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pathogenic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33초

염유집적(鹽類集積)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의 토양미생물상(土壤微生物相) 평가(評價) (Evaluation of Soil Microflora in Salt Accumulated Soils of Plastic Film House)

  • 권장식;서장선;원항연;신제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4-210
    • /
    • 1998
  • 본 시험은 재배이역(栽培履歷)이 서로 상이한 시설재배지에서의 염류집원적지(鹽類集源積地)와 건전지(健全地)의 미생물상(微生物相)의 생태(生態)를 비교해석(比較解析)하고, 미생물(微生物)적 진단(診斷)에 의한 근권환경(根圈環境)의 동태(動態)와 개량기술(改良技術)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주요 미생물(微生物)의 분포(分布)는 건전지(健全地)에서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속 세균(細菌)의 밀도가 높은반면 염류장해지(鹽類障害地)에서는 병원성(病原性) Fuasarium 속의 밀도가 높고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속 세균(細菌)이 낮은 분포밀도(分布密度)를 보였다. 토양중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Bacillus 속(屬),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속(屬), Enterobacteriaceae 등 세균류(細菌類)의 밀도와 Microbial biomass C함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토양의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EC)가 $5.1dS\;m^{-1}$ 이상으로 높아지면 미생물(微生物)간의 비율중 세균(細菌)/사상균(絲狀菌)(B/F), 방선균(放線菌)/사상균(絲狀菌)(A/F)의 비율이 현저히 낮아지고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속(屬) 세균(細菌)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토양 pH와 세균(細菌)과의 관계는 고도의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사상균(絲狀菌)과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며, 토양유기물과 방선균(放線菌), Bacillus 속(屬), Enterobacteriaceae와는 각각 $r=0.226^*$, $r=0.334^{**}$, $r=0.276^{**}$, 치환성 Ca및 치환성 Mg함량과 방선균수(放線菌數)와는 각각 $r=0.334^{**}$, $r=0.352^{**}$, 유기물함량과 Microbial biomass C 함량과는 $R=0.439^{**}$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상관을 보였다.

  • PDF

시판 수산물에서 분리한 Vibrio parahaemolyticus와 Morganella morganii의 항균제 내성과 내성 전이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resistance transfer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Morganella morganii from commercial fisheries products)

  • 이예지;김은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7-10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17년 4월부터 12월 사이에 여수수산시장에서 구입한 수산물로부터 분리된 Vibrio parahaemolyticus와 Morganella morganii의 내성특성을 알아보고 장내세균인 Escherichia coli와 어류 병원균인 Edwardsiella tarda와의 내성전이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Broth mating 법으로 실시한 conjugation에서 형성된 transconjugants를 분리하기 위하여 ampicillin(AMP) 50 ㎍/ml와 streptomycin (SM) 150 ㎍/ml 또는 oxytetracycline(OT) 30 ㎍/ml이 첨가된 TSA배지를 사용하였다. AMP, amoxicillin (AML), colistin(CT)에 낮은 감수성을 보였던 V. parahaemolyticus와 달리 M. morganii는 AMP, AML, CT, erythromycin, OT, tetracyclin등에 감수성이 낮았다. V. parahaemolyticus와 M. morganii를 E. coli와 conjugation을 실시한 결과 transconjugants인 E. coli는 분리되지 않은 반면 SM내성을 획득한 V. parahaemolyticus와 M. morganii가 분리되었다. 한편 V. parahaemolyticus와 E. tarda의 broth mating에서는 AMP와 AML 내성을 획득한 E. tarda transconjugant가 분리되었다. 그러나 V. parahaemolyticus의 β-lactamase 유전자인 VPA 0477의 전이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E. tarda의 내성이 전달된 V. parahaemolyticus나 M. morganii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생물 위해성 세균들 간의 내성전이가 양방향성이며 매우 다양한 패턴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콩 탄저병균의 생장 및 병 진전에 미치는 온도, 수분 존재시간, 살균제의 영향 (Influence of Temperature, Wetness Duration and Fungicides on Fungal Growth and Disease Progress of Soybean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spp.)

