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1

검색결과 91,074건 처리시간 0.085초

Acetonitrile에서의 Mg-EBT$^-$ 착물에 관한 연구 (Studies of Magnesium-Eriochrome Black T Complex in Acetonitrile)

  • 박두원;최원형;이흥락
    • 대한화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56-261
    • /
    • 1973
  • Mg(II)과 Eriochrome Black T가 Acetonitrile용액속에서 반응하여 만든 착물을 일정한 이온의 세기와 일정한 수소이온농도에서 분광광도법으로 연구했다. 유리전극과 Ag/0.1 M $AgNO_3$기준전극쌍을 써서 Acetonitrile 용액속에서 측정한 pH 값은 표준완충용액으로 검정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icric acid$-10^{-3}M$ tetramethylammonium picrate 완충용액에 있어서는 은기준전극에 대한 유리 전극의 $25^{\circ}C$에서의 전위는 $E_{glass}=716+59.1logA_{H+}[mv]$이고, 1,3-Diphenylguanidine$-3{\times}10^{-3}M $1,3-diphenylguanidine perchlorate 완충용액에서는 $E_{glass}=1,193+59.1 logA_{H+}[mv]$이다. 리간드 Eriochrome Black T의 산해리지수$ pK_{H,EBT-}$는 9.1이었으며, 반응 $H_mEBT^{(3-m)-} + Mg^{2+} {\leftrightarrow}MgEBT^{-} + mH^{+}$ 으로 생성된 착물 $MgEBT^{-}$의 조건안정도상수를 log-ratio method으로 구하니 m이 2일때는 $logK_{MgEBT^-} + 3.97$이고, m이 1일 때는 $logK_{MgEBT^-} + 5.02$이었다. 착물의 조성은 수용액에서 Schwarzenbach씨 등이 구한 결과와 같이 비수용매 Acetonitrile속에서도 한 종류의 착물 $MgEBT^{-}$만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LOCATING ROOTS OF A CERTAIN CLASS OF POLYNOMIALS

  • Argyros, Ioannis K.;Hilout, Said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351-363
    • /
    • 2010
  • We introduce a special class of real recurrent polynomials $f_m$$($m{\geq}1$) of degree m+1, with positive roots $s_m$, which are decreasing as m increases. The first root $s_1$, as well as the last one denoted by $s_{\infty}$ are expressed in closed form, and enclose all $s_m$ (m > 1). This technique is also used to find weaker than before [6] sufficient convergence conditions for some popular iterative processes converging to solutions of equations.

Maximal Hypersurfaces of (m + 2)-Dimensional Lorentzian Space Forms

  • Dursun, Ugur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48권1호
    • /
    • pp.109-121
    • /
    • 2008
  • We determine maximal space-like hypersurfaces which are the images of subbundles of the normal bundle of m-dimensional totally geodesic space-like submanifolds of an (m + 2)-dimensional Lorentzian space form $\tilde{M}_1^{m+2}$(c) under the normal exponential map. Then we construct examples of maximal space-like hypersurfaces of $\tilde{M}_1^{m+2}$(c).

배양조건이 Bacillus subtilis 융합주의 ${\gamma}-Glutamyltranspeptidase{\;}({\gamma}-GTP)$ 활성에 미치는 영향 (Culture Characteristics on the Activity of ${\gamma}-Glutamyltranspeptidase{\;}({\gamma}-GTP)$ by Bacillus subtilis Fusant)

  • 김관필;김성호;정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95-402
    • /
    • 2001
  • Bacillus subtilis 돌연변이주 중 ${\gamma}-GTP$활성이 높은 SM-2와 SM-10을 융합시켜 획득한 융합주 중 ${\gamma}-GTP$활성이 높은 융합주 FG-21의 배양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융합주 FG-21에 의한 ${\gamma}-GTP$의 생산은 1% glycerol, 1% peptone, 0.1% citric acid, 5 mM $K_2HPO_4$, 1 mM $FeCl_3$, 1 mM $MgCl_2$, 1 mM $NH_4Cl$, pH 7.0의 배지에 의해 $37^{\circ}C$에서 36시간 배양했을 때 621 U/mL으로 최대한 활성을 보였다. 융합주 FG-21이 생산한 biopolymer A가 단백질함량이 38.4%이고 B. subtilis K-1이 생산하는 biopolymer B의 단백질함량은 19.3%로 융합주 FG-21이 생산하는 Biopolymer A보다 함량이 낮았다. 융합주 FG-21의 biopolymer가 모균주의 biopolymer B보다 단백질함량이 높은 것은 상대적으로 높은 ${\gamma}-GTP$활성이 높아서 생성된 PGA가 levan보다 함량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총당함량은 biopolymer A가 58.5%, biopolymer B가 76.5%로 나타났다. 융합주 FG-21과 모균주가 생산하는 biopolymer의 단백질함량과 총당함량비는 융합주 FG-21이 생성한 biopolymer는 38 : 59. 모균주가 생산한 biopolymer B는 19 : 78의 비율이었고 HPLC 분석에 의한 biopolymer A와 B의 fructose함량은 각각 537.7 mg/g biopolymer, 764.4 mg/g biopolymer으로 나타났다. Biopolymer A와 B의 glutamic acid함량은 각각 163.7 mg/g, 94.3 mg/g이었다. Biopolymer A와 B의 fructose와 glutamic acid의 함량비는 각각 78 : 22, 89 : 11의 비로 함유되어 있었다. 따라서 융합주에 의해 생산된 biopolymer는 모균주보다 구성상태가 변화된 biopolymer를 생산한 것으로 판단되어 fusion과 같은 균주개량을 통하여 물질의 구성적, 물질적 변화된 biopolymer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Gender-dependent difference in serum paraoxonase 1 levels of Hanwoo, Korean native cattle, an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meat quality

