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 australis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7초

서낙동강 본류 및 낙동강 둔치 습지의 수생식물 생물량 분포 (Standing Crop Distribution of Aquatic Plants in the West Nakdong River and Riparian Wetlands in the Nakdong River)

  • 김구연;김지윤
    • 생태와환경
    • /
    • 제47권1호
    • /
    • pp.62-69
    • /
    • 2014
  • Standing crop distribution of aquatic plants in the West Nakdong River and riparian wetlands in the Nakdong River were surveyed in May, July and September, 2010. Total 25 aquatic macrophyte species (submerged: 9, leaf-floating: 3, free-floating: 5, emergent: 8) were observed during the survey periods. Distribution area of aquatic plants and proportion of submerged communities were highest in Garakchi-deung ($212,032m^2$, 72.7%). The distribution area of aquatic plants was highest in Phragmites australis community ($421,584m^2$), followed by Hydrilla verticillata-Vallisneria natans community ($181,511m^2$), Potamogeton wrightii-Vallisneria natans community ($61,604m^2$), and Hydrocharis dubia community ($49,709m^2$). Garakch-ideung (212,032 kg) also had the highest aquatic plant production, followed by Suanchi-deung (15,546 kg), Daedong (5,813 kg), Dunchi-do (3,963 kg), Maekdo (1,463 kg), Yeommak (571 kg), Jungsa-do (530 kg), and Shinan (300 kg). Average standing crop of the study area were $147.8{\pm}20.8g\;DW{\cdot}m^{-2}$ in 1988, $96.1{\pm}20.0g\;DW{\cdot}m^{-2}$ in 2000, and $172.6{\pm}76.1g\;DW{\cdot}m^{-2}$ in 2010. For a sustainable management of river habitat and food source, aquatic plant should concurrently be surveyed with river environmental variables (i.e. sediment, nutrient, flow).

하천수를 정화하는 갈대습지의 개수부에 의한 질소제거 비교 (Comparison of Nitrogen Removal in Reed Wetlands with and Without Open Water Purifying Effluent from a Treatment Pond)

  • 양홍모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7-44
    • /
    • 2005
  • Nitrate($NO_3-N$) and total nitrogen(TN) removal by a reed wetland with open water(Wetland 1) was compared with that of a reed wetland without open water(Wetland 2) from March to October 2002. The two wetlands were 25mL by 6mW. An open water area, 3mL by 6mW was designed at the middle of Wetland 1. Reeds(Phragmites australis) were transplanted into the wetlands in June 2000. Water of Sinyang Stream flowing into the Kohung Estuarine Lake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was pumped into a primary treatment pond, whose effluent was discharged into the secondary pond. Effluent from the secondary pond was funneled into the wetlands. Inflow into the wetlands averaged about 20.0$m^3$/day and their hydraulic retention time was approximately 1.5 days. Average $NO_3-N$ removal by Wetland 1 was 117.61mg/$m^2{\cdot}day$ and that by Wetland 2 was 106.39mg/$m^2{\cdot}day$. $NO_3-N$ removal efficiency of Wetland 1 and 2 was 37% and 34%, respectively. TN removal by Wetlands 1 and 2 averaged 226.80 and 214.54mg/$m^2{\cdot}day$, respectively. TN abatement efficiency of Wetland 1 was 43% and that of Wetland 2 was 40%. $NO_3-N$ removal efficiency of Wetland 1 was significantly higher(p=0.038) than Wetland 2. TN removal efficiency of Wetland 1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p=0.044) than Wetland 2. The wetland with open water was more efficient for removal of $NO_3-N$ and TN than one without.

Potential of Activated Carbon Derived from Local Common Reed in the Refining of Raw Cane Sugar

