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mantria dispar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5초

매미나방(Lymantria dispar)에서 Juvenile Hormone Binding Protein(JHBP)의 확인 및 정체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of Juvenile Hormone Binding Protein from Hemolyrnph of Lymantria dispar L.)

  • 이인희;김학열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6-202
    • /
    • 1991
  • 매미나방 종령유층 혈림프내에 존재하는 JHBP을 Dextran Coated Charcoal (DCC)binding assay와 gel filtration에 의해서 확인하였고, JHBP의 pI값은 5.3으로 밝혀졌다. JHBP의 정저는 혈림프단백질을 먼저 PEG로 침전시킨 후 ion exchange chromatography와 gel filtration 방법을 통하여 행하였다. 정체된 fraction의 JH에 대한 binding activity는 [3H] JH-III의 radioactivity 측정과 DCC binding assay를 통해 확인하였고, 정체된 단백질의 순수도는 각 정체단계에 따라 전지영동을 하여 확인하였다.

  • PDF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L.)의 저장단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orage Protein in Lymantria dispar L.)

  • 원종엽;김학열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46-353
    • /
    • 1990
  • 두 종류의 저장단백질이 매미나방의 발생기간동안 혈림프와 지방체에서 발견되었다. SPl은 분자량이 440,000이며 6개의 동일한 subunit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SPl은 당과 지질을 함유한 복합단백질이며 그 등전점은 6.2이었다. SPl은 암수 모두 종령기간동안 비슷한 고농도를 보여 주었지만 번데기시기에는 암수가 상이한 패턴을 보여주었다. 즉 SPl은 수컷에서 점진적 감소를 보여준 반면 암컷에서는 점진적 증가를 보여주었다. SPl은 면역학적으로 난황단백질과 동일성을 보여 주었고, 미국흰불나방과 꿀벌부채나방의 저장단백질과 부분적인 동질성을 보여주었다.

  • PDF

Methoprene이 짚시나방(Lymantria dispar)의 배자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oprene on Embryo Development in the Gypsy moth, Lymantria dispar)

  • 강정호;오세원;이경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50-456
    • /
    • 1993
  • 짚시나방(Lymantria dispar)의 배자 발생에 미치는 유약호르몬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유약호르몬 유사체인 methoprene을 알에 도포처리(topical treatments)하여 부화율, 부화 유충의 생체량 및 알의 단백질과 탄수화물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Methoprene 농도별 처리는 부화율에 영향을 미쳐 methoprene 처리군이 대조군(78.5%)에 비해 낮은 부화율을 나타 냈으며 5.0$\mul$ 처리군에서 가장 낮은율(42.5%)을 보여 주었다. 부화 직후 1령 유충의 생체량은 대조군이 0.7525mg으로 가장 높았으며 methoprene 농도 처리 순으로 감소하다가 5.0${\mu}\ell$ 처리군에서 0.6487mg으로 최하치를 나타냈다. 처리군별로는 대조군과 0.5$\mul$ 처리군이, 1.0$\mul$와 2.0$\mul$ 처리군의 생체량이 유사하였다. 배자 발생중 알의 단백질 함량 변화에서 0.5$\mul$ 처리군은 2, 4일째 대조군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탄수화물도 대조군에 비해 처리군이 낮은 함량을 유지하였다.

  • PDF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L.)의 Lipophorin의 정제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pophorin from Lymantria dispar L.)

  • 류재구;김학열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7
    • /
    • 1991
  • Lipophorin of Lymuntrn'adispor L. has been purified by KBr density gradient ultracentrifugation. The properties and synthetic site of lipophorin and quantitative change of lipophorin during development have been determined using electrophoresis and immunological analysis. Lipophorin is composed of ho subunits. apo-Lpl (230.000), ago-Lpll (49,000). ann contains carbohydrates and lipids. Anti-lipophorin showed positive reactions with fat body extract and ovary extract but not with gut extract. The concentration of lipophorin in hemolymph showed gradual decrease during larval and pupal stages. Also. fat body released lipophorin into medium. Immunological test showed some partial identity between lipophorin of Lymantpia dispar and hemolymph proteins (probably lipophorin) of Hyphontria cuneo and Galleria metlonefla.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Lymantria dispar Multinucleocapsid Nucleopolyhedrovirus Isolate in Korea

  • Shim, Hee-Jin;Roh, Jong-Yul;Choi, Jae-Young;Li, Ming-Shun;Woo, Soo-Dong;Oh, Hyun-Woo;Boo, Kyung-Saeng;Je, Yeon-Ho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1권4호
    • /
    • pp.306-311
    • /
    • 2003
  • In Korea, a Lymantria dispar multinucleocapsid nucleopolyhedrovirus, LdMNPV-NM,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from dead L. dispar larvae. The polyhedra of LdMNPV-NM were irregularly shaped with a diameter of $1.62{\pm}0.33{\mu}m$. Numerous virions comprised of the multinucleocapsid were evident in the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polyhedra cross sections. These polyhedra were composed of a major protein of 30 kDa. The restriction enzyme digestion patterns of LdMNPV-NM showed that this isolate had some different fragments from those of the Gypchek LdMNPV isolate, although their overall profiles were similar.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enhancin gene of LdMNPV-NM showed differences when compared to previously reported enhancin genes of other LdMNPV strai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LdMNPV-NM isolate from Korea was a new NPV strain and had a new enhancin gene.