  • Park, Jihyun;Kim, Jiwoo;Hwang, Sungwon;Chung, Ki Young;Choi, Inho;Choi, Chang Bon;Kim, Jiho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3호
    • /
    • pp.437-441
    • /
    • 2019
  • Objective: Paraoxonase 1 (PON1), a calcium-dependent serum enzyme, has been shown to be involved in lipid metabolism.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utative correlation of the serum PON1 level of Hanwoo, Korean native cattle, with gender and meat quality grade. Methods: PON1 levels were estimated by determining the arylesterase and paraoxonase activities (AE and PO, respectively) in serum samples from Hanwoo individuals (n = 56). Serum PON1 levels were analyzed in different gender groups (female [n = 21], castrated male [n = 17], and male [n = 18]), and meat quality grades (${\geq}1$ [n = 23], 2 [n = 21], and 3 [n = 12]). Results: Serum PON1 levels were similar in female ($AE=120{\pm}55U/mL$, $PO=84{\pm}43mU/mL$) and castrated male ($123{\pm}44U/mL$, $PO=89{\pm}30mU/mL$), while male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level ($AE=65{\pm}43U/mL$, $PO=44{\pm}34mU/mL$). Furthermore, analysis of serum PON1 levels in three different grades of meat quality showed similar levels in the grades ${\geq}1$ ($AE=118{\pm}49U/mL$, $PO=84{\pm}37mU/mL$) and 2 ($AE=116{\pm}54U/mL$, $PO=82{\pm}43mU/mL$), while the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ade 3 ($AE=58{\pm}35U/mL$, $PO=39{\pm}27mU/mL$) of lower meat quality. Conclusion: We discovered the gender-dependent differences in serum PON1 levels of Hanwoo and a positive association of the serum PON1 level with meat quality.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 that PON1 would be a useful serum marker for preliminary screening of Hanwoo individuals with high-quality meat and applicable for genetic improvement.

한식(韓食)의 편의식화(便宜食化)를 위한 주방동선(?房動線)에 관한 연구 (Moving Distance of Laborer in the Kitchen for Systematic of the Korean Foods)

  • 박형우;고하영;강통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
    • /
    • 1987
  • 한식을 편의식화하기 위해서 10개 품목의 양목표(量目表) 및 가공 순서를 정했다. $62.8m^2$$32.4m^2$의 상업용 식당과 모델 식당에서, 주방기기류의 배치에 따른 작업원의 작업동선, 소요 에너지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62.8m^2$식당의 경우 C-스토아에서 작업원의 동선, 소요시간 및 소요 에너지는 각각 1,922m, 2,986분 및 4,704kcal였고 T-스토아는 각기 2,134m, 3,173분 및 5,001.7kcal였으며 모델 식당에서는 1,704m, 2,808분 및 4,414.5kcal로 기존 주방들에 비해서 289.5kcal(6.6%)와 587.2kcal(13.3%)의 에너지가 절약되었다. 2. $32.4m^2$식당의 경우 S-스토아에서 작업동선, 소요시간 및 소요 에너지는 각각 1,277m, 2,926분 및 4,588kcal였고 H-음식점에서는 1,425m, 3,108분 및 4,873.8kcal였으며 모델 주방에서는 1,167m, 2,798분 및 4,381.4kcal로 기존 주방에 비해서 206.6kcal(4.7%) 및 492.4kcal(11.2%)가 절약되었다. 3. 4개 품목은 직접 생산하고 6개 품목은 편의식화할 경우 S-스토아에서 작업동선, 소요시간 및 소요 에너지는 각기 554.7m, 972분 및 1,586kcal였고 H-음식점에서는 각각 684.7m, 991분 및 1,579.2kcal였으며 모델 주방에서는 각기 523.1m, 938분 및 1,479.5kcal로 기존 주방들에 비해서 106.5kcal(7.2%)와 99.7kcal(6.7%)의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었다. 4. 동선 절약형 시스템 주방의 경우 모델 주방에 비해서 동선은 42%, 소요 에너지는 20.4%가 절약 되었다.

