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L

검색결과 27,055건 처리시간 0.056초

Holstein 초유 중 Lactoferrin, IgA, IgG1, IgG2 정량과 미생물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Measurement of Lactoferrin, IgA, IgG1, IgG2, Antibacterial Activity, and Lactic Acid Bacterial Growth in Holstein Colostrum)

  • 랜친핸드;배형철;남명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22-530
    • /
    • 2007
  • 본 실험은 홀스타인 젖소의 초유에 함유된 lactoferrin, IgA, $IgG_1,\;IgG_2$의 함량과 병원성미생물의 항균효과, 유산균증식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홀스타인종 젖소 초유의 lactoferrin, IgA, $IgG_1,\;IgG_2$의 함량은 여름철의 경우 분만 후 첫째 날에 각각 0.30 mg/mL, 0.37 mg/mL, 4.00 mg/mL, 0.37 mg/mL, 겨울철의 경우 분만 후 첫째 날에 각각 1.16 mg/mL, 2.60 mg/mL, 13.35 mg/mL, 1.30 mg/mL로 측정되었다. 무열처리한 초유와 $65^{\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한 초유에서 배양한 병원성 미생물의 변화는 E. coli 균주에 대하여 초유의 항균활성이 나타났다. 초유 첫째 날, 둘째 날, 세째 날의 유산균수 성장촉진 효과는 B. longum, L. acidophilus S. themophilus의 상업용 혼합균주와 L. acidophilus, L. casei, L. bulgaricus, L. lactis subsp. cremoris에서 모두 정상유보다 균수가 증가하였다. 초유 첫째 날, 둘째 날, 세째 날의 pH는 배양 15시간 후 B. longum, L. acidophilus S. themophilus의 상업용 혼합균주와 L. acidophilus, L. casei, L. bulgaricus, L. lactis subsp. cremoris에서 각각 4.97-5.22 및 5.96-6.47로 나타났으나, 정상유에서는 각각 4.89, 6.50-6.81이었다. 초유 첫째 날, 둘째 날, 세째 날의 산도는 B. longum, L. acidophilus S. themophilus의 상업용 혼합균주와 L. acidophilus, L. casei, L. bulgaricus, L. lactis subsp. cremoris에서 각각 0.75-0.88% 및 0.29-0.48%로 나타났으나, 정상유에서는 각각 0.70%, 0.20-0.25% 이었다.

The Analgesic Effect of Aconitum Sinomontanum Nakai Pharmacopuncture in Sprague-Dawley Rats

  • Lee, Jung Hee;Lee, Yun Kyu;Lee, Hyun-Jong;Kim, Jae Soo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8권2호
    • /
    • pp.140-145
    • /
    • 2021
  • Background: Aconitum sinomontanum Nakai (ASN) has been reported to have analgesic effects. In this study an animal model of pharmacopuncture using ASN (100-500 mg/kg) was examined. Methods: Sprague-Dawley (SD) rats (n = 40) were randomly assigned to ASN-Low (1 mg/mL, 1.8 mL, ASN-L), ASN-Intermediate (5 mg/mL, 1.8 mL, ASN-M), ASN-High (10 mg/mL, 1.8 mL, ASN-H), negative control (0.2 mL normal saline), and positive control (0.2 mL 0.5% lidocaine) groups. All experiments were administered to the rats' left hind leg. The analgesic response was assessed by monitoring the physical (hot plate, and von Frey test) and chemical (formalin) responses to pain. Results: All ASN pharmacopuncture group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in response to the hot plate test, von Frey test, and formalin te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05). The response of the ASN-M group and ASN-H groups to the hot plate, the formalin, and the von Frey tes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e lidocaine group (p < 0.05). Conclusion: ASN pharmacopuncture had a significant analgesic effect on SD rats in response to physical and chemical models of pain.

편광을 이용한 눈의 공간주파수-대비민감도 함수 측정기구 설계 (Contrast Sensitivity as a function of spatial frequency by using polarization)

  • 김용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3-48
    • /
    • 2000
  • Polarizer와 Analyzer의 Rotation 각에 의해 광의 luminance를 조절할 수 있다. Contrast Sensitivity에 대응한 luminance 값 $L_{max}$, $L_{min}$은 평균 luminance($L_m$)의 회전각 ${\theta}_m$ 최대 진폭과 최소 진폭에 대응하는 회전각 (${\theta}_{max}$, ${\theta}_{min}$)로 부터 구할 수 있다. $$L_{max}=I(0)e^{-2at}{\cdot}cos^2{\theta}_m(1+C_s^{-1})$$ $$L_{min}=I(0)e^{-2at}{\cdot}cos^2{\theta}_m(1-C_s^{-1})$$ 평균 luminance($L_m$)의 회전각 ${\theta}_m$과 측정할 Contrast Sensitivity($C_s$)로부터 polarizer와 analyzer의 회전각(${\theta}_{max}$, ${\theta}_{min}$)을 얻었다. $${\theta}_{max}=cos^{-1}[cos{\theta}_m{\cdot}(1+C_s^{-1})^{1/2}]$$ $${\theta}_{min}=cos^{-1}[cos{\theta}_m{\cdot}(1-C_s^{-1})^{1/2}]$$.

