고 형태적 또는 기능적 이상을 유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유전독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생물 복귀돌연변이시험, 염색체이상시험, 골수세포를 이용한 체내 소핵시험을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OECD Guidelines에 따라 시험을 진행하였다. 복귀돌연변이 시험에서 LTT는 S9의 존재 여부와 관계없이 Salmonella typhimurium 균주 TA98, TA100, TA1535 및 TA1537, 그리고 Escherichia coli WP2 uvrA에서 복귀돌연변이를 유발하지 않았다. LTT는 CHL 세포의 수적이상 중기상과 구조적이상 중기상 등의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지 않았다. 또한, LTT는 다염성 적혈구에서 소핵화된 다염성 적혈구의 빈도를 증가시키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CRISPR/Cas9 시스템을 활용한 유전자교정 토마토의 안전성을 검증하고, 향후 CRISPR/Cas9 시스템을 활용한 유전자교정 작물의 유전독성을 평가하는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