  • D-Abdullah, Ibrahim;Girgis, Badie S.;Tmerek, Yassin M.;Badawy, Elsaid H.
    • Carbon letters
    • /
    • 제11권3호
    • /
    • pp.192-200
    • /
    • 2010
  • Common reed (Fragmites australis), a local invasive grass, was investigated as a possible feedstock for the production of activated carbon. Dried crushed stems were subjected to impregnation with phosphoric acid (30, 40 and 50%) followed by pyrolysis at $400{\sim}500^{\circ}C$ with final washing and drying. Obtained carbons were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carbon yield, ash content, slurry pH, textural properties and capacity to remove color bodies from factory-grade sugar liquor. Produced carbons possessed surface area up to 700 $m^2/g$, total pore volumes up to 0.37 $cm^3/g$, and proved to be microporous in nature. Decolorization of hot sugar liquor at $80^{\circ}C$ showed degrees of color removal of 60 up to 77% from initial color of 1100~1300 ICU, at a carbon dose of 1.0 g/100 ml liquor. No correlation seems to hold between synthesis conditions and % R but depends on the degree of microporosity. A commercial activated carbon N showed a comparative better color removal capacity of 91%. Common reed proved to be a viable carbon precursor for production of good adsorbing carbon suitable for decolorization in the sugar industry, as well as in other environmental remediation processes.

강원도 일부지역의 렙토스피라 감염에 관한 혈청학적 연구 (Serological Studies on Leptospirosis in Kangwondo Area(1985))

  • 조민기;민창홍;김윤원;윤창순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5-210
    • /
    • 1986
  • Serological investigations for the leptospirosis on hospitalized patients in Choonchun Sungsim Hospital during the periods from August to November 1985 and 841 inhabitants of Kangwondo area including Choonchun, Choonsung, Inje, Chulwon, Hwachun, Gosung, Taibaik, Samchuk and Yangju area were carried out. 1. Among 58 hospitalized patients who were suspected as leptospirosis, 10 patients were detected to have antibody against Leptospira. All of positive sera had the highest antibody titer against serogroup Icterohemorrhagiae and most positive sera were also reactive to serogroup Australis and Canicola. Antibody titer of positive sera detected by microscopic agglutination(MA) test were ranging from 1 : 40 to 1 : 2,560. Antibody titer detected by ELISA method were higher than those detected by MAT(ELISA 1 : 400$\sim$1 : 25,600) and IgM titer of positive sera were generally higher than IgG titer. 2, Of 841 inhabitants in 8 area of Kangwondo, 17 persons (2,02%) possessing antibody against Leptospira were detected by ELISA method, IgG titer in positive sera were generally higher than IgM titer. Persons possessing antibody to Leptospira were distributed in both sex and in various age group, and no significant regional and occupational fluctuations were obserbed.

  • PDF

Contributions of emergent vegetation acting as a substrate for biofilms in a free water surface constructed wetland

  • Zhao, Ruijun;Cheng, Jing;Yuan, Qingke;Chen, Yaoping;Kim, Youngchul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0권1호
    • /
    • pp.57-65
    • /
    • 2019
  • This study assessed the contribution of emergent vegetation (Phragmites australis, Typha latifolia, and Nelumbo nucifera) to the submerged surface area, the amount of biofilms attached to the submerged portions of the plants, and the treatment performance of a free water surface (FWS) constructed wetland. Results showed that a 1% increase ($31m^2$) in the vegetative area resulted in an increase of $220m^2$ of submerged surface area, and 0.48 kg Volatile Suspended Solids (VSS) of attached biofilm. As the vegetation coverage increased, effluent organic matter and total Kjeldahl nitrogen decreased. Conversely, a higher nitrate concentration was found in the effluent as a result of increased nitrification and incomplete denitrification, which was limited by the availability of a carbon source. In addition, a larger vegetation coverage resulted in a higher phosphorus in the effluent, most likely released from senescent biofilms and sediments, which resulted from the partial suppression of algal growth. Based on the results, it was recommended that constructed wetlands should be operated with a vegetation coverage of just under 50% to maximize pollutant removal.

부산시 기장군 연안의 춘계 해조 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Marine Algal Communities in the Spring at Gijang-gun, Busan)