  • PDF

도토리 추출물의 3T3-L1 세포 분화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 of Acorn (Quercus acutissima Carr.) Extracts in 3T3-L1 Preadipocytes)

  • 김지연;이진;이창원;김애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50-65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인 비만을 예방하기 위한 식품소재로서 3T3-L1세포를 이용하여 탈피한 도토리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T3-L1 세포에서 생존율(MTT assay)을 측정한 결과, AE와 AW 시료 모두 $500{\mu}g/mL$ 농도에서는 다소 생존율의 감소를 보여, $300{\mu}g/mL$를 최종 농도로 정하였다. 3T3-L1 세포의 지질축적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 $100{\mu}g/mL$로 처리하였을 때 두 시료 모두 지질축적량의 증가를 보였으나, $200{\mu}g/mL$ 처리농도에서 AE 시료는 82%로, AW 시료는 74%로 감소되다가 $300 {\mu}g/mL$ 농도에서는 두 시료 모두 약 53% 수준까지 지질축적이 억제되었다. 3T3-L1 세포에서 중성지방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AE 시료의 경우 $200{\mu}g/mL$ 농도에서 11%의 감소율, $300{\mu}g/mL$ 농도에서 42% 수준의 감소율을 보였다. AW 시료도 $200{\mu}g/mL$ 농도에서 5%의 감소율과 $300{\mu}g/mL$에서 41%의 감소율을 보였다. 3T3-L1 세포의 ROS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시료 농도 $200{\mu}g/mL$에서 AE는 42%, AW는 33%로 $300{\mu}g/mL$에서는 AE는 58%, AW는 52%로 ROS 생성량의 억제를 보였다. 3T3-L1 세포에서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두 시료(AE와 AW) 모두 $300{\mu}g/mL$ 농도에서 $PPAR-{\gamma}$은 54%와 38%, aP2는 40%와 18% 수준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탈피한 도토리는 3T3-L1 세포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새로운 항비만 소재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M&L 자기성장 명상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Effects of M&L Self-Growth Meditation Program)

  • 이유진;김정숙;고경숙;서주희;오정란;김미영;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25-234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L Self-Growth Meditation Program with Euro QOL-5 Dimension (EQ5D), Five Facet Mindfulness Questionnaire (FFMQ) and psychological test. Methods: 6 middle-age women have participated in the eight weeks of the M&L Self-Growth Meditation Program, and the program was executed once a week for about two hours. We evaluated EQ5D, FFMQ,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and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M&L Self-Growth Meditation Program. Results: 1) EQ5D score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and overall physical condition scale( VAS) increased. 2) In the FFQM scores, value of Nonrea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and total score increased. 3) Scores of BDI and STAI-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nd STAI-T, STAXI-S, STAXI-T, STAXI-O, STAXI-Su, and STAXI-R decreased.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M&L Self-Growth Meditation Program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and mindfulness skill and has a positive responses to psychological problems-depression, anxiety, and anger.

음식물쓰레기 주입형태에 따른 혐기성소화조의 메탄가스 발생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Production Characteristic of Methane Gas in Anaerobic Digestion Reactor according to Input Type of Food Waste)

  • 이영형;박성현;성낙창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4호
    • /
    • pp.55-6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의 주입형태에 따른 혐기성 소화조의 메탄가스 발생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하수슬러지와 음식물 쓰레기를 각각 1:0, 1:0.1, 1:0.3, 1:0.5, 1:1, 1:2의 비율로 혼합소화시킨 반응조에서의 주입 g VS당 메탄가스 발생량은 40mL, 85mL, 62mL, 67mL, 72mL 및 73mL $CH_4/g$ $VS_{added}$였다. 음식물 쓰레기의 입경을 raw food, 2~4mm 그리고 2mm이하로 주입하여 혼합소화시킨 반응조에서의 메탄함량이 각각 51.1%, 53.1% 및 50.6%로 나타나 별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입경이 작을수록 높은 메탄발생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입 음식물 쓰레기의 세척여부와 회수에 따른 탄발생량은 음식물 쓰레기를 7~8회 세척한 경우가 세척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 11mL $CH_4/g$ $VS_{added}$ 많이 발생하였다.