  • 오정행;김규홍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31-136
    • /
    • 2003
  • 콩 탄저병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하여 병원균의 병원성을 비교하고, 포자발아, 부착기 형성, 균사생장 및 병 진전에 미치는 온도와 수분존재시간의 영향, 그리고 살균제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C. gloeosporioides의 종자병원성은 C.truncatum과 비슷하게 높았으나 경엽에서의 병원성은 현저히 낮았다. C. gloeosporioides의 포자발아, 부착기 형성, 균사생장 적온은 $25^{\circ}C$였고, C. truncatum의 적온은 $30^{\circ}C$였으며, $15^{\circ}C$에서는 매우 낮았다. 살균제에 대한 반응은 C. truncatum은 fluazinam과 benomyl에 대해, C. gloeosporioides는 fluazinam과 triflumizole에 대해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C. truncatum에 의한 병의 진전율은 수분존재시간이 8시간이면 $30^{\circ}C$에서, 32시간 이상이면 $25^{\circ}C$에서 가장 높았으며, $20^{\circ}C$에서는 매우 낮았다.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은 병원균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Colletotrichum spp. 의 중복감염에 의한 콩 탄저병의 방제를 위해서는 살균제의 정확한 선택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양식 넙치의 세균성 질병에 대한 키토산 및 키토올리고당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Chitosan and Chitooligosaccharides against Bacterial Diseases of Cultured Flounder)

  • 양병규;이제희;김수현;전유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36-243
    • /
    • 2004
  • 양식넙치의 세균성 질병의 원인균주인 Vibrio sp., Edwardsiella tarda 및 Streptococcus sp.를 제주산 양식 넙치로부터 직접 분리하였으며, 이들 세균에 대하여 키토산 및 분자량 크기에 따라 분획된 3종류의 키토산올리고당(HMW-COS, MMW-COS, LMW-COS)의 항균활성을 검토하였다. 키토산과 HMW-COS는 모든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Vibrio sp.과 Sfreptococcus sp.에 대해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에 대한 결과는 키토산의 항균활성은 분자량에 따라 크게 의존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E.tarda에 대한 키토산 및 HMW-COS의 항균활성은 처리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항균활성이 증가함을 보였으며, 이들의 항균기 작을 조사하기 위 한 SEM의 관찰에서, 세균들은 키토산에 의해 응집되어 서로 엉켜있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키토산 및 HMW-COS가 세균의 증식을 명확하게 억제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지금까지 여러 보고에서 밝혀진 키토산의 항균활성 메카니즘과 일치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기관지확장증 환자의 객담 균주 분석: 울산지역의 일개 대학병원 보고 (Bacteriologic Analysis of Expectorated Sputum in Patient with Bronchiectasis)

  • 서광원;황세진;성시정;김세진;도기원;허성재;임경훈;홍순형;김동민;전재범;제갈양진;최승원;권운정;정윤성;안종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6호
    • /
    • pp.517-527
    • /
    • 2009
  • Background: Bronchiectasis (BE) remains a rare respiratory disease in Korea.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pathogenic microorganisms (PPMs) that cause in patients with BE, through the use of sputum specimens. Methods: One hundred eleven adult patients, who had undergone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sputum gram stain/culture, and BE detected by chest C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putum adequacy was determined by using Murray-Washington classification. Results: The mean (${\pm}$SD) age of patients was 60.9 (${\pm}$14.0). The number of PPMs was 167 (67%) in the total 248 isolated organisms. The most frequent PPMs were P. aeruginosa (23.4%), K. pneumoniae (10.5%), and S. aureus (8.4%). The proportion of adequate sputum (AS) was 25.8% in the total sputum specimens. The patients with AS were 41 (37%) and the patients with inadequate sputum (IS) were 70 (63%). The proportion of P. aeruginosa was higher in AS compared to that of IS (44% vs. 19%, p=0.004). The BE score was also higher in P. aeruginosa (+) patients compared to that of P. aeruginosa (-) patients (10.8 vs. 7.6, p=0.001). Conclusion: Although the proportion of AS in the total sputum was low, PPMs were isolated in most patients with BE. It is likely that P. aeruginosa was isolated in AS and AS patients had higher BE scores.