  • 정승욱;최창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5-185
    • /
    • 2020
  • 본 연구는 부산시 기장군 연안의 춘계 해조 군집 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는 2017년 5월부터 6월까지 스쿠버 다이빙(scuba diving)을 이용하여 정량 및 정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녹조류 13종(10.7 %), 갈조류 18종(14.9 %), 홍조류 90종(74.4 %) 등 총 121종의 해조류가 출현하였고, 조간대에서 총 56종, 조하대에서 총 110종으로 조하대 출현종이 2배가량 많았으며, 해역별로는 문동 88종, 공수 76종, 대변 75종 순으로 높았다. 연구 해역의 평균 생물량은 1,501.5 g·m-2로 확인되었으며, 조간대 1,133.5 g·m-2, 조하대 1,869.4 g·m-2로 조하대가 더 높았고, 해역별로는 문동 2,234.0 g·m-2, 공수 1,228.1 g·m-2, 대변 1,044.4 g·m-2 순으로 높았다. 높은 생물량을 나타낸 종은 조간대에서 Ulva australis, Sargassum thunbergii, Corallina pilulifera, 조하대에서 Sargassum macrocarpum, Undaria pinnatifida, Phycodrys fimbriata로 확인되었다. 해조류 기능형군별 피도 비율에 따라 군집 상태를 분석한 결과 연구 해역 전체는 'Low', 집단별로는 'Low' ~ 'Moderate' 상태를 나타내었고, 이는 기회종(opportunistic species)이 기장 해역 전체에 걸쳐 폭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교란이나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고려된다. 특히 기장 해역은 해조류 양식이 주를 이루고 있어 양식장 조성과 국가어항개발 및 연안 정비 등의 연안개발로 인한 인위적인 영향이 해조 군집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 해역 전반에 걸친 해조 군집의 장기 모니터링과 우수한 해조 군집에 대한 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형수생식물이 팔당호의 물질 수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crophytes on Budget of Matters in Lake Paldang)

  • 박혜경;정동일;변명섭
    • 생태와환경
    • /
    • 제39권1호통권115호
    • /
    • pp.85-92
    • /
    • 2006
  • 팔당호에서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일차생산과 영양염류의 흡수량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4년 8월부터 11월까지 애기부들, 줄, 갈대, 마름, 연 및 생이가래 등 6종의 우점 대형수생식물종을 선정하여 서식면적과 건중량, 원소 함량을 측정하였다. 팔당호 전체에서 6종의 대형수생식물이 서식하는 총 면적은 약 1.37 $km^2$이었고 그 중 애기부들이 팔당호 연안수역 식생면적의 46.7%를 차지하며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계별로는 남한강의 대형수생식물 서식면적이 0.458 $km^2$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는 북한강, 경안천 및 합류 수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대형수생식물을 대상으로 식물체내 탄소, 질소, 인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각 대형수생식물별 탄소함량은 정수식물인 줄, 애기부들 및 갈대에서 다른 생활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그중 특히 줄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마름이 가장 낮았다. 대형수생식물 종별 질소 함량은 부유식물인 생이가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수식물인 애기부들이 가장 낮았다. 대형수생식물종별 인 함량은 마름이 가장 높았고 정수식물인 줄과 갈대가 다른 대형수생식물군보다 적은 인 함량을 보였다. 팔당호에서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2004년도 연간 물질순생산량을 산정한 결과 1차생산량은 758.4 ton C ${\cdot}$ $yr^{-1}$로 나타났고, 질소의 순흡수량은 16,921 kg ${\cdot}$ $yr^{-1}$, 인의순흡수량은 1,841,0 kg P ${\cdot}$ $yr^{-1}$로 나타났다. 같은 시기에 조사된 팔당호의 물질 수지와 비교한 결과 팔당호에서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1차생산량 및 물질 흡수량은 전체1차생산량 및 유입량에 비해 미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이다.원에서 오폐수처리를 통해 하천 수질이 휴양용수로서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도록 충분한 차집시설과 환경 기초시설의 설치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TEX>$K_s$값이 높고 $V_m/K_s$비율은 낮아 수게에서 질소가 저농도 일 때에는 다른 미세조류와 비교하면 경쟁력이 떨어지고 질소에 대한 기질 친화력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하류지역에서 M. aeruginosa가 대발생하는 시기에 수중 영양염의 농도 변동은 M. aeruginosa의 영양생리 kinetics 특성과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마방법 간에 상호 연관성이 없었다. FE-SEM관찰에서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의 표면은 모든 군에서 대체적으로 평활한 표면을 나타내었다. 4. 동일한 복합레진과 연마방법으로 처리된 군에서 레진전색제 적용 전과 후의 표면조도 값은 M1B군이 M1군보다, S1B군이 S1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M4B군과 M5B군은 각각 M4군과 M5군 보다. 그리고 S5B군은 S5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라 표면조도의 순서는 다르게 나타났고, polyester strip 하에서 복합레진이 중합된 경우 가장 낮은 표면조도 값과 평활한 표면을 제공하였으며 전반적으로 anishing bur는 가장 높은 Ra값과 거친 표면을 제공하였다. Enhance, Astropol, carbide finishing bur로 연마한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평활한 표면을 얻을 수 있었지만, polyester strip과 Sof-Lex disc로 얻어진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표면조도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11}C]raclopride$ PET을 이용하여 비흡연 정상인에서 흡연에 의한 도파민 유리를 영상화 및 정량화