  • PDF

Comparing Compliance and Efficacy of Isocaloric Oral Nutritional Supplementation Using 1.5 kcal/mL or 1 kcal/mL Sip Feeds in Mildly to Moderately Malnourished Indonesian Childr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Devaera, Yoga;Syaharutsa, Danny Maesadatu;Jatmiko, Herwasto Kuncoroyakti;Sjarif, Damayanti Rusli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1권4호
    • /
    • pp.315-320
    • /
    • 2018
  • Purpose: This study set out to evaluate the compliance to, and efficacy of oral supplementation, using a 1.5 kcal/mL or 1 kcal/mL sip feed, in children with mild to moderate malnutrition. Methods: This was a parallel, randomized, controlled open-label trial in children aged 3 to 6 years with a weight for height Z (WHZ) score <-1 and ${\geq}-3$, who were randomized to receive a total of 600 kcal/day from either a 1.5 kcal/mL or a 1.0 kcal/mL pediatric sip feed for 28 days. Assessments included daily study product intake, body weight, tolerance and dietary intake from solid food. Results: Of 110 children recruited, 98 ($mean{\pm}standard$ deviation of age $49{\pm}7months$) completed the study. Both sip feeds were well tolerated, with high compliance ($80{\pm}24%$ and $81{\pm}22%$ of prescribed volume in 1.5 kcal/mL and 1.0 kcal/mL groups respectively, p=0.79). Both study groups gained similar weight during the 28 days intervention period ($0.42{\pm}0.40kg$ in 1.5 kcal/mL group vs. $0.49{\pm}0.49kg$ in 1.0 kcal/mL group, p=0.4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weight gain and in the change in WHZ score over the intervention period. Dietary analysis at the end of the study did not show replacement of solid food by the oral nutritional supplements. Conclusion: In children with mild to moderate malnutrition, both 1.5 kcal/mL and 1 kcal/mL pediatric sip feeds had high compliance and were well tolerated, and were equally effective in promoting weight gain in the 28 days study period.

알로에 겔상 식품의 제조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Aloe Gel-State Food)

  • 이기동;김숙경;권도영;박상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9-95
    • /
    • 2003
  • 4차원 반응표면에 의한 알로에 겔상 식품의 관능적 및 물리적 특성을 모니터링 하였다. 겔상 식품의 색상에 대한 관능점수는 알로에즙의 함량 87.38 mL, 카라기난의 함량 0.19 g 및 곤약의 함량 0.16 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겔상 식품의 향에대한 관능점수는 알로에즙의 함량 83.84 mL, 카라기난의 함량 0.20 g 및 곤약의 함량 0.17 g에서, 맛에 대한 관능점수는 알로에 즙의 함량 83.20 mL, 카라기난의 함량 0.27 g 및 곤약의 함량 0.15 g에서, 조직감에 대한 관능점 수는 알로에즙의 함량 98.95 mL, 카라기난의 함량0.23 g및 곤약의 함량0.10 g에서 가장높게 나타났다. 겔상 식품이 입안에서 느껴지는 물성을 기계적으로 측정한 결과 씹힘성은 알로에즙의 함량 113.05 mL, 카라기난의 함량 0.21 g 및 곤약의 함량 0.27 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알로에 겔상 식품 제조의 최적 조건인 전반적인 기호도는 알로에즙의 함량 88.23 mL, 카라기난의 함량 0.19 g 및 곤약의 함량 0.15 g으로 나타났다.

누룩에서 분리한 Saccharomycopsis fibuligera 미강 발효물의 항염활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fermented rice bran of Saccharomycopsis fibuligera isolated from Nuruk)

  • 박용원;이상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39-247
    • /
    • 2021
  • 본 논문은 대체식품 및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 미강을 발효를 통해 기능성과 경쟁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미강 추출물과 누룩에서 분리된 Saccharomycopsis fibuligera A8로 발효된 미강 추출물을 이용해 세포독성과 항염효과를 확인하였다. 세포 독성의 경우 미강 추출물의 경우 100 ㎍/mL에서 세포독성을 보였으나 발효 미강 추출물의 경우에는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한편 nitric oxide, IL-6, TNF-α, IL-1β와 같은 염증 지표를 통해 항염효과를 확인한 결과, 미강 추출물은 nitric oxide, TNF-α만 100 ㎍/mL이상의 농도에서 항염효과를 보였다. 발효 미강 추출물의 경우에는 각각 25 ㎍/mL, 25 ㎍/mL, 50 ㎍/mL, 50 ㎍/mL의 농도에서 항염효과를 보여 더 낮은 농도로 항염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S. fibuligera A8 사균체의 세포 독성 및 항염 효과를 실험한 결과 발효 산물에서 사균체 역시 유효하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머루덩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Ampelopsis brevipedunculata extracts)

  • 임태진;최무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45-45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개머루덩굴 95%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개머루덩굴 추출물의 농도는 0.42 mg/mL이었다. 총항산화 활성은 ABTS 라디칼에 대한 항산화능으로 측정하였다. 개머루덩굴 추출물 0.1 및 1 mg/mL의 총항산화능은 각각 0.65 및 3.71 m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개머루덩굴 추출물 5 및 $100\;{\mu}g/mL$의 peroxyl radical 소거능은 각각 22.75 및 $131.25\;{\mu}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개머루덩굴 추출물 0.1 및 1 mg/mL의 superoxide 소거능은 각각 27.7 및 56.0%이었다. 개머루덩굴 추출물 0.5 및 2 mg/mL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0.55 및 2.06 m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또한,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배양에서 개머루덩굴 추출물 0.1 mg/mL 농도의 첨가는 0.2 및 0.5 mM tert-butyl hydroperoxide로 유도된 세포독성을 각각 36.2 및 23.3%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개머루덩굴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세포독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은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 억제와 높은 총페놀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