매미나방의 미토콘드리아 게놈 분석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Gypsy Moth, Lymantria dispar (Lepidoptera: Erebidae))

  • 정나라;남영우;이원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507-512
    • /
    • 2022
  • 매미나방은 산림과 과수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매미나방의 미토콘드리아 게놈(15,548 bp)을 분석하였다. 13개의 PCG와 2개의 rRNA를 연결한 서열(13,568 bp)을 사용한 23개의 미토콘드리아 게놈의 계통분석 결과, 분석한 매미나방은 다른 지역의 매미나방과 같은 과에 속하며 각각의 과(Erebidae, Euteliidae, Noctuidae, Nolidae, Notodontidae)들은 높은 노드수치로 단계통을 형성하였다.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Gypsy moth (Lymantria dispar))

  • 조아해;김효정;이진희;김지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385-388
    • /
    • 2023
  • 매미나방(Lymantria dispar)은 나비목(Lepidoptera) 독나방과(Lymantriidae)에 속하는 해충으로 매미나방은 한국, 일본, 시베리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하며, 주로 배나무, 사과나무, 블루베리 등의 식물을 가해하는 광식성 해충이다. 매미나방은 수목해충으로 관리되어 왔으나 최근 산림 발생지 인접 농경지로 유입 빈도가 높아지면서 방제 대책이 수립되지 않은 농작물에 피해가 심하다. 본 연구는 매미나방(L. dispar)의 방제기술의 일환으로 매미나방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21년 전라남도 장흥군 황금측백나무에서 채집한 알집을 이용해 18, 21, 24, 27, 30, 33℃ (14L:10D, 상대습도 60±5%) 항온조건에서 온도별, 발육단계별 발육기간을 조사하였다. 매미나방 유충의 발육속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빨라졌으나, 매미나방 유충의 생존율이 33℃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발육적온은 30℃였으며, 30℃에서 총 발육기간은 암컷 43.8일, 수컷 42.5일 소요되었다. 암컷과 수컷 발육영점온도는 각각 13.1℃, 12.5℃,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641.1 DD, 657.8 DD였다.

시판 유기농업자재에 대한 아시아 매미나방 감수성 (Susceptibility of Asian Gypsy Moth (Lymantria dispar asiatica) to Commercial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 이영수;이희아;민희옥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689-690
    • /
    • 2022
  • 돌발성 해충인 매미나방의 방제체계 수립을 위해 시판 유기농업자재 21종에 대한 살충 활성을 실내 검정하였다. 90% 이상의 살충 활성을 보인 유기농업자재 11종을 선발하였으며, 유효성분들을 분석하였다. PLS 제도의 대응하여 본 연구 결과는 돌발성 매미나방의 친환경 방제 및 향후 유기농업자재의 개발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매미나방(나비목: 태극나방과) 천적 및 매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의 유전적 다양성 조사 (Natural Enemies of the Asian Gypsy Moth, Lymantria dispar asiatica (Lepidoptera: Erebidae) and the Genetic Variation Analysis of L. dispar Multiple Nucleopolyhedrovirus)

  • 황활수;이영수;이희아;최덕수;이경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79-386
    • /
    • 2021
  • 아시아계통의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asiatica) (나비목: 태극나방과)은 국내 토착해충으로서 지역에 따라 돌발적으로 대발생한 사례가 있으며, 다양한 수목 및 농작물에 피해를 끼치는 광식성 해충이다. 특히 2019년 이후로 경기도, 충청도, 경북 북부지역에서 대발생하여 산림 및 인근지역 도심에 발생하여 산림 및 도시민들의 정서적 피해를 끼치기도 했다. 본 연구에서는 2020-2021년 경북 예천지역에서 알집을 채집하여 사육한 결과, 매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LdMNPV) 감염에 의해 79.65% (321/403마리)는 사육중 사망하였다. 염기서열 분석은 2021년 국내 12 지역에서 매미나방 유충을 36마리를 조사한 결과, LdMNPV의 late expression factor-8 (lef-8), polyhedrin (polh) 유전자의 종내변이율이 0.80%, 0.86%로 확인됐다. NCBI database 자료와 비교 분석한 결과 일본의 LdMNPV와 가장 유사했으며, 터키의 LdMNPV와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 본 조사를 통하여 LdMNPV는 높은 감염율을 나타냈고 매미나방 중요한 개체군 조절인자중 한가지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