갈대 및 부들 습지셀의 연못시스템 방류수 질소제거 비교 (Comparison of Nitrogen Removal Between Reed and Cattail Wetland Cells in a Treatment Pond System)

  • 양홍모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4-239
    • /
    • 2004
  • [ $NO_3$ ]-N and T-N removal rates of cattail wetland cell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reed wetland cells. The examined cells were a part of a pond-wetland system composed of two ponds in series and six wetland cells in parallel. Each wetland cell was 25m in length and 6m in width. Cattails (Typha angustifolia) were transplanted into three cells and reeds Phragmites australis) into another three ones in June 2000. Water of Sinyang stream flowing into Kohung Estuarine lake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pumped into the primary pond, its effluent was discharged into the secondary pond Effluent from the secondary pond was funneled into each cell. Two cattail and reed cells were chosen for this research. Water quantity and quality of influnt and effluent were analyzed front May 2001 through October 2001. The volume of influent and effluent of the cells averaged about $20.0\;m^3/day$ and $19.3\;m^3/day$, respectively. Hydraulic retention time was approximately 1.5 days. Influent $NO_3$-N concentration for the four cells averaged 2.39 mg/L. Effluent $NO_3$-N concentration far the cattail and reed cells averaged 1.74 and 1.78 mg/L, respectively. Average $NO_3$-N retention rate for the cattail and reed cells by mass was 30 and 29%, respectively. Influent T-N concentration far the four cells averaged 4.13 mg/L. Effluent T-N concentration for the cattail and reed cells averaged 2.55 and 2.61 mgL respectively. Average T-N retention rate for the cattail and reed cells by mass was 39 and 38%, respectively. $NO_3$-N and T-N concentrations in effluent from the cattail cells were significantly low (p=0.04),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reed cells. Cattail wetland cells were more efficient for $NO_3$-N and T-N abatement than reed ones.

4개 간척 지구에 분포하는 식생과 토양 염류농도 (Soil Salinity and Vegetation Distribution at Four Tidal Reclamation Project Areas)