재조합 mannose-binding lectin 단백질과 anti-mannose-binding lectin polyclonal 항체 제작 (Recombinant Mannose-binding Lectin Protein and Anti-Mannose-binding Lectin Polyclonal Antibody Production)

  • 권현미;박정애;최병태;최영현;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84-288
    • /
    • 2009
  • 선천성 면역은 숙주의 물리적 방어벽을 뚫고 침입하는 감염성 질병 원인균에 대항하는 첫 번째 방어로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Mannose-binding lectin (MBL 또는 mannan-binding protein, MBP)은 혈청 내에 존재하는 면역성 단백질로서 감염 후 즉시 유발되는 acute phase response의 특정 단백질이다. MBL 단백질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의 탄수화합물 구조에 결합하여 식균 작용을 돕거나 보체경로를 활성화 시킨다. MBL 단백질은 C-말단이 탄수화물을 인식하는 도메인이며, 연결 목 부위와 콜라겐 부위로 구성되어 있다. 혈청 내의 MBL 농도가 낮으면 높은 빈도로 면역결핍현상이 관찰된다고 알려져 있다. MBL 단백질의 기능과 유전에 대해 많은 연구가 되어져 왔으나 아직 MBL 단백질 복합체 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MBL 연구에 필수적인 MBL cDNA 제조와 재조합 단백질의 합성, 그리고 재조합 단백질을 항원으로 사용하여 polyclonal antibody를 생산한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 연구결과로 획득한 MBL cDNA, 재조합 단백질과 anti-MBL 항체는 앞으로의 MBL 연구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도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분유에 오염된 Cronobacter sakazakii 검출을 위한 중합효소연쇄반응,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 등온검출법의 비교 (Comparison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for the Detection of Cronobacter sakazakii in Milk Powder)

  • 김영주;서승우;왕효우;서동주;이민화;손나리;이복희;최창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610-61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에게 치명적인 감염을 일으키는 C. sakazakii에 대하여 LAMP 검출법을 개발하였다. LAMP법에 의한 C. sakazakii의 검출율은 100%였으며 13개의 음성 지표군에 대해서는 모두 음성 반응을 보여 특이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HhaI과 NruI 두 개의 제한 효소를 LAMP product에 반응시킨 결과, 유전자의 특정 염기서열이 절단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LAMP 검출법에 의해 증폭된 DNA가 C. sakazakii-specific ompA임을 확인하였다. 조제분유에 오염 된 C. sakazakii를 LAMP법으로 검출 시 검출한계는 $10^0$ CFU/mL이었으며 이는 기존의 PCR법이나 real-time PCR법에 비해 100-10,000배 높은 수준으로 민감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이 높은 특이도와 민감도를 가진 LAMP 검출법은 C. sakazakii와 같은 급성 기회 감염균이나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 발생시 현장에서 병원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기술로 기대된다.

Serological Survey of Major Avian Viral Diseases Related with Egg Production in Commercial Chicken Flocks in Korea