  • PDF

Betaine-γ-aminobutyric acid transporter 1 (BGT-1/mGAT2)과 Munc-18-interacting (Mint) 단백질의 PDZ 결합 (Betaine-γ-aminobutyric Acid Transporter 1 (BGT-1/mGAT2) Interacts with the PDZ Domain of Munc-18 Interacting Proteins (Mints))

  • 김상진;정영주;최선희;최춘연;전희재;문일수;석대현;장원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159-1165
    • /
    • 2012
  • ${\gamma}$-Aminobutyric acid (GABA)는 신경세포 밖으로 분비된 후 GABA 수송체들(GATs)에 의하여 다시 신경세포 안으로 재흡수 된다. 그러나, GABA 수송체들이 어떻게 연접전막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존재하는지 또한 어떤 단백질과 결합하여 조절을 받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 효모 two-hybrid system을 이용하여 betaine-${\gamma}$-aminobutyric acid transporter 1 (BGT-1/mGAT2)의 C-말단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Munc-18-interacting (Mint)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BGT-1/mGAT2의 C-말단에 존재하는 "T-H-L" 아미노산배열은 Mint2와의 결합에 필수적으로 관여하였다. Mint2은 BGT-1/mGAT2와는 결합하지만, 다른 종류의 GAT와는 결합하지 않았다. 또한 HEK-293T 세포에 Mint2와 BGT-1/mGAT2을 동시에 발현시켜 면역침강한 결과 두 단백질은 같이 면역침강하였으며, 두 단백질은 세포 내에서 세포막 부위에 같이 존재함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Mint2가 BGT-1/mGAT2와 결합하여 BGT-1/mGAT2을 조절하는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광적응된 은편모조류를 섭식한 해양 광합성 섬모류 Mesodinium rubrum MR-MAL01의 흡광스펙트럼 (Absorbance Spectrum for Mesodinium rubrum MR-MAL01, a marine photosynthetic ciliate, fed on Photo-adapted Cryptophyte)

  • 김형섭;명금옥;조수근;이원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1호
    • /
    • pp.29-34
    • /
    • 2003
  • 한국 서해의 곰소만에서 분리한 온대 해역 산 초유의 M. rubrum MR-MAL01 배양체가 확보되어, M. rubrum의 입자성 먹이 섭식 현상이 보고되었다. 100$\mu$mo1 photons m$^{-2}$ s$^{-1}$의 고광도(HL) 및 10 $\mu$mo1 photons m$^{-2}$ s$^{-1}$의 저광도(LL)에서 광 적응된 미동정 은편모조류 종주 CR-MAL01를 섭식한 M. rubrum의 HL및 LL적응 배양체의 흡광스펙트림을 분석하였다. LL에 적응된 은편모조류를 섭식하고 LL에 적응한 M. rubrum은 섭식 이전의 먹이 세포 흡광특성인 542nm부근의 황갈색 파장 범위에서 뚜렷한 흡광피크를 나타낸 반면, HL에 적응된 은편모조류를 섭식하고 HL에 적응한 M. rubrum은 이러한 흡광 피크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M. rubrum세포가 자연환경에서 먹이로서 은편모조류 세포를 섭식하기 이전 이들의 광 적응 상태가 섭식 이후 M. rubrum의 광이용 효율 및 광흡수 특성 등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이 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예상되는 해양 미소생물 생태계 내에서 이들 섭식자 및 먹이생물 종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고흥산 세리사이트의 物性 및 분쇄 특성 (Characteristics and Comminution Properties of the Sericite from Goheung Area)

  • 노희진;이종국;서동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0권4호
    • /
    • pp.3-9
    • /
    • 2001
  • 박판상을 갖는 세리사이트 분말의 분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분쇄조제 1 M $KNO_3$ 용액이 첨가된 분말을 시간에 따라 분쇄하였으며, 증류수만을 첨가하여 분쇄한 분말과 비교하였다. 분쇄된 분말의 평균 입자크기는 분쇄시간 1시간까지는 감소하다가 1시간 이후에는 미세 입자들간의 응집으로 증가하였다. 세리사이트 분말에 $1 M KNO_3$용액을 첨가한 경우 1시간 분쇄하였을 때 평균입자크기가 $1.9mu$m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증류수를 첨가한 경우에도 1시간 분쇄 시 $2.4\mu$m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 PDF

RESOLUTIONS AND DIMENSIONS OF RELATIVE INJECTIVE MODULES AND RELATIVE FLAT MODULES

  • Zeng, Yuedi;Chen, Jianlong
    • 대한수학회보
    • /
    • 제50권1호
    • /
    • pp.11-24
    • /
    • 2013
  • Let m and n be fixed positive integers and M a right R-module. Recall that M is said to be ($m$, $n$)-injective if $Ext^1$(P, M) = 0 for any ($m$, $n$)-presented right R-module P; M is said to be ($m$, $n$)-flat if $Tor_1$(N, P) = 0 for any ($m$, $n$)-presented left R-module P. In terms of some derived functors, relative injective or relative flat resolutions and dimensions are investigated. As applications, some new characterizations of von Neumann regular rings and p.p. rings are giv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