  • 이승헌;지광재;안열;노희명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9-86
    • /
    • 2003
  • 토양 제염이 토양 화학성 변화와 식물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간척농경지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조제 체절전후 자연식생이 존재하는 9개 지점에서 식생분포 특징을 조사하고 2개 지점에 대해서는 토양과 식생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9개 조사지점에서 11목, 14과, 46속, 49종, 8변종, 1품종등 총 58종류의 식생분포가 관찰되었고 자연상태를 잘 유지한 대호식생보전구와 석문 국가공단 예정 부지에서의 출현종수가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해수를 유통시키고 있는 홍보지구나 만경강, 동진강 하구의 식생은 10여종정도로 단순하였다. 9개 조사지점에서 가장 빈도가 높게 출현한 종은 벼과, 명아주과, 국화과에 속하는 나문재(Suaeda asparagoides (Miq.) Makino), 갯개미취(Aster tripolium L.), 갈대(Phragmites australis Trin.), 해홍나물(Suaeda maritima Dum.), 칠면초(Suaeda japonica Dum.), 천일사초(Carex scabrifolia Steud.)등이었다. 통양의 제염에 따라 염류-나트륨성(Saline-내??) 토양에서 염류(Saline) 토양으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일반 토양으로 변화하였다. 명아주과의 식생은 염도(ECe)가 30 dS/m 전후인 토양에서 출현하여 10 dS/m까지 지속되고, 20 dS/m 전후에서 갯개미취, 산조풀, 사데풀 등이 출현하였으며 10 dS/m 이하에서는 일반육상에서 볼 수 있는 식생종들이 출현하였다. 그러나 토양제염과 동시에 식생의 천이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외부에서 종자 등의 식물이 유입될 확률이 있어야하므로, 초기간척지의 식생을 조기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토양검정을 통해 적정 염도에서 정착할 수 있는 식생의 인공식재 내지 종자 산파를 통해 촉진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25\;{\pm}\;0.32$분, 제 2 군이 $3.05\;{\pm}\;0.34$분으로 두 실험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근관 충전재의 제거 후 근관 벽의 청결도는 두 실험 군 모두에서 치관부 1/3이 중간이나 치근단 1/3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본 실험을 통해서 새로운 근관 충전 재료인 Resilon이 기존의 가타퍼챠와 실러를 사용한 충전과 비슷한 정도의 제거 용이성 및 근관 벽의 청결도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0 일 ), $1.1{\sim}5.6$ ( 평균: 2.9, 표준 편차: 0.8) 이었다. 단변 수 분석상 FRS, PVC, 체외 순환시간 (CPB) 및 술 후 12 시간째의 중심 정맥압 등이 LIT와 연관되었으나, 다변수 분석상 PVC (p=0.0018) 및 CPB (p=0.0024)만이 독립적으로 LIT를 예측하였다. 두 변수는 LIT 변이에 대하여 21.7%의 설명력이 있었으며, 두 변수를 이용한 회귀 분석식은 다음과 같았다. LIT=2.74-0.0158 PVC+0.00658 CPB. 결론: 새로이 정의된 폐혈관 유순도는 심장 외 도관을 이용한 단심실 교정 후의 흉관 거치 기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예측 인자로서, 수술 전 위험 인자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그것의 분별도 하지 못하는 세상 사람들을 완농(玩弄)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진환(塵 )에서 초연(超然)했던 것이다. 천석고황(泉石膏 )으로 태평성대(太平聖代)에 사시가흥(四時佳興)을 한가지로 하는 퇴계와는 그래서 다르다. 퇴계는 순풍(淳風)과 어진 인성(人性)을 긍정하였기에 만족하고. '고인(古人)의 녀던 길'을 끊임없이 행(行)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완세불공(玩世不恭)'과 '온유돈후(溫柔敦厚)'가 판별되어진다. 장육당이 '완세불공(玩世不恭)'했다면, 그것은 자취(自取)한 것이요.

대형정수식물을 활용한 높은 생산성의 인공습지 조성 및 관리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Artificial Wetland Using Emergent Macrophytes for High Biomass Production)

  • 홍문기;허영진;김재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1-72
    • /
    • 2014
  • 높은 생산성을 위한 인공습지 조성 및 관리 방안 제시를 위해 세 가지 대형정수식물(갈대, 애기부들, 줄)을 두 가지 매질조건(개별 매질과 혼합 매질)과 두 가지 수위 조건(5 cm와 20 cm)에 식재한 뒤 3년간의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줄의 경우 조성 환경에 상관없이 첫 해 초기 생육(최대 초고, 약 200 cm; 최대 지상부 생산성 약 500 $g/m^2$)뿐만 아니라 3년경과 후 최종 생육(줄, 약 1,100 $g/m^2$; 애기부들, 770 $g/m^2$; 갈대, 450 $g/m^2$)에 있어, 전반적으로 갈대나 애기부들에 비해 월등하게 나타났다. 특히 초기 생육이 좋았던 줄은 자연적으로 유입돼 발생하는 잡초들에 의한 피해가 거의 없었던 반면 갈대나 애기부들의 경우 다년생 잡초를 포함한 여러 잡초와의 종간 경쟁으로 생육이 다소 부진하였다. 특히 얕은 수심환경과 moss peat를 포함한 혼합 매질 조건에선 식재종들의 생육이 전반적으로 부진하였으며, 그로 인해 잡초들의 생육이 상대적으로 좋았다. 높은 지상부 생산성을 위한 인공습지 조성을 위해선 줄과 같이 생육 환경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며 초기 생육이 뛰어난 종의 선발을 통해 자연유입 잡초나 야생동물 등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시켜야 할 것이다. 만약 줄이 아닌 갈대나 애기부들과 같은 종을 식재하고자 한다면 온실과 같은 환경에서 일정 수준 이상 생육시킨 뒤 식재함으로써 더욱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높은 지상부 생산성을 위한 인공습지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선 한두 가지 선택지가 아닌 제초와 관련된 최적의 관리방안들을 적시에 활용하는 통합적 잡초 관리 시스템의 적용을 제안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