  • Jang, Hae-Sun;Lee, Hae-Rim;Koo, Bon-Sang;Jeon, Eun-Ok;Han, Moo-Sung;Min, Kyung-Cheol;Lee, Seung-Baek;Bae, Yeonji;Cho, Sun-Hyung;Mo, Jong-Suk;Kim, Jong-Nyeo;Mo, In-Pil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73-179
    • /
    • 2014
  • While use of mass rearing systems improved poultry production, chances of exposing to contagious diseases have been increased, making flocks more vulnerable to diseases. Diseases of interest which affects egg production adversely include Low pathogenic avian influenza (LPAI), Infectious bronchitis (IB), Avian meta-pneumoviral infection (aMPV) and Egg drop syndrome'76 (EDS'76). This report collected and analyzed 5,385 serum samples, which were collected from 1,330 different chicken flock, provided b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Avian Disease Laboratory at 2009. Serums were analyzed based on rearing stages; 0~1.3weeks (wks) (maternal antibody period), >1.3~3 wks (starting period), >3~10 wks (growing period), >10~22 wks (developing period), >22~40 wks (peak laying period), >40~60 wks (late laying period) and over 60 wks (post-molting period). Results showed the 99.7% of the tested flocks were immunized against ND and73.8%, 97.1%, 78,2% and 78% of the flocks were immunized against other 4 agents (LPAI, IB, EDS'76, aMPV). Maternal antibody was transferred to enough quantity for NDV. Generally, antibody titers which were developed at 22 weeks were stabilized permanently for life. In case of IB and aMPV, infection titer emerged as early as 10 weeks and the titer was increased from 99.4% to 100% for life. EDS76 showed increase in titers, reflecting decreased frequency of vaccination programs. Overall, this study displayed general trends of major viral disease in layers, but considering the trend of development of preventive measures and evolution of pathogens, conducting serological surveys on a regular basis is important.

전이금속 갈륨(Ga(NO3)3)을 이용한 biofilm을 형성하는 어류질병세균의 억제 (Inhibitory Effect of Transition Metal Gallium [Ga(NO3)3] on Biofilm Formation by Fish Pathogens)

  • 김동휘;수브라마니안 다라니드다란;장영환;허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35-539
    • /
    • 2016
  • 제주도 넙치 양식장에서 주로 발생하는 어류질병세균인 S. parauberis, S. iniae, E. tarda에 대한 피해를 줄이고자 갈륨을 이용하여 어류질병세균을 억제하고자 한다. 본 연구진은 Sp, Si, Et의 생육도와 biofilm 형성능을 확인하였으며, 세균의 성장도와 biofilm 형성능간의 특정한 패턴은 없었으며 세균의 성장도가 높다 하더라도 biofilm을 활발히 형성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어류질병세균이 형성하는 biofilm을 저해하기 위해 갈륨을 2.0, 4.0, 8.0 mg/ml로 첨가하여 저해능을 확인한 결과 72시간째 biofilm의 형성이 크게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biofilm을 저해하는 동시에 균주의 사멸능을 확인하기 위해 resazurin assay와 propidium iodide를 이용하여 염색한 결과 갈륨의 농도에 따라 균주의 사멸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in vitro 상에서 갈륨이 어류질병세균의 biofilm을 억제하는 동시에 균주를 사멸시키는 물질로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어린잎채소의 생산 및 가공 공정 중 식중독 미생물 분석 (Analysis of Foodborne Pathogens in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microgreen from Harvesting and Processing Steps)

  • 오태영;백승엽;최정희;정문철;구옥경;김승민;김현정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1호
    • /
    • pp.63-68
    • /
    • 2016
  • 어린잎 채소의 생산 및 가공 공정에서 원료농산물과 토양 및 용수 등 환경 시료를 채취하여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고 식중독을 유발시킬 수 있는 주요 병원성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생산단계 어린잎 채소와 환경 시료의 일반 세균수는 모두 6.8 log CFU/g 이상 분석되었으며 대장균군은 어린잎 채소와 토양에서 각각 3.2 log CFU/g 및 3.5 log CFU/g 수준으로 오염되어 있었다. 가공공정 단계에서는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 모두 세척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최종제품 단계에서는 오염수준이 감소되었다. B. cereus의 경우 생산단계에서는 어린잎 채소와 토양 또는 지지토에서 오염도가 높았으며, 가공공정에서는 원료 대비 최종 제품에서 약 1.4 log CFU/g 정도 감소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의 정성분석 결과 생산단계에서는 S. aureus를 제외한 모든 병원성 미생물이 음성이었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B. cereus를 이용하여 rep-PCR에 의한 유전적 상동성을 분석한 결과 생산단계의 경우 지지토와 시료에서 분리된 균주의 유전적 상동성이 높아 반복적으로 이용되는 지지토에 오염된 균주가 어린잎 채소로 이행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 반면 가공공정에서 분리된 균주의 경우 유전적 상동성이 낮아 공정 중 재 오염될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하였다.